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대한민국 /남사당놀이
[Namsadang Nori]
요약 : 남사당놀이는 말 그대로 ‘남자들로 구성된 유랑광대극’으로서 원래 유랑예인들이 널리 행하던 다방면의 한국 전통 민속공연이다. 지금은 전문 극단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 가고 있다. ‘풍물’은 꽹과리·징·장구·북 등의 타악기 소리가 강조된다. 덧뵈기는 여러 사회 계층의 사람들을 묘사하는 네 마당(마당씻이·옴탈잡이·샌님잡이·먹중잡이)으로 구성된다. 어름은 높이 매달린 외줄 위에서 곡예를 부리며 바닥의 어릿광대와 재담을 주고받는 놀이이다. 덜미에서는 50여 개의 인형들이 등장하여 등장인물이 주고받는 대사와 악사들의 음악이 일곱 마당으로 펼쳐진다. 살판은 지상에서 행하는 곡예에 재담과 음악이 곁들여진다. 그리고 나무 막대기로 쳇바퀴를 돌리는 복잡한 묘기의 버나가 공연을 풍성하게 만든다.
남사당놀이는 야외 마당에서 연희자들을 둘러싸는 시골 관객들을 즐겁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특히 탈춤과 꼭두각시놀음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들은 물론이고 하층민들의 억압받는 삶을 놀이로 보여 주었다. 이런 공연은 정치적으로 힘없는 자들을 대변하여 풍자로써 문제점들을 제기하기도 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꿈을 주고 삶을 이어 가게 하는 평등과 자유의 이상을 보여 주었다.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살판놀이
남사당놀이 덧뵈기
남사당놀이 덜미놀이
남사당놀이 버나돌리기
무동
덧뵈기
풍물
줄타기 놀이
남사당놀이를 대표하는 풍물놀이
버나(접시돌리기)
풍물놀이
무등타기
남사당 놀이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남사당패는 현재는 서울을 근거로 하고 있지만 그 내용면에서는 주로 경기도 안성 부근에서 전파되었고, 넓게 보면 한국 전역에서 연행되었다.
본문 :
전통적으로 남사당패는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떠돌아다니면서 주로 서민 관객들을 위해 그들의 레퍼토리를 공연하였다. 오늘날 유일하게 남아 있는 극단은 원래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에 있는 천룡사라는 절 근처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 20세기 초까지 이 집단은 한국의 중부지방 근처에서 마을에서 마을로 떠돌아다니고, 때로는 멀리 중국 북동부의 만주지방까지도 갔다. 활발하게 유랑 공연을 펼치며 민중놀이·탈춤놀이와 여러 지방의 계절 놀이에 영향을 미쳤다. 유랑예인들은 자신들이 펼치는 연희로 얼마 안 되는 벌이로 살아가면서 주로 사찰에서 머물렀다. 그곳에서 사찰 승려들이 만드는 부적을 팔거나 하며 수입을 절에 시주하기도 하였다.
남사당패에는 전체 레퍼토리를 펼치는 데 약 40~50명의 남자 연희자들이 필요하다. ‘우두머리’라는 뜻의 꼭두쇠 밑에 기획자(곰뱅이쇠)와 뜬쇠(무대 관리자), 가열(연행자), 삐리(초입자), 저승패(늙은 단원), 그리고 잔심부름꾼과 패거리들의 장비를 운반하는 등짐꾼이 있다. 엄격한 위계질서와 도제방식을 두고 그들은 세대를 이어 기술을 전수하였다. 남사당놀이의 여섯 종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농악대(풍물) : 현재는 남사당패가 공연하는 농악은 원래 한국 중부의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에서 유래되었다. 도로 행진과 개인놀음으로 구성된다.
• 가면극(덧뵈기) : 열세 명의 연희자가 등장하는 네 마당은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마당씻이, 잘못된 외래문화 수입을 비판하는 옴탈마당, 양반을 조롱하는 샌님잡이, 문란한 성에 대해 비판하는 먹중으로 구성된다.
