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화룡점정(畵龍點睛) 畵:그림 화. 龍:용 룡, 點:점찍을 점, 睛:눈돈자 정
용을 그리는데 눈동자도 그려 넣는다는 뜻. 곧 ①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킴. 끝손질을 함. ② 사소한 것으로 전체가 돋보이고 활기를 띠며 살아남
남북조시대, 남조인 양나라에 장승요 라는 사람이 있 었다.
우군장군과 오흥태수를 지냈다고 하니 벼슬길에서 도 입신한 편이지만 그는 붓 하나로 모든 사물을 실물과 똑같이 그 리는 화가로 유 명했다.
어느 날, 장승요는 금릉[金陵:남경]에 있는 안락사의 주지 로부터 용을 그려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는 절의 벽에다 검을 구름을 헤치고 이제라도 곧 하늘로 날아오 를 듯한 두 마리의 용을 그렸다.
물결처럼 꿈틀대는 몸통, 갑옷의 비늘처럼 단단해 보이는 비늘, 날카롭게 뻗은 발톱에도 생동감이 넘치는 용을 보고 찬탄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것은 용의 눈에 눈동자가 그려져 있지 않는 점이 다. 사람들이 그 이유를 묻자 장승요는 이렇게 대답 했다.
"눈동자를 그려 넣으면 용은 당장 벽을 박차고 하늘로 날아가 버릴 것이 오."
그러나 사람들은 그의 말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 당장 눈동자를 그려 넣으라는 성화독촉에 견디다 못한 장승요 는 한 마리의 용에 눈동자를 그려 넣기로 했다.
그는 붓을 들어 용의 눈에 '획'하니 점을 찍었다.
그러자 돌연 벽 속에서 번개가 번쩍 이고 천둥소리가 요란하게 울려 퍼지 더니 한 마리의 용이 튀어 나와 비늘을 번뜩이며 하늘로 날아가 버렸다.
그러나 눈동자를 그려 넣지 않은 용은 벽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고 한다.
※장승요:양나라의 궁정화가. 육조삼대가 의 한 사람, 뛰 어난 솜씨로 사물의 진실을 묘사 하고, 서쪽에서 전래한 색깔의 바림법 으로 입체 감을 표현했으므로, 그가 그린 꽃은 요철화라 일컬 어짐.
[출 전]《水衡記》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