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오스트레일리아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
[Greater Blue Mountains Area]
요약 :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Greater Blue Mountains Area)는 온대성 유칼립투스 숲이 우세하게 점하고 있는 사암 고원 지대, 급경사면, 협곡 등으로 구성된 지역을 말하며, 총 면적은 약 1,030,000㏊이다. 총 8개의 보호지역으로 구성된 이 유산은 곤드와나(Gondwana) 대륙 시대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유칼립투스가 고립된 채 진화하면서 보여 준 적응성과 다양성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이름이 높다.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에는 유칼립투스 분류군에 속하는 91종의 나무가 있는데, 이것은 블루마운틴의 광범위한 서식지에 자생하는 유칼립투스의 구조적, 생물학적 다양성을 나타낸다. 이 지역에는 호주 전체 관속식물상(vascular flora)의 10%가 출현할 뿐만 아니라, 매우 제한적인 미소 서식지에서만 생존이 가능한 울레미소나무(Wollemi pine)와 같은 고유종과 진화적으로 오래된 종을 비롯하여 상당한 수의 희귀종과 멸종 우려 종이 살고 있어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물 다양성을 잘 대표한다.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좌표 : S33 42 0,E150 0 0
등재연도 : 2000년
본문 :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는 온대성 유칼립투스 숲이 우점하고 있는 사암 고원 지대, 급경사면, 협곡 등으로 구성된 지역을 말하며, 총 면적은 1,030,000㏊이다. 총 8개의 보호 지역으로 구성된 이 유산은 곤드와나 대륙 시대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유칼립투스가 고립된 채 진화하면서 보여 준 적응성과 다양성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이름이 높다.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에는 유칼립투스 분류군에 속하는 91종의 나무가 있는데, 이것은 블루마운틴의 광범위한 서식지에 자생하는 유칼립투스의 구조적, 생물학적 다양성을 나타낸다. 이 지역에는 호주 전체 관속식물상의 10%가 출현할 뿐만 아니라, 매우 제한적인 미소 서식지에서만 생존이 가능한 울레미소나무와 같은 고유종과 진화적으로 오래된 종을 비롯하여 상당한 수의 희귀종과 멸종 우려 종이 살고 있어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물 다양성을 잘 대표한다.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는 뉴사우스웨일스(New South Wales)의 중앙 시드니(Sydney)에서부터 발달한 사암고원 내륙 위에 형성된, 산림이 우거진 자연경관이다. 이 유산은 운송용 도로와 도시개발로 인하여 크게 2개의 블록으로 나뉘어 있고, 총 8개의 보호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놀란 동굴(Jenolan Caves) 카르스트 보전 지역(Jenolan Caves Karst Conservation Reserve)과 함께 블루 마운틴(Blue Mountains), 울레미(Wollemi) 국립공원, 엥고(Yengo) 국립공원, 나타이(Nattai) 국립공원, 카낭그라-보이드(Kanangra-Boyd) 국립공원, 돌의 정원, 설미어 레이크 국립공원(Thirlmere Lakes National Parks) 등과 같이 7개의 국립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산악 지대가 아니지만 해발 100m 이하에서 최고 1,300m 이상 솟아 있는, 매우 깊게 파인 사암 고원이다. 더 높은 산등성이 위에는 현무암 노두가 있다. 가까운 과거에 지질학적 역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이 고원은 기후변화를 피할 수 있는 피난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다양한 동식물이 생존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는 특히 습하거나 건조한 경엽수림(硬葉樹林, sclerophyll forest), 말리나무(mallee, 땅속줄기로부터 많은 가지가 자라는 형태를 보이는 유칼립투스 나무들)가 서식하는 황야(heath) 지대, 늪지, 습지, 초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도 균형을 이루는 유칼립투스 서식지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체 91종에 달하는 유칼립투스(지구 전체의 13%)가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에 서식하고 있고, 그중에서 12종은 시드니 사암지대에서만 발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는 다양한 수종의 유칼립투스 외에도 전 지구적으로 의미가 있는 고대의 잔존 생물종이 서식한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공룡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살아 있는 화석’ 울레미 소나무이며, 최근에 발견됐다. 수백만 년 이전에 이미 멸종했다고 판단되었던 이 고대 수종 중에서 생존한 소나무 몇 그루는 등재된 유산 지역 안에서도 가장 외지고 접근이 불가능한 협곡 지대에 소수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레미 소나무는 전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생물종 중의 하나이다.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의 험준한 협곡과 탁상지(tableland)에는 400종 이상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에는 녹색황금늪개구리(green and golden bell frog, Litoria aurea), 블루마운틴물도마뱀(Blue Mountains water skink, Eulamprus leuraensis)과 같은 희귀 파충류를 포함하여 얼룩주머니고양이(spotted-tailed quoll), 코알라(koala), 큰유대하늘다람쥐(yellow-bellied glider), 긴코쥐캥거루(Long-nosed Potoroo)와 같이 보전의 가치가 큰 멸종 우려 종 또는 희귀종이 있다.
등재기준 :
기준 (ⅸ)(ⅹ) : 오스트레일리아의 유칼립투스는 곤드와나 대륙 시대 이후에 고립된 상태에서 적응, 진화했다는 점에서 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만하다. 이 지역에는 습하거나 건조한 경엽수림, 말리 나무가 서식하는 황야 지대, 늪지, 습지, 초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도 균형을 이루는 유칼립투스 서식지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전 세계 유칼립투스의 13퍼센트를 차지하는 90분류군의 유칼립투스가 서식하며, 4그룹의 대표 유칼립투스가 모두 이곳에 출현한다. 총 114종의 고유종과 120종의 국가적 수준의 희귀종 및 멸종 우려 종이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므로 고유성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지역에는 극히 제한된 미소 서식지에서만 발견되는 몇 종의 진화적 잔존 생물종(evolutionary relic species, Wollemia, Microstrobos, Acrophyllum)이 서식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블루마운틴 산악 지대 [Greater Blue Mountains Area]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