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행백리자 반구십(行百里者 半九十)

eorks 2010. 7. 30. 00:04
故 事 成 語


행백리자 반구십(行百里者 半九十)


行:
다행행.百:일백백,里:마을리,者:사람자,半:반반,九:아홉구,十:열십,

   백리를 가는 것은 구십리가 절반이다.                                      
     무슨 일이든 마무리 단계가 중요하다.                                                
                                                

    전국(戰國) 시대의 일이다. 서쪽의 강국 진(秦)나라가 점차 그 우위 를
    확보하자 진나라 무왕(武王)은 안심하고 자만하는 기색을 나타내 기
    시작했다. 이를 걱정한 신하 한 사람이 왕에게 충고했다.

    "지금 대왕께서 위(魏)와 조(趙)를 얻으신 것에 만족하시고 제(齊)를
    잃은 것을 가벼이 생각하고 계시는 듯하옵니다.

    《시경》에 '미불유 초 선극유종(靡不有初 鮮克有終:처음은 누구나 잘
    하지만 끝을 좋게 여물이는 사람은 드물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선왕께서는 모두 처음 과 끝을 다같이 존중하여 대성하셨습니다.

    이에 반해 처음을 잘하고도 끝을 완성하지 않은 경우가 역사상에 많
    이 있습니다.

    대왕께서 천하통 일의 대업을 착실히 추진하시어 유종의 미를 거두신
    다면, 천하의 삼왕 에 대왕을 더해 사왕(四王)이라 찬양할 수도 있으
    며, 춘추오패에 대왕 을 넣어 육패(六覇)라 해도 우습지 않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대왕께서 끝을 마무리짓지 못하신다면, 사람들은 대왕
    을 오(吳)왕 부차나 진(晉 )의 지백(智伯)과 같이 비참한 말로를 본 자
    들과 동일시할 게 틀림없 습니다.

    《시경》또 '행백리자 반구십(行百里者 半九十)'이라는 말도 있습니 다.

    이것은 유종의 미를 거두는 것이 얼마나 곤란한가를 말해 주는 것입
    니다. 지금 대왕께서는 자만하고 계십니다.

    각국은 호시탐탐 틈 만 있으면 다른 나라를 엿보고, 어제의 우리편이
    내일은 적이 되지 않으리라는 보증이 없는 난세입니다.

    참으로 위급 존망의 때니만큼, 자만하고 태평스레 굴고 있을 때가 아
    닌 줄로 아옵니다."


    [출 전]《戰國策》<진책(秦策)>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 명(革命)  (0) 2010.08.02
행불유경(行不由徑)  (0) 2010.07.31
해로동혈(偕老同穴)  (0) 2010.07.29
해 어 화(解語花)  (0) 2010.07.28
함흥차사(咸興差使)  (0) 201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