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세계자연유산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147)

eorks 2019. 10. 27. 19:00

세계자연유산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
[Tropical Rainforest Heritage of Sumatra]
요약 : 면적 2,500,000㏊에 이르는 수마트라(Sumatra)의 열대우림 지역은 구눙레우서(Gunung Leuser), 크린치 스블랏(Kerinci Seblat), 부킷 바리산 슬라탄(Bukit Barisan Selatan)의 세 국립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멸종 위기 생물종을 비롯하여 수마트라 특유의 다양한 생물상(biota)을 장기간 보존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이 기대되는 곳이다. 이 보호 지역에는 17개의 고유속(屬)을 포함한 식물 10,000여 종과 포유동물 200여 종, 조류 580여 종의 서식지이다. 조류 중 465종이 텃새이며 21종은 고유종이다. 포유동물 중 22종은 인도네시아 군도내의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아시아 종이며 고유종인 수마트라오랑우탄을 포함하여 15종은 인도네시아(Indonesia)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종이다. 이 지역은 섬의 진화에 대한 생물지리학적 증거도 제시하고 있다.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

    국가 : 인도네시아(Indonesia)
    위치 : 수마트라 섬의 낭그로에 아체 다루살람(Nanggroe Aceh Darussalam), 북부 수마트라(Sumatra Utara), 잠비(Jambi), 서부 수마트라(Sumatra Barat), 남부 수마트라(Sumatra Selatan), 벵쿨루(Bengkulu), 람풍(Lampung) 주
    좌표 : S2 30 0,E101 30 0
    등재연도 : 2004년(2011년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등재)
    본문 :
    이 연속유산은 부킷바리산 산맥을 따라 넓게 분리된 국가에서 보호하는 세 지역으로 이루어지며, 부킷바리산 산맥은 수마트라 섬의 서쪽을 따라 이어진다. 이 유산은 세 국립공원으로 이루어지는데, 구눙레우서국립공원은 수마트라 섬의 북부에 있는 낭그로에아체다루살람(Nanggroe Aceh Darussalam)주와 북부수마트라(Sumatra Utara)주에 걸쳐 있고, 크린치 스블랏국립공원은 수마트라 섬 남중부의 서부수마트라(Sumatra Barat)주와 잠비(Jambi)주, 남부수마트라(Sumatra Selatan)주, 벵쿨루(Bengkulu)주에 걸쳐 있으며, 부킷바리산슬라탄국립공원은 수마트라 섬의 더 남쪽 지역인 벵쿨루(Bengkulu)주와 람풍(Lampung)주에 걸쳐 있고 남서 해안과 부분적으로 접해 있다.

    여러 지역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이 유산 지역은 부킷바리산 산맥을 따라 적도를 넘나든다. 이 유산은 활화산이 산재하는 섬의 서쪽면을 따라 1,650㎞까지 이어진다. 수마트라의 동쪽은 대부분 저지대이며 과거 빙하시대에는 아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쪽의 구눙레우서국립공원은 길이 150㎞, 폭 100㎞이며 주로 산악지형이다. 이 공원은 바리산 서부와 알라스 서부(West Alas), 바리산 동부 대부분 지역에 걸쳐 있으며 주로 알라스 계곡 지구(graben)로 나누어진다. 중심의 크린치 스블랏(Kerinci Sablat National Park Sablat) 국립공원은 부킷바리산의 등성이를 따라 아래로 350㎞까지 이어진다. 공원의 4분의 3은 가파르며, 가장 높은 곳은 3,805m의 장엄한 구눙크린치 로, 수마트라의 최고봉이자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높은 활화산이다. 인근의 구눙투주(Gunung Tujuh)는 1,996m에서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화산 호수이다. 부킷바리산슬라탄 국립공원도 길이는 350㎞이지만 평균 너비는 45㎞에 불과하다. 북쪽의 3분의 2는 산악지형으로 평균 고도 1,500m이며 가장 높은 곳은 1,964m 높이의 구눙풀룽(Gunung Pulung)이다. 이 공원 남쪽의 절반은 지대가 낮고 그 중 90㎞는 반도이며 길이의 절반은 바다와 접해 있다. 공원은 수십 개 강의 발원지이며, 호수와 온천도 몇 곳이 있다.

