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대한민국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1)

eorks 2019. 6. 1. 20:19

세계무형유산 /대한민국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요약 : 서울에 있는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14세기~19세기)의 조상들에게 바치는 유교 의례를 하는 곳이다. 종묘제례(宗廟祭禮)란 종묘에서 행하는 제향의식으로, 조선시대의 나라제사 중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종묘대제(宗廟大祭)라고도 한다.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나라에 공적이 있는 공신들의 신주를 모셔 놓은 사당으로, 사직(社稷)과 더불어 국가의 근본을 상징하는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이다. 종묘 정전의 19개 신실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주(49위)가 모셔져 있으며, 영녕전 16실에는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34위)를 봉안하고 있다.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등재연도 : 2001년
    • 종묘제례 :
    종묘제례는 이러한 조상의 영혼이 안식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사당인 종묘에서 수행하며, 조상의 영혼이 영원한 평화를 누리도록 간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종묘제례는 왕족의 후손들이 제례를 조직하며 음악, 무용, 노래가 포함되어 있다. 의례가 봉행되는 동안, 제관들은 의례복을 입으며 왕은 왕관을, 다른 이들은 관을 써서 복장을 갖추고 음식과 술을 제기에 담아 조상에게 바친다.

    종묘제례는 왕실에서 거행되는 장엄한 국가 제사로서, 임금이 친히 받드는 존엄한 길례(吉禮)였다. 유교사회에서는 길례·흉례(凶禮)·군례(軍禮)·빈례(賓禮)·가례(家禮)의 다섯 의례(五禮)가 있는데 그중 길례인 제사를 으뜸으로 여겼으며, 이를 ‘효’ 실천의 근본으로 삼았다. 유교가 국가의 근본이념이었던 조선시대에는 조상에 대한 숭배를 인간의 도리이자 나라를 다스리는 가장 중요한 법도로 여겼으며 이러한 법도를 실행하는 제사를 특히 중시하였다. 그래서 예로부터 종묘와 사직을 세우고 나라를 건국하고 번영시킨 왕과 왕실의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고, 국가 발전에 공헌한 문무 대신들에게 제사를 드렸다. 종묘제례의 전통은 조상신 숭배와 효의 개념에 관한 고대 중국 문헌에서 유래하지만 중국에서는 더 이상 행해지지 않는 유교 의례의 고유한 사례로 남아 있다.

    종묘제례는 크게 정시제(定時祭)와 임시제(臨時祭)로 나뉘며, 계절에 따라 햇과일이나 곡식을 올리는 천신제(薦新祭)도 있었다. 정시제는 봄·여름·가을·겨울의 첫달인 1월·4월·7월·10월과 납일(臘日, 12월에 날을 잡아 지내는 섣달제사)에 지냈으며, 임시제는 나라에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있을 때마다 지냈다. 종묘제례는 해방 이후 한때 폐지되기도 하였으나 1969년부터 전주리씨대동종약원이 행사를 주관하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봉행하고 있다.

    종묘제례는 제사를 지내는 예법과 예절에 있어서 모범이 되는 의식이기 때문에 제례는 매우 엄격하고 장엄하게 진행된다. 의례의 절차는 15세기에 정해졌으며 오늘날까지 대부분 그대로 남아있다. 종묘제례의 절차는 신을 맞이하는 절차, 신이 즐기도록 하는 절차, 신을 보내드리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절차를 보면 선행절차 → 취위(就位, 제사가 시작하기 전에 제관들이 정해진 자리에 배치됨) → 영신(迎神, 조상신을 맞이함) → 신관례(晨祼禮, 왕이 제실까지 가서 향을 피워 신을 맞아들임) → 진찬(進饌, 음식과 고기를 드림) → 초헌례(初獻禮, 초헌관이 술을 올리고 절하며 축문을 읽음) → 아헌례(亞獻禮, 신에게 둘째 술잔을 올림) → 종헌례(終獻禮, 마지막 술잔을 올림) → 음복례(飮福禮, 제사에 쓴 술이나 음식을 나누어 먹음) → 철변두(撤籩豆, 제상에 놓인 고기나 과일을 거둠) → 송신(送神, 조상신을 보냄) → 망료(望燎, 제례에 쓰인 축문과 폐를 태움) → 제후처리(祭後處理)의 순서로 진행된다.

