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파과지년(破瓜之年) 破:깨트릴 파. 瓜:오이 과, 之:어조사 지, 年:해 년
여자의 나이 16세. 첫 경도가 있게 되는 나이를 의미함.
<破瓜之年>은 천계(天癸:월경)가 열리는 시기라고 했다. 이 시기가 되서야 비로서 처녀로 변모한다. 즉 어른이 되는 첫 관문에 들어섰 다 는 것이다.
지방에 따라서는 열 넷(14세)로 여기기도 하나 대체적으 로 열 여섯의 나이 를 일컫는다.
푸른 구슬 참외를 깨칠 때/ 님과 사랑으로 넘어져 뒹굴었네 님에게 감격하여 부끄러움을 전연 몰라/ 몸을 돌려 님의 품에 안겼네 위의 내용이 진(晉)나라 때에 손작이 쓴 파과시(破瓜詩)다.
《황제내경》에는 남녀가 어른이 되는 시기를 구분해 놓고 있다. 여자는 열 여 섯 살이고 남자는 열넷이다.
그렇다면 왜 여인의 몸에서 경도가 나오는 시기를 열 여섯으로 구분했는가? 그것은 중국인 특유의 파자법 때문이다.
과(瓜)는 파자법상으로 보면 팔(八)을 두 개 겹친 모습이다. 그러므로 열 여 섯 살이라 한 것이다.
《황제내경》이라는 의서에는 여자는 7의 수에 따른다고 했다. 7세가 되면 신 기(腎氣)가 형성되는데 그에 대한 표현으로 영구치가 돋고 머 리에 숱 또한 무성해지고 길어진다.
나이가 14세가 되면 생식능력이 생긴다. 임맥이 완전히 유통되고 충맥도 성 대하므로 월경이 정기적으 로 내리게 된다.
21세가 되면 신기가 온몸을 균등하게 돈다. 따라서 사랑니가 나고 치 아가 완전히 구비된다.
28세가 되면 근골이 단단해지고 모발도 많아진 다. 여성으로서는 신체가 가 장 이상적인 상태다.
35세가 되면 얼굴에 주름살이 잡히는 등 쇠퇴의 징후가 보인다. 약간씩 모발 이 빠진다.
49세가 되면 임맥이 공허하여 충맥도 쇠퇴한다. 혈이 적어지므로 마침 내 월 경도 끝난다.
따라서 의서에서 말한 파과지년은 14세의 나이를 뜻 한다.
[출 전]<정인벽옥가(情人碧玉歌)>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