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세계자연유산 /콩고민주공화국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100)

eorks 2019. 9. 11. 00:18

세계자연유산 /콩고민주공화국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Okapi Wildlife Reserve]
요약 :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Okapi Wildlife Reserve)은 콩고민주공화국의 북동부 이투리(Ituri) 삼림지대의 5분의 1 정도를 차지한다. 자연 보존 지역과 숲의 일부 지역에 속하는 콩고(Congo) 강 유역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배수 시스템 중 하나이다. 보호 지역은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와 다양한 조류를 보호하고 있으며, 야생에서 사는 총 30,000여 마리의 오카피(okapi) 중 약 5,000여 마리가 이곳에서 서식한다. 이곳은 이투리 강과 에풀루(Epulu) 강의 아름다운 폭포들을 비롯한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보호 지역에는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는 음부티(Mbuti)족과 에페(Efe)족 피그미(pygmy) 사냥꾼들이 거주하고 있다.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국가 :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위치 : 오리엔탈(Orientale) 주
    좌표 : N2 0 0,E28 30 0
    등재연도 : 1996년(1997년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등재)
    탁월한 보편적 가치 :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은 독특하고 다양한 식물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재 살아남은 오카피 개체군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수가 이곳에 서식하는 것을 비롯하여 많은 고유종 또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 종에게 안전한 피난처가 되어주고 있다. 보호 지역은 이투리(Ituri) 삼림의 5분에 1에 해당하는 지역을 보호한다. 이 삼림은 콩과의 교목인 림발리(limbali, 학명 Gilbertiodendron sp.)가 우점하는 울창한 상록수림 ‘음바우(Mbau)’ 숲과 습기가 많은 반(半) 상록수림 삼림지대에 의해서 우점되는 홍적세(洪績世)의 피난처였다. 이 외에도 수로를 따라 형성된 늪지대 숲과 도상구릉(島狀丘陵), 그리고 지역에서 일명 ‘에도스(edos)’라 불리는 넓은 빈터(clearing)를 이루는 지대를 포함하고 있다.

    완전성 :
    보호 지역의 숲 지대는 콩고 분지(Congo Basin)에서 가장 보존 상태가 뛰어난 지역으로 동식물들의 야생 상태를 유지시키기에 좋은 곳이다. 이 보호 지역은 이투리의 대규모 삼림지대의 일부에 걸쳐 있어서 벌목이나 농경과 같은 사람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않아 순수 천연림으로 보존되고 있다.

    본문 :
    이 공원은 콩고 북동부의 이투리 삼림지대 안에 있다. 보호 지역의 약 90%가 이투리 소구역 내의 맘바사(Mambasa) 지역에 걸쳐 있고, 나머지는 오트우엘레(Haut-Uele) 소구역의 왐바(Wamba)와 왓사(Watsa) 지역에 속한다. 공원 북쪽 경계는 네포코(Nepoko) 강이며, 남쪽 경계는 자이르(Zaire) 강의 주요 지류인 이투리 강이다.

    보호 지역의 서쪽은 고도 600m 정도의 완만한 이투리 유역의 평원지대에서 시작하여 자이르 강의 중류 유역에서 급격하게 하강하는 지세를 보이며, 동쪽으로는 1,000m 고도의 삼림지대가 사바나 지대인 앨버트 단층(Albert Rift)에서 갑자기 꺾이는 형태를 이룬다. 보호 지역은 대체로 완만한 고지대이며 숲이 울창하다. 가장 중요한 지형학적 특징은 자이르 강의 배수 시스템과 앨버틴 단층(Albertine rift) 산맥이다. 자이르 강 유역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대규모 배수 시스템 중 하나이다. 다른 주요 수로인 렌다(Lenda), 응가유(Ngayu)와 아감바(Agamba) 강도 포함되어 있다.

