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에 살고 있는 어떤 여인이 서울 저자에서 파는 청동경(靑銅鏡)이
보름달처럼 둥글다는 말을 듣고는 늘 한 번 지녀 보기를 원하고 있었
으나 기회를 얻지 못한 채 몇 해를 지났었다. 때 마침 그 남편이 서울
길을 떠나게 되었다. 때는 바야흐로 보름이었다. 그녀는 거울의 이름
을 깜박 잊고 그 남편더러 하는 말이,
"서울 저자에 저렇게 생긴 물건이 있다 하니 당신이 꼭 사 갖고 돌아
와서 내게 선사해 주세요."
하고 달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가 명념(銘念)하고 서울에 이르자 달은 이미 기울어 반만 남게 되
었다. 그는 반달을 쳐다보고 그와 같은 물건을 구하다가 마침 참빗이
그와 같으므로 이것이 곧 아내가 희망하는 물건이 아닌가 하고는 곧
빗을 사 갖고 집으로 돌아오자 달은 또 보름이 되었다. 그는 빗을 내
어 아내에게 주면서 하는 말이, "서울에 달처럼 생긴 물건은 오직 이
것밖에 없다오. 내가 비싼 값을 주고 사왔소 그려."하고 과시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그 사 갖고 온 것이 자기가 구하던 것이 아니
므로 화가 나서 달을 가리키면서 남편을 원망했다.
"이 물건이 어째서 달과 같단 말이요."
이 말을 들은 그는,
"서울 하늘에 달린 달은 이것과 꼭 같았는데 시골 달은 이와 같지 않
으니 참으로 고이한 일이오."
하고는 곧 다시 물건을 구득하려고 보름달이 뜰 무렵에 서울에 이르
러 밝은 달을 바라보니 그 둥근 것이 거울과 다름이 없기에 곧 거울을
사 갖고 왔으나 거울이란 얼굴을 비추는 것인 줄 알지 못하고 집에 이
르러 아내에게 주었다. 그녀가 거울을 열어 보자 그 남편 곁에 어떤
여인 하나가 앉았는 것이 아닌가. 그는 평소에 자기 얼굴이 어떻게
생긴 줄을 모르고 살아 오던 터이므로 제 얼굴이 비쳐서 남편의 곁에
앉아 있는 것을 모르고 생각하기를,"저이가 새 애인을 사 갖고 돌아온
것이 분명해."
하고 크게 노하여 질투심을 참지 못하는 것이다.
그는 크게 이상히 여겨,"그럼 내가 한 번 보아야지."하고 곧 거울을
당겨 보자 아내의 곁에 어떤 이상한 사내 하나가 앉아 있는 것이다.
그 역시 평소에 자기의 얼굴이 어떻게 생겼는지 몰랐기 때문이다.
"내가 며칠 집을 비운 그 사이에 다른 간부(姦夫)를 들였구나."
하고 크게 노하여 부부가 거울을 갖고 관가에 들어가 서로 부정을 고
발하는 것이었다. 여인이,"이 양반이 새 여자를 얻어 들였으니 어쩌면
좋습니까?"
하자 남편이,
"계집은 그 사에 간부를 얻었답니다."하여 서로 분운하는 것이었다.
이 꼴을 본 그 고을 원은,
"그 거울을 이리 올리렷다."하여 거울을 책상 위에서 열어 보았다.
그 원 역시 일찍이 자신의 얼굴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그 위의나 의관이 모두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고는 생각하기를,
"아이구 신관(新官)이 도읍한 모양이구나."하고 방자를 불러,"교대관
이 벌써 오셨으니 빨리 인을 봉하여라."하고는 곧 동헌을 물러나왔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