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패철론(佩鐵論)(4)

eorks 2019. 10. 10. 00:02
풍수지리(風水地理)

패철론(佩鐵論)(4)
현문 나경 보는법

천지(天池)

나경의 정중심원을 천지(天池)라고 한다.
천지에 자력선 침을 천지침(天池針) 이라고 한다.
천지침은 지남침의 자력에 의해 남북이 고정된다.
남북이 고정되면 그에 준하는 이치를 각각 층으로 실어 해설할 수 있다.
나경의 각각 층이 여러 수십 층으로 분분하나 가장 중요한 이치만 간추린다면 10여 층에 불과하다.
본란에서는 한국현문풍수지리학회에서 사용하는 현문15층 나경에 대하여 각층의 쓰임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방위의 각도를 정확이 하기 위해서는 남북을 정확히 360도 대 180도 로 맞추어야 원하는 각도가 정확해질 수 있다.
즉 천지침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방향지시선인 덧 씌움판을 360도 대 180도 선으로 고정하고 천지침을 맞추면 쉬워진다.
그리고 나서 방향 지시선을 원하는 각도에 맞추면 목표물의 방향선을 쉽게 알 수 있다.
천지침을 1층으로 삼는 나경도 있으나 현문 나경에서는 천지는 층에서 제외하였다.

......^^백두대간^^........白頭大幹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철론(佩鐵論)(6)   (0) 2019.10.12
패철론(佩鐵論)(5)  (0) 2019.10.11
패철론(佩鐵論)(3)   (0) 2019.10.09
패철론(佩鐵論)(2)   (0) 2019.10.08
패철론(佩鐵論)(1)  (0) 2019.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