    종묘제례는 최고의 품격으로 유교절차에 따라 거행되는 왕실의례이며, 이를 통해 동양의 기본이념인 ‘효’를 국가차원에서 실천함으로써 민족공동체의 유대감과 질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 함께 종묘라는 조형적 건축공간에서 진행되는 종묘제례의 장엄하고 정제된 아름다움은 자연과 어우러진 동양적 종합예술의 정수이며, 50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한국의 소중한 정신적 문화유산이다.

    • 종묘제례악 :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종묘제례가 봉행되는 동안 연주되는 음악으로 기악(樂)과 노래(歌)에 춤(舞)이 함께 연행된다. 음악은 각각의 절차에 따라 보태평과 정대업 11곡이 한국의 전통 악기로 연주된다. 종묘제례악은 편종, 편경, 방향(方響)과 같은 타악기가 주선율을 이루고, 여기에 당피리·대금·해금·아쟁 등 현악기의 장식적인 선율이 더해진다. 이 위에 장구·징·태평소·절고·진고 등의 악기가 더욱 다양한 가락을 구사하고 노래가 중첩되면서 종묘제례악은 그 어떤 음악에서도 느끼기 어려운 중후함과 화려함을 구사한다. 정전 앞 계단 위(상월대)에서 노랫말이 없는 음악을 연주하는 악단은 등가(登歌)라 하고, 계단 아래 뜰(하월대)에서 노랫말 있는 음악을 연주하는 악단은 헌가(軒架)라고 부른다. 악기 편성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나 오늘날의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의 간결하고 힘찬 노래는 위대한 국가를 세우고 발전시킨 왕의 덕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종묘제례악이 연주되는 동안 문치와 무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무용[佾舞(일무)]인 문무(文舞)와 무무(武舞)가 곁들여 진다. 무용의 문무와 무무는 8줄로 구성된 64명의 무용수가 추며, 유교 문헌에 나오는 대로 대립하지만 서로 보완적인 음(陰)과 양(陽)을 표현한다. 문무는 역대 선왕들의 문덕을 기리는 춤으로 조화롭고 마음을 평화롭게 해주는 보태평지악에 맞추어 왼손에는 피리종류인 약을 오른손에는 깃털을 단 적(翟)을 들고 춤을 추는 데 왼쪽으로 첫걸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문무는 양을 상징한다. 무무는 선왕들의 무공을 칭송하는 춤으로 정대업지악에 맞추어 나무로 만든 칼과 창을 들고 추며(앞쪽의 4줄은 나무로 만든 칼을 들고, 뒤쪽의 4줄은 창을 듬)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며 음을 상징한다.

    지역 정보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예능보유자 / 기능보유자 :
    종묘제례는 1975년 이재범, 1988년 이은표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모두 사망하였고 2013년 현재 의전에 이기전, 제기 및 기물에 이형렬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명의 조교와 전수가가 있다.

    종묘제례악은 종묘에 제사지낼 때 연주라는 기악·노래·춤의 총칭으로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종묘제례악은 2012년 현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의 예능보유자들이 모두 사망하였다. 그래서 보유자후보로 최충웅(편종)·구윤국(편종, 편경)이 있으며 종묘제례악보존회가 보존과 전승에 힘쓰고 있다.

    전승 정보 :
    종묘제례악은 의식을 장엄하게 하기 위하여 연주하는 춤이 있는 음악이다. 종묘제례악은 조선 세종 때 궁중희례연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보태평과 정대업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464년(세조 10년) 제례에 필요한 악곡이 첨가되면서 종묘제례악으로 정식 채택되었다. 종묘제례악은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일시적으로 약화되었으나 광해군 때 점차 복구되었다.

    오늘날 조상 숭배 의례는 기독교의 성장에 따라 의미를 상실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무형유산을 보호하고 있으며, 종묘제례악은 1964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종묘제례는 1975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다. 종묘제례악과 종묘제례는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세계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걸작으로 선정된 후, 2008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통합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