    보호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주된 네 개의 삼림 유형에는 늪지삼림, 혼합 삼림, 음바우(Mbau) 삼림, 이차림(二次林, secondary forest)이다. 늪지삼림은 보호 지역 전역에 걸쳐 배수로를 따라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혼합 삼림지대는 전형적으로 나무의 수관(crown, 樹冠, 나무의 줄기와 잎이 많이 달려 있는 줄기의 윗부분)의 높이가 30~40m에 달하지만 때로 키가 훨씬 더 큰 돌출목(emergent trees)이 자라기 때문에 임관(canopy)이 이질적이다. 음바우 삼림지대의 전형적인 나무 높이는 30~40m이며, 임관층(canopy)은 고르고 나무의 밀도가 높다. 숲의 하층(understory)은 개방되어 있으며 아임관층(subcanopy layer)은 없다.

    이곳에는 고유종 야생동물인 오카피를 포함하여 총 52종에 달하는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다. 오카피는 아주 한정적인 지역에만 분포되어 있고, 이투리 삼림지대는 오카피 개체 수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이다. 이곳에 서식하는 다른 고유종 야생동물로는 물아기사슴(water chevrotain)과 아프리카황금삵(African golden cat), 표범, 자이언트그라운드천산갑(giant ground pangolin), 자이언트사향고양이(giant forest genet), 아누비스개코원숭이(anubis baboon), 멧돼지, 피그미영양(pygmy antelope), 숲멧돼지(forest hog)가 포함되어 있다.

    이투리 삼림지대는 아프리카에서 영양의 종류가 제일 많은 곳에 속하며, 13종의 영장류(靈長類)도 목격되었다. 이는 아프리카 지역의 숲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또한 자이르민발톱수달(Zaire clawless otter), 큰꼬리산미치광이(brush-tailed porcupine), 봉고영양(bongo antelope), 시타퉁가영양(Sitatunga antelope), 검은다리몽구스(black-legged mongoose), 블랙몽구스(black mongoose)와 늪몽구스(marsh mongoose)도 이 보호지역에 살고 있다. 2종의 악어인 아프리카긴코악어(African slender-snouted crocodile)와 아프리카난쟁이악어(African dwarf crocodile)도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회색따오기(spot-breasted ibis)를 포함한 329종의 조류가 이 지역에서 서식하며, 올리브따오기(olive ibis), 긴꼬리매(long-tailed hawk), 나한자고새(Nahan's francolin), 검은호로새(black guineafowl), 올빼미류(sandy scops owl), 뜸부기류(Nkulengu rail), 베이트쏙독새(Bate's nightjar), 그리고 고유종인 노랑다리베짜기새(yellow-legged weaver)와 황금목덜미베짜기새(golden-naped weaver, 학명 Ploceus aureonucha) 가 대표적이다.

    수렵·채집인과 이동 경작민들이 수 세기 동안 이투리 삼림지대를 차지해 왔다. 현재 삼림지대에 사는 거주민의 조상은 피그미족과 마찬가지로 수단(Sudan)과 반투(Bantu) 이주민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늘날 이투리 숲에 사는 피그미 부족들은 에페족과 음부티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족들은 야생 식물을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재주가 있다. 피그미 부족들은 수렵과 채집을 하는 반(半)유목 생활양식을 보인다. 이들은 전통 사냥 방식인 그물질이나 활쏘기를 하지 않고, 곤충이나 곰팡이, 과일이나 씨앗 그리고 식물과 벌꿀을 채집해서 살아간다. 단백질 보충은 사냥감 동물이나 물고기로 한다.

    이투리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부족은 대부분 반투족이다. 이 부족은 콩고 지역에 사는 부족 중 우위 집단에 속하며 레세(Lese), 맘부(Mamvu), 비라(Bira), 느다카(Ndaka)와 부두(Budu)족을 포함하고 있다. 단백질 위주의 식습관으로 인해 부족한 탄수화물을 섭취하려고 물물교환에 의존하면서 피그미족과 전통 농민들 사이에 끈끈하고 오랜 경제·문화적 유대관계가 생겼다.

    보존 및 관리체계 :
    이 유산은 야생 동물 보호 지역(Wildlife Reserve)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보호 지역은 음부티와 에페 피그미족과 같은 대규모 원주민 거주지로서 숲의 생태계는 부족들의 경제적, 문화적 터전이다.

