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튀니지 /이츠케울 국립공원
[Ichkeul National Park]
요약 : 이츠케울(Ichkeul) 호수와 습지는 오리(ducks), 기러기(geese), 황새(storks), 홍학(pink flamingoes) 등 철새들 수십만 마리가 찾아오는 철새 도래지이다. 이곳에 찾아온 철새들은 먹이를 먹고 둥지를 튼다. 한때 북아프리카에 이어져 있던 호수 중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호수이다.
이츠케울 국립공원
이츠케울 국립공원
이츠케울 국립공원
이츠케울 국립공원
이츠케울 국립공원
국가 : 튀니지(Tunisia)
위치 : 비제르타 지역, 비제르타 남서쪽으로 25킬로미터 (Bizerta District, 25km southwest of Bizerta)
좌표 : N37 9 48.996,E9 40 28.992
등재연도 : 1980년
탁월한 보편적 가치 :
이츠케울 호는 한때 북아프리카에 길게 이어져 있던 호수들 중에서 마지막 남은 거대한 담수호이다. 이츠케울 호와 이를 둘러싼 습지들은 계절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수위와 염도(鹽度)에 기반한 매우 독특한 수문학적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츠케울에서 겨울을 보내는 수십만 마리의 철새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체류지이다.
완전성 :
이 유산은 이츠케울 산악지대(Djebel Ichkeul), 이츠케울 호수, 인근 습지 등 세 가지 주요 서식지를 포함하며, 호수와 습지로 구성된 자연적인 수문학적 기능과 이와 연결된 생물학적· 생태학적 현상을 동반하고 있다. 습지로 이어지는 물길에 댐을 세 개 설치하자는 제안이 있었는데, 이는 이 유산의 완전성에 잠재적인 위협이 된다. 만일 댐을 설치한다면 호수의 현재 염도를 유지하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본문 :
이츠케울 국립공원은 마테우르(Mateur) 평원에 있으며, 지중해 연안에서 남서쪽으로 대략 30㎞ 정도 떨어져 있다.
1240년에 하프스 왕조(dynasty of the Hafsids)는 이츠케울 산을 사냥 지역으로 정해 관리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이 지역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곳임을 처음 인식했으며, 1974년에는 이츠케울 습지의 주요 영역을 산림청(Direction des Fôrets)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이곳은 1980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츠케울 국립공원은 삼림이 우거진 고립된 대산괴(大山塊)인 이츠케울 산과 거무스름한 빛깔의 상시 호수인 이츠케울 호수로 이루어지는데, 호수 지역은 계절에 따라 상태가 변한다. 이츠케울 호수는 우에드틴자(Oued Tindja) 강을 거쳐 바다로 연결되고, 석호(潟湖)인 비제르트 호(Lac de Bizerte)로 이어진다. 여름에는 유입되는 민물 양이 줄어들고 강물의 증발량이 늘어나면서 호수의 수위가 전반적으로 떨어진다. 더불어 바닷물이 유입되어 염도가 높아진다. 이츠케울 호수와 습지의 염도는 7월부터 10월에 걸쳐 가장 높아지고, 가을비가 내리면서 민물이 다시 늘어난다.
이츠케울 산은 트라이아스기(Triassic)와 쥐라기(Jurassic)에 형성된 지층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대개 변성 석회석(metamorphosed limestone)과 유사 백운암 대리석(pseudo-dolomitic marbles)으로 되어 있다. 트라이아스기의 석회석과 퇴적물은 이츠케울 산의 남서쪽 산비탈의 채석장에 드러나 있다. 내륙에 있는 이츠케울 호와 습지는 신생대 제4기의 충적층으로 되어 있다.
이츠케울 국립공원은 지중해 지역의 식물 종이 주로 서식하는 전형적인 반건조 생태계이다. 주요 서식지인 산과 구릉에는 유향수(lentisc, Pistacia lentiscus), 야생 올리브(wild olive, Olea europea), 필리레아(phillyrea, Phillyrea angustifolia), 지중해청미래덩굴(Smilax aspera) 등이 자라며, 튀니지 북부의 식물 종들도 매우 다양하다. 습지의 식물들은 구역에 따라 종류가 다르다. 호수 가장자리에는 갈대(reeds)가 좁은 띠 모양 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내륙에는 매자기(Scirpus maritimus), 큰고랭이(Scirpus lacustris), 골풀(Juncus) 등이 주로 자라고 있다.
이츠케울의 습지는 북아프리카에서 물새를 위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습지이며, 지중해 지역 전체에서 구북구(舊北區) 조류들이 겨울을 나는 장소 중 가장 중요한 곳으로, 한번에 300,000마리~400,000마리가 서식한 적도 있다. 1986년의 기록에 의하면 텃새 34종을 포함해 조류 226종이 서식했다. 가장 수가 많은 조류는 붉은머리오리(wigeon, 39,000마리. 1970년대에 112,000마리), 흰죽지(common pochard, 1971년에 120,000마리), 물닭(coot, 360,00마리, 1973년에 188,000마리) 등이다. 흰죽지와 회색기러기(greylag goose, 3,200마리, 1970년대에 18,000마리)도 개체 수가 꽤 많은데, 이를 통해 이곳은 북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새들이 겨울을 나는 가장 중요한 장소임을 알 수 있다.
