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호연지기(浩然之氣) 浩:클 호. 然:그러할 연, 之:갈 지, 氣:기운 기
①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도 큰 원기. ②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 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러울 바 없는 도덕적 용기. ③ 사물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고 즐거운 마음.
전국 시대의 철인맹자에게 제 나라 출신의 공손추 란 제자가 물었다.
"선생님이 제나라의 재상이 되시어 도를 행하신다면 제나라를 틀림 없이 천 하의 패자(覇者)로 만드실 것입니다. 그런 경우를 생각하면 선생님도 역시 마음이 움직이시겠지요?"
"나는 40 이후에는 마음이 움직이는 일이 없다."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한 마디로 '용(勇)'이다. 자기 마음속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아무것도 두려울 게 없고, 이것이야말로 '대용(大勇)'으로서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 는 최상의 수단이니라."
"그럼, 선생님의 부동심(不動心)과 고자(告子)의 부동심은 어떻게 다릅니 까?" 고
자는 맹자의 성선설에 대하여 '사람의 본성은 선(善)하 지도 악(惡) 하지도 않다'고 논박한 맹자의 논적이다.
"고자는 '이해가 되지 않는 말을 애써 이해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하지만 이 는 소극적이다. 나는 말을 알고 있다[知言]는 점에서 고 자 보다 낫다. 게다 가 '호연지기'도 기르고 있다."
'지언'이란 피사, 음사, 사사, 둔사를 간파하는 식견을 갖는 것이 다.
또 '호연지기'란 요컨대 평온하고 너그러운 화기를 말하 는 것으로서 천지간에 넘치는 지대, 지강하고 곧으며 이것을 기르면 광대무 변한 천지까지 충만 한다는 원기 를 말한다.
그리고 이 기는 도와 의에 합치하는 것으 로서 도의가 없으면 시들고 만다.
이 '기'가 인간에게 깃들여 그 사람의 행위가 도의에 부합하여 부끄러울 바 없으면 그 누구에 게도 굴하지 않는 도덕적 용기가 생기는 것이다.
[준 말]호기(浩氣).
[유사어]정대지기(正大之氣). 정기(正氣).
[출 전]《孟子》<公孫丑篇>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