    보호 지역에 속하는 세 군데 지역을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계획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는 사냥 행위를 전면 금지한 보호 지역으로 전체의 20%에 해당하는 총면적 282,000ha에 달하는 핵심 보호 지역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총면적 950,000ha의 지역으로 거주민들의 기본적 욕구 해소를 위해 전통 방식에 한하여 숲의 자원을 이용하거나 자율적 사냥을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세 번째는 총면적 18,000ha에 달하는 지역으로 영구 시설 및 농경지로 승인한 개발지역이다. 이 개발지역은 국립공원의 동쪽 가장자리인 맘바사와 뭉베레(Mungbere)를 연결하는 2급 도로를 따라 보호 지역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4번 국도의 양쪽에 길고 가늘게 조성되었다. 전체 국립공원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한 계획도 있다. 보호 지역 주변으로 총 50㎞에 달하는 완충지역을 지정한 것이다.

    보호 지역의 관리와 관련한 주된 과제는 개발지역 내의 무차별적인 이주를 통제하고, 도로를 따라 난 너비 10㎞ 이내의 경계구역에는 농경지 개간을 금하며, 보호 지역 관리와 관련하여 원주민 부족인 음부티와 에페족, 피그미족의 참여 및 개입을 보장하는 것이다. 다른 핵심 과제는 상업적으로 자행되는 불법 밀렵과 전통적인 채광을 제한하는 문제이다. 보호 지역은 각계각층의 비정부기구로부터 다양한 기금과 지원 혜택을 받는다. 그러나 유산 지역과 완충지대의 효과적인 관리에 필요한 인적 자원과 수송 자원은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등재기준 :
    기준 (ⅹ) : 생물지리학적 위치, 풍부한 생물서식공간(biotope), 그리고 희귀종이나 인근 저지대 숲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야생 동식물들의 존재로 미루어볼 때 이투리 숲은 빙하기 이후의 초기 건기(乾期)에 피난처 역할을 한 열대우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호 지역의 북쪽에 있는 화강암 노출부는 고유종인 자이언트소철(Giant Cycad, 학명 Encepholarcus ituriensis)과 같이 이러한 미기후(微氣候)에 적응한 수많은 고유종을 비롯한 많은 식물들의 피난처가 되고 있다.

    보호 지역에는 101종의 포유류와 문서로 기록된 376종의 조류가 서식한다. 산에 사는 기린인 고유종 오카피(학명 Okapia johnstoni)의 개체 수는 약 5,000여 마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콩고민주공화국(DRC)의 북동부 숲 지대에 서식하는 고유 포유류로는 물사향고양이(학명 Osbornictis piscivora)와 자이언트 사향고양이(학명 Genetta victoriae)가 있다. 보호 지역은 영장류 17종(야행성 4종과 주행성 13종을 포함)에게 편안한 서식 공간을 제공한다. 이는 아프리카 숲 지대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며, 7,500마리의 침팬지(학명 Pan troglodytes)도 여기에 포함된다.

    보호 지역에는 6종의 영양(학명 Cephalophus)을 포함하여 14종에 이르는 다양한 종으로 이루어진 유제류(有蹄類, 발굽이 있는 포유류)가 서식한다. 이곳은 7,500마리에 이르는 아프리카숲코끼리(학명 Loxodonta africana cyclotis)가 한꺼번에 무리지어 사는 곳으로 콩고 동부에서 가장 큰 집단을 이루는 서식지이다. 또한 숲에 사는 다른 야생동물에게도 중요한 피난처를 제공하고 있다.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보호종으로는 봉고(bongo, Tragelaphus eurycerus)와 난쟁이영양(학명 Neotragus batesi), 물애기사슴(학명 Hyemoschus aquaticus), 붉은물소(forest buffalo, 학명 Syncerus caffer nanus)와 숲멧돼지(학명 Hylochoerus meinertzhageni)가 속한다. 이 국립공원은 상징적 동물인 콩고공작(Congo Peafowl, 학명 Afropavo congensis)이 출몰하며, 콩고 동부에 서식하는 고유종 조류와 문서에 기록된 많은 아프리카 조류를 보호하는 보호 지역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곳으로 분류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카피 야생 동물 보호 지역 [Okapi Wildlife Reserve]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