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복합유산 /레소토,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Maloti-Drakensberg Park]
요약 : 2000년 등재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자연유산 ‘우카흘람바 드라켄즈버그 공원(uKhahlamba Drakensberg Park)’은 놀랍도록 아름다운 자연 경관, 많은 멸종 위기종 및 고유종의 천국이라는 중요성, 지난 4,000년에 걸쳐 ‘산(San)’ 민족이 그려온 수많은 암벽화 등으로 유명하다. 이 유산은 2013년 유산의 경계가 확장되어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Maloti-Drakensberg Park)’으로 확장 등재되었다. 드라켄즈버그 산 안에 있는 이 공원은 총 면적 249,313ha에 달하는 지역이며, 남아프리카의 대단층애(大斷層崖, Great Escarpment)를 따라 조성된 가장 방대한 보호지역이다.
이 유산은 원시 그대로의 가파른 계곡, 바위 협곡과 함께 약 600곳으로 추정되는 암벽화 지대가 있으며 수많은 동굴과 바위 거주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암벽화의 수는 35,000점에 달한다. 암벽화는 동물과 인간을 묘사하고 있는데, 더 이상 그들의 본래 고향 땅에서 살지 않는 산족의 영적인 생활을 재현하고 있다. 암벽화는 수천 년에 걸쳐 산족의 믿음과 우주관을 구현하는, 오랜 시간 지속된 전통을 표현하고 있다. 아울러 반투어(Bantu)를 말하는 부족이 남긴, 19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그려진 암벽화도 남아 있다.
레소토(Lesotho)와 면한 쿠아줄루 나탈(KwaZulu-Natal) 주(州) 남서쪽 국경을 따라 뻗어 있는 유산은 250종 이상의 고유종 식물과 함께 그와 관련된 동물상(動物相)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피난처를 제공하고 있다. 유산에는 또한 람사르(RAMSAR, 국제습지보호협약)에 등록된 습지이자 고도 2,750m 이상의 광활한 고지대 습지가 있으며, 쿠아줄루 나탈의 아고산대(亞高山帶)와 고산대의 잔여 식생 지역 거의 모두가 있다. 아울러 공원은 ‘중요 조류 보호 지역’에 해당하며, 동시에 ‘레소토 고원 고유종 조류 지역’의 핵심적인 구역이다.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국가 : 레소토(Lesotho),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좌표 : S29 45 55,E29 7 23
등재연도 : 2000년(2013년 확장)
완전성 :
1903년부터 1973년 사이에 수립한 12개의 보호구역으로 구성된 우카흘람바 드라켄즈버그 공원은 이미 오랜 세월 동안 효과적으로 보전, 관리되어 왔다. 면적 242,813ha에 달하는 이 공원은 하나의 자연지역으로 생존하면서 그 자연적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방대하다. 공원 면적의 약 50%를 차지하는, 4개의 공인된 ‘원생(原生) 자연환경 보전 지역’이 공원의 경계 내에 포함된다. 인류의 개발 사업에 의한 영향은 대체로 미미한 편이며, ‘에젬벨로 KZN 야생동물 보호단체(Ezemvelo KZN Wildlife)’와 이 지역의 이해 당사자 사이에 이러한 위협을 통제하기로 협의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본 유산은 여전히 농업, 대규모 조림, 생태 관광 등을 포함하는 외적인 토지 이용이라는 위협에 대해 취약한 상태이다.
일부 지역에서의 토지 개간, 기간시설의 개발, 화재에 의한 토양 침식, 취약한 고산 등반로에 관광객이 미치는 영향 및 밀렵과 함께, 침입종과 화재 역시 본 유산의 완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레소토 내의 국경 지역에 있는 산악 생태계의 경우, 공식적인 보호 장치가 미비하여 이런 위협이 보다 악화되고 있다.
드라켄즈버그 공원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에 부각된 경계 논쟁에는 공원의 북부 및 보다 광범한 남부 지역 사이에 위치하는 아마응그완(amaNgwane)과 아마지지(amaZizi) 부족협의회에 속하는 영토가 포함된다. 관리 당국에 의해 생태적 완전성의 유지를 위해 고도 1,650m의 등고선 이상 지대에서의 개발을 제한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마응그완, 아마지지 부족협의회와 에젬벨로 KZN 야생동물 보호단체 사이의 협약 체결이 권고된 바 있다. 대단층애의 경계를 따라 유산의 남부 지역까지 보존 지역의 확대를 규정하는 합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소토에 있는 세라바테베 국립공원(Sehlabathebe National Park, 연속된 세라바테베 및 모홋롱(Mohotlong) 산맥 관리 지역)과 우카흘람바 드라켄즈버그 공원을 잇는 ‘접경 평화 공원’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드라켄즈버그-말로티 접경 보전 및 개발 지역’의 개발은 본 유산의 완전성을 보다 강화하는 조치가 될 것이다. 쿠아줄루 나탈과 레소토의 ‘프로젝트 조정 위원회(Project Coordinating Committees)’가 계획 수립 과정에서 협력 중이다.