    세계의 꽃피는 식물(속씨식물)의 10%가 인도네시아 군도에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인 수마트라에는 수마트라 섬 저지대산림(Lowland Forest) 생태지역(Ecoregion)과 산지림(Montane Forest) 생태지역이 있으며, 세계야생동물기금(WWF)의 순다랜드(Sundaland) 생물다양성 집중지역에 부분적으로 속한다. 이곳의 숲은 보르네오(Borneo)와 파푸아뉴기니(Papua New Guinea)의 우림에 견줄 만큼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열대 우림에 속한다.

    수마트라의 동물다양성은 매우 우수하여 180여 종의 포유류와 450여 종의 조류가 있다. 수마트라는 고유종의 비율이 매우 높은데 특히 유산지역에서 뚜렷하다. 이곳에 고유종이 많은 이유는 해수면 변화에 따라 수마트라와 아시아 본토의 생물상이 육지와 연결되었다가 단절되었기 때문이다. 몇몇 동물의 분포적 특성은 75,000년 전 토바 산(Mount Toba)의 응회암분출(凝灰岩, tuff eruptions)로 인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수마트라오랑우탄(Sumatran orangutan)은 토바 호의 남쪽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아시아맥(Asian tapir)은 호수 북쪽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이 지역은 고도의 범위가 넓어서 다양한 서식지가 형성되면서 생태적 생물학적 진화가 용이했을 것이다. 이곳의 주요 포유류로는 수마트라호랑이(Sumatran tiger), 수마트라코뿔소(Sumatran rhino), 오랑우탄, 수마트라 코끼리(Sumatran elephant)가 있으며 그 외에도 말레이곰(Malayan sun-bear)과 고유종인 수마트라회색긴꼬리원숭이(Sumatran grizzled langur)와 후거워프쥐(Hoogerwerf’s rat)가 있다. 이곳에 기록된 희귀성 조류로는 수마트라땅뻐꾸기(Sumatran ground cuckoo), 럭파랑딱새(Rueck’s blue flycatcher), 스톰황새(Storm’s stork), 흰죽지오리(white-winged duck)가 있다.

    등재기준 :
    기준 (ⅶ) : 수마트라 열대우림 세계유산을 포함하는 국립공원들은 모두 ‘수마트라의 안데스’로 알려진 부킷바리산 산맥의 주된 능선에 있다. 경관은 규모면에서 다양할 뿐 아니라 갖가지 아름다움이 펼쳐진다. 이 산맥은 마을이 있고 개발된 수마트라의 저지대를 웅장하게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눈부시게 아름다운 구눙투주호(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호수), 거대하고 웅장한 크린치 화산, 자연우림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수많은 작은 화산성 연안 및 빙하 호수들, 숲으로 덮인 산에서 연기를 뿜어내는 분화구, 울창한 우림을 배경으로 한 수많은 폭포와 동굴들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수마트라 열대우림 세계유산 지역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기준 (ⅸ) :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은 수마트라 섬의 저지대와 산악 우림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산악림 지대이다. 한때 거대한 열대우림 섬이었던 이곳은 단 50년 만에 우림의 규모가 줄어들어 세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고립된 지역으로만 남아 있다. 구눙 레우서 국립공원을 포함한 레우서 생태계는 수마트라에 남아 있는 우림 중 가장 크고 중요한 우림이다. 세 공원 모두 진화기에 생물종에게 기후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중요한 피난처(refugia)가 되었을 것이 분명하며, 미래 진화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한 피난처가 될 것이다.

    기준 (ⅹ) :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세계유산 지역에 포함되는 세 공원의 서식지는 매우 다양하고, 생물다양성이 매우 뛰어난 지역이다. 이 세 지역의 식물다양성을 모두 합하면 수마트라의 전체 식물다양성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적어도 이 지역 고유종 92종이 구눙 레우서 국립공원에서 확인되었고, 세계에서 가장 큰 꽃인 라플레시아(Rafflesia arnoldii)와 꽃의 키가 가장 큰 타이탄아룸(titan arum: Amorphophallus titanium)도 이곳에 있다. 이 유산지역 안에 있는 저지대 잔존 산림은 동남아시아의 저지대 산림에서 빠르게 사라져가고 있는 동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산악 우림의 경우 멸종 위험은 덜하지만 이 지역의 독특한 산악 식생을 보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곳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 [Tropical Rainforest Heritage of Sumatra]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