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인도네시아 /우중쿨론 국립공원
[Ujung Kulon National Park]
요약 : 우중쿨론 국립공원(Ujung Kulon National Park)은 순다 대륙붕(Sunda shelf)의 자바(Java) 섬 남서쪽 끝에 있다. 이 유산은 우중쿨론 반도와 근해의 여러 섬을 비롯하여 크라카토아(Krakatoa) 자연보존지구를 포함한다. 또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내륙 화산에 대한 연구 목적에 따른 지질학적인 관심을 끄는 것은 물론, 자바평야에 남은 가장 큰 저지대 우림 지역도 포함되어 있다. 이곳에서 멸종 위기에 놓인 식물종과 동물종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중 멸종 위협이 가장 심각한 종은 자바코뿔소(Javan rhinoceros)이다.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우중쿨론 국립공원
국가 : 인도네시아(Indonesia)
위치 : 반텐(Banten, 옛 서자바(West Java)) 주, 람풍(Lampung) 주
좌표 : S6 45 0,E105 19 60
등재연도 : 1991년
본문 :
우중쿨론 국립공원은 자와바라트(Jawa Barat)와 판덱랑(Pandeglang) 지구에 속하는 자바 섬 남서쪽 끝에 있다.
우중쿨론은 자바 섬 본토의 남서쪽 극단에서 돌출된 삼각형 형태의 반도이고, 약 1~2㎞ 너비의 낮은 지협을 통해 자바 섬으로 연결된다. 지형은 구눙파융(Gunung Payung) 단층 지괴의 남북 방향으로 정렬된 마루에 의해 남서쪽에서 주로 나타난다. 남서쪽에는 반도의 가장 높은 지점을 형성하는 구눙파융과 구눙구하벵당(Gunung Guhabendang), 구눙시쿠자(Gunung Cikuja)의 봉우리가 있다. 지세의 윤곽은 텔란카(Telanca) 고원의 낮게 이어지는 산등성이와 평야와 지협 지역의 낮게 분포된 습지까지 북동쪽으로 약화된다. 동쪽으로는 구눙혼제(Gunung Honje) 단층 지괴가 공원의 본토를 구성하고 있다. 해안은 돌출된 많은 산호섬과 그와 관련된 둘레초(fringing reefs)로 이루어져 있고, 둘레초는 반도의 북쪽 해안에서 조금 떨어져 있으며, 산호섬 중 가장 큰 섬은 풀라우한데울레움(Pulau Handeuleum)이다. 남쪽에서 나타나는 해안선의 특징으로는 모래언덕이 형성되어 있고, 산호초(coral reef)가 올라온 곳이 있으며, 서쪽으로 더 가면 침식되고 부스러진 사암(sandstone) 조각이 늘어서 있다. 넓은 산호초와 장관을 이루는 화산 지형은 노출되고 파손된 서쪽 해안을 따라 나타난다.
지질학적으로 우중쿨론, 구눙혼제 및 풀라우파나이탄(Pulau Panaitan)은 순다 대륙붕의 제3기 이전 지층에 위에 놓인 신생 제3 산계(Tertiary mountain system, 第三 山系)에 속한다. 크라카타우 자연보호지역은 지각활동이 활발한 순다 대륙붕 가장자리에 있다. 크라카타우 자연 보호 지역은 아낙 크라카타우(Anak Krakatau, 크라카타우의 아들)의 중심 섬과 주위 산호와 함께 라카타(Rakata), 파양(Payang), 세르퉁(Sertung)의 주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주변 섬들은 1,500여 년 전에 폭발 후 붕괴되어 세 개의 화산추(火山锥)를 남겼던 화산인 ‘고대 크라카타우’의 잔해이다.
이곳의 식물들은 여러 인위적, 자연적 변화를 겪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1883년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이었다. 그 결과 자연 식생층에 해당하는 주된 저지대 우림은 현재 전체 지역의 50퍼센트에 불과하고 대체로 구눙파융과 혼제 단층 지괴에만 식물들이 남아 있다.