• 조선줄타기(어름) : 팽팽한 외줄 위에서 여러 가지 곡예를 펼치는 사이사이에 바닥의 어릿광대와 재담을 주고 받는다. 줄은 높이 2.5m에 약 9~10m의 길이로 설치된다. 현재 남사당패의 권원태(權元泰, 1967~,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줄꾼은 17가지의 곡예를 펼칠 수 있다.
• 꼭두각시놀음(덜미) : 31종의 인형 총 51개가 등장하며 2마당 7거리로 공연된다. 무대는 지상에서 약 1.2m 높이에 검은 천으로 설치한다. 인형 조종자들이 막 뒤에서 인형을 조종하면서 악사들과 함께 무대 앞에 앉은 화자들과 대화를 주고받는다. 극은 늙은 박첨지 마당, 평안감사 마당으로 구성된다. 늙은 박첨지 마당은 박첨지유람거리, 피조리(박첨지의 조카)거리, 꼭두각시(박첨지의 아내)거리, 이시미(비단구렁이)거리로 구성된다. 평안감사 마당은 매사냥·상여거리·절 짓고 허는 거리로 구성된다.
• 땅재주(살판) : 이 마당에서는 지상에서 다양한 곡예를 펼친다.
• 사발돌리기(버나) : 약 40cm 길이의 나무 막대기를 사용하여 쳇바퀴를 돌리는 복잡한 기술을 선보인다. 때때로 담뱃대나 칼, 작은 얼레를 사용하거나 이런 도구들을 즉흥적으로 결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남사당놀이의 여섯 마당 중에서 가면극과 꼭두각시놀음은 특히 노골적인 사회적 메시지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 희극의 등장인물들은 양반 주인과 저항하는 하인, 늙은 부부와 첩, 속세의 쾌락에 빠져 버린 승려, 끝없는 억압과 착취로 고통 받는 민중과 같은 각각 다른 사회계층의 전형적인 한국 사람들을 대표한다. 이 극들은 단지 흥만 주는 것이 아니라, 목소리를 낼 수단이 없던 민중을 대신해서 문제를 제기하도록 만들어졌다. ‘신분’이라는 제도의 멍에를 쓴 서민 관객들의 마음속에 자유와 평등에 대한 희망을 심어 주려는 의도로 만들어졌다.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들의 삶을 해학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성평등과 인간 존중의 이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탈과 꼭두각시는 각 등장인물들이 처한 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그들 마음속의 고통과 슬픔을 위로받고 심지어 죽음의 두려움마저도 유쾌한 놀이로 극복한다. 이와 같이 남사당놀이는 재치 있는 대화와 상징적인 춤과 몸짓을 통해 자유와 평등 사상을 옹호하였다. 그들은 비록 현실의 한계를 인정해야 하지만 아름답고 고귀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한국 민초들의 소망을 대변하였다. 이 주제들은 전 세계의 관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이 놀이에는 많은 등장인물이 나와서 여러 가지 몸짓과 춤으로 소통을 더 쉽게 해 주고 언어의 장벽을 넘어 관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해 준다.
남사당패는 보통 입구와 출구를 제외하고 사람들이 둘러싼 야외 공터에서 공연을 한다. 그러므로 공연장은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다. 유랑예인들은 들르는 마을마다 평화와 풍요를 비는 의식을 열고 즐겁고 큰 소리로 음악을 연주했다. 그들은 음악과 연극과 춤과 곡예로 마을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고 억압받는 서민들에게 즐거운 순간을 선사하고 그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었다.
남사당놀이는 현대 문화 창조의 원천으로서 본질적 가치가 있다. 적어도 1500년의 역사를 가진 이 종합 민속예술은 광범위한 장르의 한국 공연예술을 대표한다. 그 내용은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던 영화 <왕의 남자>(2005)는 그런 가능성을 재빠르게 증명하였다. 이 영화에는 많은 장면에서 조선줄타기·풍물·가면극놀이·꼭두각시놀이가 등장한다. 유랑예인인 두 주인공이 우연히 왕궁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 영화의 경이로운 성공이 많은 예술가들에게 남사당 레퍼토리의 주제를 활용할 영감을 주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남사당놀이 [Namsadang Nori]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