1977년에는 멸종 위협을 받는 흰머리오리(Oxyura leucocephala) 600마리(전 세계 개체 수의 4%)가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이곳 습지에서 겨울을 나는 다른 새들로는 역시 멸종 위기 우려종인 대리석무늬쇠오리(marbled duck, Marmaronetta angustirostris), 검은흰죽지(ferruginous duck), 흰눈썹뜸부기(corncrake) 등이 있다. 쇠오리(green-winged teal), 고방오리(northern pintail), 넓적부리(northern shoveler), 장다리물떼새(black-winged stilt)도 수가 많다. 또한 홍학(Flamingoes)이 호수에서 여름을 나기도 한다.
이츠케울은 서식지가 다양해 생물다양성이 매우 풍부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이곳에서 가장 우세한 포유류는 수달(otter)로, 고기를 얻으려는 사람들이 사냥을 해 왔다. 1987년 조사에 따르면 이곳에 서식하는 동물은 10종이 채 되지 않았다. 대형 포유류 멧돼지(wild boar),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이곳으로 도입된 물소(water buffalo)가 큰 군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많은 수의 갈기산미치광이(crested porcupine), 자칼(jackal), 제넷고양이(genet), 이집트몽구스(Egyptian mongoose), 들고양이(wild cat), 네 종의 박쥐(bat)가 서식한다.
파충류와 양서류는 수위와 염도에 따라 다르게 분포한다. 습지에서는 늪개구리(marsh frog)를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얼룩개구리(painted frog), 두꺼비(toad) 세 종, 독이 없는 뱀(snake) 두 종 및 장지뱀(lacertid)이 이곳에 서식한다. 호수에서는 두 종의 연못에 사는 거북, 즉 지중해거북(Clemys leprosa)과 유럽늪거북(Emys orbicularis)이 발견된다.
호수와 습지, 특히 가래(Potamogeton) 속의 물풀이 빽빽이 자라난 호수 바닥에는 바다나 기수(brackish water)에 사는 몇 종의 무척추동물들이 거대한 개체군을 이루고 있다. 갯지네(Nereis diversicolor), 단각류(Gammarus locusta), 옆새우류(Corophium volutator), 등각류(Sphaeroma hookeri), 주걱벌레류(Idotea spp.), 기수고둥류(Hydrobia spp.), 아브라백합(Abra spp.), 새조개류(Cerastoderma glaucum) 등이다. 담수성 무척추동물은 염습지(saltmarsh)의 가장자리에서 나타난다. 틴자(Tindja) 운하 근처에는 지중해녹색게(Carcinus mediterraneus)와 주걱따개비(Balanus amphitrite)가 서식한다.
이 유산에는 북쪽 해안가의 제3기 후반과 제4기 초반의 지층과 같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화석 매장 지대가 있는데, 여기에는 수많은 플라이스토세 포유류 화석들의 독특한 집단이 있다.
이츠케울 산은 1891년에 국가 정부에 귀속되었다. 그전에 이츠케울 산 주변의 호수는 사냥 지역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1240년에 하프스 왕조가 이츠케울 산을 사냥 지역으로 관리했기 때문이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이 지역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곳임을 처음 인식했으며, 1974년에 산림청에서 이츠케울 습지의 주요 영역을 관리, 담당하게 되었다. 이곳은 1980년 12월 18일에 대통령령 80-1608을 통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 1월에는 생물권보전지역이 되었고, 1980년에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목록(람사르 협약)에 올랐으며, 1980년 9월에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보존 및 관리체계 :
이 유산은 엄격한 법적 보호와 관리 계획 아래에 있다. 호수-습지 체계의 생태적 기능은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하류에서 바닷물과 교환된다. 이 두 가지 과정은 모두 계절이나 해(年)마다 자연적으로 변하는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따라서 호수-습지 체계의 물 관리는 이 유산의 관리에서 근본적인 요소이다. 댐의 설치가 이곳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유산은 1996년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상황이 개선되고 생태계 복구가 만족스럽게 진행되어 2006년에 그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현재 중요한 사안은 비가 적게 오는 겨울철에 생태계에 가해지는 영향을 통제하고, 튀니지 전체에서 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일이 이츠케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신중하게 관리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습지와 갈대 지대를 온전히 복원하고, 특히 이곳에서 겨울을 나는 물새(water fowl)들의 수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존하는 생태계를 완성하고 유지하며, 보존하기 위해 수자원 사용을 최적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된 생체 변수와 비생물 지표들을 정기적이고 과학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또 호수 생태계에 무엇이 필요한지 예측하기 위해 수학적 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이다.
등재기준 :
기준 (ⅹ) : 이츠케울 국립공원에는 구북구 서부의 조류들이 겨울을 나는 데 꼭 필요하고 중요한 자연 서식지들이 있다. 매해 겨울마다 이곳에서 물새들이 매우 조밀한 군집을 형성하며, 어떤 해에는 300,000 마리가 넘는 오리, 기러기, 물닭이 동시에 서식하기도 한다. 여기에는 국제적인 의미를 지니면서 보호를 받는 흰머리오리, 적갈색흰죽지(Aythya nyroca), 대리석무늬쇠오리가 있다. 이 유산은 서식지가 매우 다양하여, 200종이 넘는 동물과 500종이 넘는 식물 등 매우 풍부하고 다양한 동식물군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츠케울 국립공원 [Ichkeul National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