구능파융과 풀라우페우캉(Pulau Peucang)에서는 높은 폐쇄형 임관(林冠, canopy) 숲이 있으며, 텔란카 고원과 중앙 저지의 식생은 좀 더 개방된 형태의 이차림(二次林, secondary forest)이다. 탄중(Tanjung)에서 가까운 우중쿨론의 북쪽 갑(岬)을 따라 나타나는 알랑알랑(alang-alang)은 계절에 따라 물에 잠기는 민물 늪림(inundated freshwater swamp forest)이 된다. 맹그로브(Mangrove) 숲은 치칼롱(Cikalong) 강 북쪽까지 이어지고 풀라우한데울레움(Pulau Handeuleum)의 북쪽과 풀라우파나이탄의 북동쪽 해안까지 뻗어 지협의 북쪽 면을 따라 넓은 지대에 나타난다. 우중쿨론의 북쪽 해안과 북서쪽 해안의 영양분이 부실한 모래톱에서는 해변 숲이 나타난다.
우중쿨론은 자바코뿔소가 살아갈 수 있는 마지막 남은 자연의 서식처이고, 자바호랑이(Javan tiger)는 약 40년 전에 이 지역에서 절멸되었다. 다른 특이할 만한 포유류로는 표범(leopard)과 들개(wild dog), 표범살쾡이(leopard cat), 고기잡이살쾡이(fishing cat), 자바몽구스(Javan mongoose)와 몇 종의 사향고양이(civets)가 포함된다. 영장류 중에서는 고유종인 자바긴팔원숭이(Javan gibbon)와 자바잎원숭이(Javan leaf monkey)가 고유종인 은색잎원숭이(silvered leaf monkey)와 함께 지역적으로 나타나고, 게잡이원숭이(crab eating macaque)는 공원 전체에서 발견된다. 몇 종의 유제류(有蹄類, Ungulates)도 공원 안에 분포하며 그중 가장 크고 많은 것은 반텡(banteng)이다.
270종 이상의 많은 조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된다. 육생파충류와 양서류에는 두 종의 악어와 다양한 개구리, 두꺼비와 함께 두 종의 비단구렁이(python)가 있다. 바다거북(Green turtle)은 공원 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중쿨론 해안의 풍부한 산호초는 산호무리(coral mass)의 약 90%를 차지하는 소수 종이 지배적이며, 우중쿨론의 해안에는 심층수(deep water)와 암초 종(reef species)이 충분하여 군도에서 가장 풍부한 어류군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한다.
풀라우파나이탄의 라스카(Raksa) 산 정상에는 기원후 1세기의 초기 힌두교 고고학 유물인 가네샤(Ganesha) 상이 있으며, 이 섬은 순다 해협을 통과하는 항해용 선박의 중요한 정기 기항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임스 쿡(James Cook) 선장은 1771년 1월 6일~16일에 파나이탄 섬의 남동쪽에 영국군함인 인데버호(HMS Endeavour)를 정박시켰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풀라우파나이탄과 풀라우페우캉 자연 보호 지역은 1937년 법령 GB-17-Stb1-420호에 의거하여 지정되었다. 우중쿨론 자연보호지역은 법령 ‘48-kpts-Um-4-58호’에 의거하여 지정되었고, 구눙혼제 자연 보호 구역은 1967년에 지정되었다. 우중쿨론 국립공원은 1980년에 지정되었다. 크라카타우는 1921년 자연보호구역으로 고시되었으며 1983년에 국립공원에 편입되었다.
등재기준 :
기준 (ⅶ) : 크라카타우(Krakatau) 자연보전지구는 최근의 섬의 화산활동을 세계에서 가장 잘 보여 주고 있다. 이 공원은 숲과 해안선과 섬과 함께 뛰어난 자연 경관을 보여 준다.
기준 (ⅹ) : 우중쿨론 반도에는 자바 섬의 저지대 열대우림이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다. 멸종위기의 식물종과 동물종이 있고, 그중 특히 자바코뿔소에게는 생존에 적합한 마지막 자연개체군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중쿨론 국립공원 [Ujung Kulon National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