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세계자연유산 /미국 /올림픽 국립공원(60)

eorks 2019. 8. 1. 00:21

세계자연유산 /미국 /올림픽 국립공원
[Olympic National Park]
요약 : 워싱턴 주의 북서쪽에 위치한 올림픽 국립공원(Olympic National Park)은 다양한 생태계로 유명하다. 빙하로 덮인 산봉우리(glacier-clad peaks)와 드넓은 고산 초원은 광대한 원시림으로 둘러싸여 있다. 특히 태평양 북서부 연안의 온대우림(temperate rainforest)은 있는 자연 그대로 잘 보호된 가장 뛰어난 사례이다. 올림픽 산맥에 흐르는 11개의 하천은 미국 내에서 소하성 어류(바다에 살다가 산란을 위해 강으로 돌아오는 물고기)가 살기에 가장 적합한 서식지이다. 또한 공원 내에는 100㎞의 원시상태의 해안선이 있는데, 이는 미국 본토 내에서 가장 길이가 길고 미개발된 연안으로서 멸종 위기의 북부점박이올빼미(northern spotted owl), 알락쇠오리(marbled murrelet), 바다송어(bull trout) 등 자생종 및 고유종의 동식물이 풍부하다.

올림픽 국립공원의 이끼 숲

올림픽 국립공원의 이끼 숲

    국가 :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
    위치 : 워싱턴 주(State of Washington)
    좌표 : N47 44 54,W123 26 56
    등재연도 : 1981년
특징 :
올림픽 국립공원은 풍치가 좋은 해안선과 아름다운 호수, 장엄한 산맥과 빙하, 장대한 온대 우림이 특색을 이룬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위도지역에서 비교적 낮은 고도에 빙하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강우분포가 크게 차이가 나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생물분포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지형도 아주 다양하다. 해안을 따라 있는 바위섬들(rocky islets)은 끊임없이 들고 나면서 변하는 해안선이 남겨 놓은 지형이다. 올림픽 국립공원은 생물체의 진화, 생태적 다양성, 그리고 원시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특별한 곳이 되었다.

본문 :
올림픽 국립공원은 다른 산맥들과 떨어져 있고 태평양과 푸젯 사운드(Puget Sound)에 둘러 싸여 있어, 고립된 탓에 올림픽마멋(Olympic marmot), 다른 포유동물의 4아종(subspecies), 송어의 2아종, 식물의 12개 종 또는 변종을 포함하여 많은 고유종이 발달해 있다. 11개의 주요 강이 올림픽 산맥에서 흘러나오는데 이들 강은 소하성 어종들(바다에 살다가 산란을 위해 강으로 돌아오는 연어 같은 물고기)에게 최고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다양한 지형(해안에서 빙하까지)과 강우량의 차이로 인해 식물대가 복잡하고 다양하다. 공원은 산악지역(mountainous core)과 이와 분리된 긴 해안(coastal strip)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올림픽 국립공원의 울퉁불퉁한 형상은 떠다니던 대륙판들(continental plates)이 충돌하여 생긴 결과이다.

이 지역은 서쪽 사면의 많은 강우량과 동쪽 사면의 적은 강우량 차이로 인하여 지형이 다양하게 발달해 있다. 지질구조의 이동 때 가벼운 셰일(shales)과 사암(sandstones)과 현무암(basalts)이 심하게 깎이고 압착되어, 코르크 마개처럼 불쑥 솟아올라, 지름이 약 95㎞나 되는 반구형(dome)이 형성되었다. 깊은 계곡과 협곡은 이 반구형이 침식한 것이며, 빙하는 험준한 형상의 봉우리를 깎아서, 아름다운 원형협곡이 오늘날의 올림픽 국립공원의 멋진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산악지역에는 약 60군데의 활동하는 빙하지형(active glaciers)이 있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위도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며, 해발 2,000m보다 낮은 곳에서 빙하가 시작되며 해발 1,000m 아래에도 빙하가 있다. 드넓은 고산 초원(alpine meadows)이 곳곳에 산재해 있는 빙하로 덮인 산봉우리는 광대한 원시림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특히 태평양 북서부 연안의 온대 우림은 있는 자연 그대로 잘 보호되어 있는 최상의 예이다.

약 80㎞에 뻗어 있는 긴 해안띠는 원시 그대로의 해안으로서, 바위 곶(rocky headlands), 통나무가 흩어져 있는 해변(log-strewn beaches), 풍부한 조간대 생물(intertidal life)이 특징이며, 해안을 따라 보이는 바위섬들은 끊임없이 들고 나면서 변하는 해안선이 남겨 놓은 지형들이다. 아치, 동굴, 부벽 등은 끊임없이 때리는 파도가 만들어 낸 것들이다. 바위 위의 작은 웅덩이(tide pools)들은 수백 종의 무척추동물들로 가득하며, 파도 속에서, 그리고 연안의 섬 주변으로는 물개, 바다표범, 해달, 고래가 헤엄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이 유산의 완전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은 이상하게도 이곳에 모여드는 산양(mountain goat)이다. 올림픽 산(the Olympics)이 지리적으로 고립된 탓에 산양들은 자연적으로는 절대 이곳에 분포하지 않았는데, 1925년~1929년에 처음 인공적으로 도입된 이후 자연 생태계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산양들 때문에 토양침식을 막아주는 피복식물(plant cover)이 줄어들어, 침식이 늘고 있으며, 식물 군집도 산양에 대해 저항성이 크거나 산양이 덜 좋아하는 식물 종으로 바뀌고 있다. 산양들은 적어도 세 종류의 고유종 식물들을 먹고 사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산양으로 인해서 이런 식물 종이 멸종 위기에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올림픽 산의 침염수림은 상업적으로 최고로 꼽히며, 실제로 공원 밖의 원래의 숲은 모두 벌목이 되었다.

1938년 6월 29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53년 1월 6일에 태평양 연안과 퀴츠 강 생태통로(Queets River corridor)가 여기에 추가되었다. 1976년 6월에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으로 지정되었으며, 1981년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기준 :
기준 (ⅶ) : 올림픽 국립공원은 뛰어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 온대지역에서 가장 넓은 보호구역으로서 하나의 복합적인 생태계 안에 해안선부터 온대우림, 고산초원(alpine meadows), 빙하로 덮인 산봉우리까지 모두 다 포함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원시의 온대우림이 펼쳐져 있고, 지구상에서 가장 큰 침엽수종(coniferous tree species)이 많이 자라고 있다.

기준 (ⅸ) : 해안에서 빙하에 이르기까지 공원의 다양한 지형은 많은 강우량의 영향으로 복잡하면서도 다양한 식생대(vegetation zones)를 형성하고 있는데, 태평양 연안에서는 서식지의 다양성 면에서 이와 비길 만한 곳이 없다. 해안의 올림픽 우림지역(Olympic rainforest)은 유산 내에 가장 잘 발달되어 있으며, 세계에서 살아있는 생물체의 생물량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공원은 고립되어 있어 고유종 야생생물이 활발하게 서식하고 있는데, 송어의 아종(subspecies of trout), 다양한 식물, 그리고 독특한 색의 털을 가진 포유동물이 있으며, 이는 다른 경로의 진화과정을 보여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올림픽 국립공원 [Olympic National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