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수도해상국립공원에 속한 남해군에 솟은 금산은 전설의 고향이
라 할 만큼 얽힌 전설이 많은 곳이며, 특히 금산 38경으로 유명하며,
금산(錦山)의 본래 이름은 보광산(普光山)이었다.
독자들께서 만일 이곳으로 여행을 가실 일이 있다면, 미리 사전에 익
히고 답사한다면 더욱 의미가 크리라 생각됩니다.
금산(錦山)은 옛날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인 지리산이 남쪽으로
뻗어내려 오다가 노량바다를 사이에 두고, 그 맥을 유지하여 한 점의
섬이 생긴 것이 남해도(南海島)이고, 이곳 남해 섬은 삼남(三南)의 유
일한 절승영악(絶勝靈嶽)이며 소금강이라고 불리어오던 곳이다.
금산이 영산(靈山)이라 불리어 오게 된 것은 여러 가지 전설에 의한
것도 있지만, 사실적으로 정성을 들여 기도를 해본 결과, 효험이 있다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옛날 진시황의 사신
서불(徐市: 市字를 인명에 사용할 경우 불로 읽음)이 선남선녀 500명
을 거느리고 불로초를 구하러 영험 있는 산으로 이름난 이곳을 찾아왔
다가
"서불과차(徐市過此) 서불이 이곳을 지나갔노라" 하는 표지를 바위에
새겨 놓았다는 이야기.(현재도 흔적이 남아있음)
신라시대에 유명한 원효대사, 의상대사, 윤필거사 등 많은 고승들이
찾아와 기도하였다고 하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 주제로 다루고자 한 이야기는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설화를
올리고자 한다.
원효대사가 이 산에 보광사(현재 보리암으로 추정됨)라는 절을 창건
하면서 산 이름도 보광산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태조 이성계가 조선
을 개국하기 전에, 전국의 유명한 기도처를 찾아다니며 제를 올리고
기도를 하다가, 이곳 보광산에 제단을 쌓고 100일 기도를 하며 자기
의 소원이 이루어진다면 보광산의 전체를 비단으로 둘러 주겠다는
약속을 굳게 하였던 것이다.
그 후, 그 기도의 효험이 있어서 인지는 몰라도 태조 이성계가 정작
자기의 목적을 이룬 다음에 크게 고민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 고민은 다름이 아닌 보광산의 전체를 어떤 방식으로 실제 비단으
로 둘러줄 수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이 사정을 알아차린 신하 중에 한 사람이 하루는 이태조에게 다음과
같이 아뢰는 것이다.
"폐하! 폐하께서는 너무 상심치 마시옵소서, 저에게 좋은 방도가
있사옵니다".
"그래! 좋은 방도가 있다니 다행이구려, 그럼 그 방도를 말씀해 보
시오".
그러자. 신하는 이렇게 아뢰는 것이었다.
"폐하 그 보광산의 이름을 금산(錦山: 비단산)으로 바꾸어 부른다면
보광산에 대한 약속을 지킬 수 있지 않겠습니까?"
이 말은 들은 태조는
"그래 그게 아주 좋은 생각이오." 하며, 크게 기뻐하면서 하루 속히
보광산 이름을 바꾸어 금산으로 부르도록 온 나라에 방을 부치도록,
각 지방의 도백에게 하명을 하였다는 것이다.
★ 이 기도터에는 현재도 이태조기단(李太朝祈壇)이라 하여 조그마
한 건물이 보존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4185C4A4FE953050F)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