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난강망의 십간론(十干論) 비결(秘訣)(5)

eorks 2019. 9. 17. 06:04

풍수지리(風水地理)

난강망의 십간론(十干論) 비결(秘訣)(5)
戊 土
1. 戊土는 寅, 申, 巳, 亥 네 글자에 뿌리를 내리는 힘이 극히 미약하다.
己土 역시 사맹(四孟)의 글자에 뿌리를 내리는 힘은 미약하나 다만 `巳`에 한(限)하여 戊土 양간만은 통근(通根)한 힘이 작용됨을 인정해야 한다. 양간은 음간과 달리 특성상 12운성의 작용력에 민감하며 록(祿)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喜>
戊 + 丙 : 일출동산(日出東山) : 처음에는 고생스럽더라도 나중에는 대성하는 길조가 있음.
戊 + 丁 : 유로유화(有擄有火) : 기획력이 뛰어나며 사물의 처리나 대책을 솜씨 있게 다루는 재능으로 성공.
戊 + 壬 : 산명수수(山明水秀) : 지능에 의해 대성공을 거둘 수 있는 우수한 두뇌의 소유자.
戊 + 壬 + 丙 : 산명수수강휘상영(山明水秀江輝相映) : 비상한 두뇌로 대성함.
戊土가 약하고 壬水가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壬水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범람(氾濫)의 형상이 되어 매우 인색한 특성을 지니게 되며 대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유형이 된다. 이 점은 癸水 또한 마찬가지다.

<忌>
戊 + 甲 : 거석압목(巨石壓木) : 줏대가 없으며 자신이 주장이라고는 없으니 출세하기 어려움.
戊土는 비록 양간이나 보통의 경우와 달리 강할 경우는 木의 극(剋)보다는 설(泄)의 관계를 기뻐한다.
戊 + 庚 : 조주위학(助紂爲虐) : 매우 참견이 심하여 그로 인한 손해를 보기 십상. 득이 없음.
戊土의 경우 식상(食傷)인 庚, 辛金이 강하면 식상의 부정적인 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