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철론(佩鐵論)(7)
고전에서 논하는 팔살을 실엇다. 팔요살(八曜殺) 팔요수(八曜水) 팔살황천(八殺黃泉) 용상팔살(龍上八殺) 팔요향(八曜向) 등으로 불리는 이 살(殺)은 고전(古典)에서 감용곤토진산후(坎龍坤兎震山猴) 손계건마태사두(巽鷄乾馬兌蛇頭) 간호이저위살요(艮虎離猪爲殺曜) 묘택봉지일단휴(墓宅逢之一旦休)라 하였다.
팔살의 근거는 역괘상(易卦象)에 있다. 풍수의 이기론에서 역괘상의 이론을 결부할 수 있음은 당연하지만 형상적인 문제가 따르므로 논리와 실제의 적용은 차이가 생겨날 수 있다. 따라서 팔살 방향으로 향은 물론 수도 피하는 것이 좋다.
4층은 황천살을 실었다. 나경에서 황천살은 필수적으로 싣는다. 황천살이 풍수지리에서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황천살은 사로황천(四路黃泉)과 팔로황천(八路黃泉)으로 구분한다. 사로는 건곤간손(乾坤艮巽)이 되고 팔로는 갑경병임을신정계(甲庚丙壬乙辛丁癸)이다. 이는 사로와 팔로가 팔괘방(八卦方)에서 24방위의 정침(正針)과의 관계에서 상호 호환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즉 황천 乾이 반침(盤針) 신임(辛壬)에 있는가 하면 辛壬이 盤針 乾에 있어 상호 교환되어있음을 본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F2A405124E4E32E)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