故 事 成 語 파죽지세(破竹之勢) 破:깨뜨릴 파. 竹:대 죽, 之:갈 지, 勢:권세 세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진군함의 비유.
위(魏)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염(司馬炎)은 원제(元帝)를 폐한 뒤 스스로 제 위에 올라 무제(武帝:265∼290)라 일컫고, 국호를 진(晉) 이라고 했다(265 년). 이리하여 천하는 3국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오(吳)나라와 진나라로 나 뉘어 대립하게 되었다.
이윽고 무제는 진 남 대장군(鎭南大將軍) 두예(杜預)에게 출병을 명했다.
이듬해(280년)2월(음력), 무창(武昌)을 점령한 두예는 휘하 장수들 과 오나 라를 일격에 공략할 마지막 작전 회의를 열었다.
이 때 한 장 수가 이렇게 건의했다.
"지금 당장 오나라의 도읍을 치기는 어렵습니다. 이제 곧 잦은 봄비 로 강물 은 범람할 것이고, 또 언제 전염병이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입 니다. 그러니 일단 철군했다가 겨울에 다시 공격하는 것이 어떻겠습 니까?"
찬성하는 장수들도 많았으나 두예는 단호히 말했다.
"그건 안 될 말이오. 지금 아군의 사기는 마치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 [破竹 之勢]'요. 대나무란 처음 두세 마디만 쪼개면 그 다음부터는 칼 날이 닿기만 해도 저절로 쪼개지는 법인데, 어찌 이런 절호의 기회를 버린단 말이오."
두예는 곧바로 휘하의 전군을 휘몰아 오나라의 도읍 건업[建業:남경 (南京)] 으로 쇄도(殺到)하여 단숨에 공략했다.
이어 오왕(吳王) 손호 (孫晧)가 항복함에 따라 마침내 진나라는 삼국 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천하를 통일했다.
[주]두예 : 진(晉)나라 초엽의 명장 정치가 학자. 자는 원개(元凱). 진나라의 초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정벌 하고 삼국 시대에 종지부를 찍는 무공을 세움.《춘추(春秋)》《고문 상서(古文尙書)》에 통달한 학자로도 유명함. 저서로는《좌전집해 (左專集解)》 《춘추석례(春秋釋例)》등이 있음. (222∼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