유산에는 산 부족이 이 지역에서 남긴 주요 암벽화 지대가 포함된다. 산족이 동굴에 거주하던 시대 이래로 이 지역은 비교적 변화가 크지는 않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전에 암벽화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던 나무의 벌채와 초지에서 발생한 화재에 따른 연기, 그리고 무분별한 일반인들의 접근 등은 암벽 주거지 내의 암벽화가 훼손되기 쉬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진정성 :
산 부족의 믿음을 반영하고 있는 암벽화, 은신처, 동굴 등의 진정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암벽화의 퇴색으로 그 의미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될 위험이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
드라켄즈버그 공원의 관리는 보조 계획과 통합된 ‘관리 계획’을 중심으로 ‘세계유산보존법(1999년, 법률 제49호)’, ‘국가환경관리: 보호지역법(2003년, 제57호)’, ‘국가환경관리 생물다양성법(2004년, 제10호)’, ‘쿠아줄루 나탈 자연 보전 관리 수정법(1999년 제5호)’, ‘세계유산협약 운영 지침’, ‘에젬벨로 KZN 야생동물 보호단체’의 정책 등에 따라 실시한다. 이러한 법 규정에 따라 본 유산의 경계 안팎에서 실시하는 모든 개발 사업은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고려해야 하는 환경영향 평가의 대상이다. 아울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모든 지역은 보호 지역으로 간주되는데, 이에 따라 유산 또는 공표된 완충지역의 경계 내에서 채광이나 탐사작업은 완전히 금지된다. 또한 유산에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안정한 개발은 세계유산협약의 이행을 책임지고 있는 수자원·환경부 장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을 수 없다.
유산의 관리라는 측면에서 외래 침입종과 화재의 문제가 가장 까다로운 난제이다. 드라켄즈버그 공원이 세계유산에 등재될 당시, 기존의 조림지와 호주아카시아(Australian wattle: Acacia mearsnii)의 침입을 포함하여 유산 면적의 1%가 외래 식생에게 잠식된 상태였다. 이러한 침입종은 공원의 생태적 완전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습지와 강의 물 공급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공원의 관리계획은 이러한 외래 침입종에 대해 적극적인 대처를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고유종 개구리와 같은 화재에 민감한 동물상(動物相)에 대해 화재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침입종의 관리와 화재 관리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도 반드시 심사숙고해야 한다. 화재 및 침입종에 대한 관리는 쿠아줄루 나탈과 레소토가 공동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보호 지역에 대한 접경협력을 규정하는 기본 틀 내에서 관리를 실시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유산 내의 토지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암벽화를 충분히 고려하고, 바위그림 지대에 만족할 만한 자연적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적합한 자격을 갖춘 보전처리 전문가가 정기적으로 암벽화 점검을 실시하면서 암벽화에 대한 접근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문화유산 전문가가 본 공원의 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자연과 문화의 관리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아울러 유산의 경계 내에서 유산의 조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개발 사업에 대해서는 환경영향 평가와 연계한 문화유산 영향 평가를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등재기준 :
기준 (ⅰ) : 드라켄즈버그의 암벽 예술은 사하라 이남에 있는 아프리카 지역의 바위그림 중에서 그 규모가 가장 방대하고 가장 집중적으로 밀집하였으며, 예술적 수준과 주제의 다양성 측면에서 놀라운 작품이다.
기준 (ⅲ) : 드라켄즈버그의 산악 지대에서 4,000년 이상 거주했던 산족은 방대하면서도 놀라운 암벽화를 남겼는데, 이를 통해 그들의 생활 방식과 믿음에 대해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기준 (ⅶ) : 본 유산은 치솟은 현무암 기둥, 날카롭고 극적인 절개면(cutback), 황금빛 사암 절벽 등 빼어난 자연미를 지닌 곳이다. 또한 고지대의 완만한 초원, 원시 그대로의 가파른 계곡과 바위 협곡이 이곳의 절경을 한층 더 고조시킨다.
기준 (ⅹ) : 유산은 생물다양성의 현지내(in-situ)보전이 가능한 중요한 자연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유산 내에 서식하는 종의 다양성, 특히 식물 종의 다양성은 놀라운 수준이다. 유산은 ‘세계 식물 다양성 중심지구’로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드라켄즈버그 고산대(Drakensburg Alpine Region)라는 자체의 식물구계(植物區系)를 갖는 지역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아울러 본 유산은 전 세계적인 중요성을 지닌 고유종 조류 지역 내에 있으며, 노란가슴종다리(yellow breasted pipit, Anthus chloris)와 같이 전 지구적으로 위협에 처한 많은 종이 출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고산의 고원 지대에서부터 가파르고 험준한 산비탈과 하곡(河谷)에 이르기까지 유산 내의 생물 서식지의 다양성은 실로 경이롭다. 이 서식지에서는 수많은 고유종과 위협에 처한 동식물이 보호받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말로티-드라켄즈버그 공원 [Maloti-Drakensberg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