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중국 /메시레푸(207)

eorks 2019. 12. 27. 00:30

세계무형유산 /중국 /메시레푸
[Meshrep, 麦西热甫]
요약 : 중국의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신장위구르자치구)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위구르족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메시레푸(麦西热甫, Meshrep)는 위구르의 여러 전통을 담고 있는 매우 귀중한 문화 매개체이다. 완전한 메시레푸 행사에는 여러 가지 전통과 음악, 춤, 연극, 민속 예술, 곡예, 구비문학, 음식문화, 게임 등과 같은 공연 예술들이 풍부하게 집약되어 있다. 위구르 무캄(Uygur muqam)은 메시레푸에 포함된 가장 포괄적인 예술 형태이다. 거기에는 노래와 춤, 여흥이 어우러진다.

메시레푸는 ‘진행자’가 분쟁들을 중재하고 도덕규범을 보존하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법정’인 한편, 위구르족 사람들이 그들의 전통적 관습을 배울 수 있는 ‘교실’이기도 하다. 메시레푸는 관습과 문화적인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 ‘진행자’들에 의해서 주로 전승되지만, 또한 행사에 참여하는 거장들과 참관하는 모든 위구르인들에 의해서도 전승된다.

그러나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 그리고 중국 내 다른 문화와 해외에서 들어온 외래문화의 영향, 나아가 젊은 위구르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대거 이주하는 등과 같이 수많은 요인이 메시레푸의 전승을 위협하고 있다. 메시레푸의 개최 횟수나 참여하는 사람들의 수는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한편, 메시레푸 행사의 전통적인 규칙과 풍부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 전승자들의 수는 수백 명에서 수십 명으로 심각하게 줄어들었다.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메시레푸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10년
    지역 정보 :
    메시레푸는 북위 34°~49°31´, 동경 73°31´~96°30´에 있는 중국의 신장웨이우얼자치구(줄여서 ‘신장’이라고 함)에서 주로 연행된다. 신장은 중국의 북서부 국경 지역에 있으며, 유라시아대륙의 내륙 지역으로, 총넓이는 1,660,000km2이다.

    일반적으로 메시레푸는 톈산(天山) 산맥 남부의 타림(塔里木) 분지 지역을 둘러싼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위구르 공동체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아울러 본 무형유산은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과 같은 이웃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나라들에서도 연행되고 있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 존속 가능성 평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메시레푸는 9,000,000명이 넘는 위구르족이 공유하는 전통적인 활동으로, 신장에서는 30년 전만해도 지금보다는 더 자주 열렸다. 전통 축제나 결혼식 등과는 별도로, 절기 행사나 도덕 교육 등과 같은 일상생활이나 경제적 필요에 따라 결정되는 메시레푸 연행은 여러 가지 종류와 기능이 있다.

    비교적 완전한 형태의 메시레푸는 세대를 이어 전승된 관습 및 전통적 원칙에 따라 사람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조직된다. 연행의 형태는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대개,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한 다음, 위구르족에 속하는 한 마을이나 한 지역사회의 사람들이 서로를 초대하거나(참여자의 수는 십여 명에서 수백 명까지 다양하다) 마을 사람들에게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발표하며, 마을 사람들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식이다. 행사장에서 참석자들이 의견을 모아 도덕성이 높은 사람 1명을 뽑아 메시레푸 행사를 주관하고 모든 측면을 주관할 ‘진행자’ 역할을 맡긴다.

    최근까지 메시레푸는 약 5,000,000명의 위구르족이 거주하고 있는 신장 지구의 마을에서 명맥을 이어 나가고 있다. 메시레푸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전통을 연행할 수 있는 기회, 그들의 문화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요인이 메시레푸의 생존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 일자리를 찾아 지역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도시로 이주하는 젊은 위구르인들, 그리고 현대적인 외래문화의 영향에 노출된 젊은이들, 무형유산의 전통과 문화적 의미나 사회적 기능에 대해서는 많이 알지 못하고 참여할 기회가 별로 없어 젊은이들의 관심이 부족해진 현상들이 그 요인들이다.

    또 시골 지역에서는 메시레푸의 개최 횟수나 참여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메시레푸 행사의 전통적인 규칙과 풍부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 전승자의 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개 수백 명에서 수십 명으로 심각하게 감소했다는 사실, 도시에서 가까운 마을들에서 메시레푸의 연행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사실 등이 있다.

    특히 도시의 공동체에서는 생활환경과 생활 리듬의 변화, 그리고 ‘진행자’의 부족 등은 메시레푸의 연행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왔다. 가족이나 친지들의 모임 또는 결혼식 등에서 작은 규모로 연행이 나타나며, 그것도 역시 여흥을 위해 단순히 노래 부르기나 춤을 추는 수준으로 단순해져서 완전한 형태의 메시레푸의 전통, 풍성한 내용, 독창적인 문화적 가치를 잃어버렸다.

    최근에 무형문화유산 보존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정부와, 전승자 및 일반 시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본 유산의 지속성 및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건을 개선하는 긴급한 조치를 마련했다. 메시레푸를 긴급보호목록에 등재하는 것은 위협 및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포괄적인 조치를 취하고, 본 무형유산의 생존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책임을 규정하며, 구조 활동에 참여하는 해당 공동체 소속 주민들의 열성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지방 자치 당국이 비정부기구(NGO), 일반 시민 등의 협조를 받아 적절한 보호 조치를 강구한다 하더라도 메시레푸는 오늘날 심각한 위협과 중대한 위험에 처해 있다.

    첫째, 급속한 도시화 및 현대화로 주민들의 경제 활동과 생활 방식이 변하고 있다. 위구르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하는 메시레푸의 연행 횟수는 현저하게 감소해 왔고, 연행 빈도도 역시 감초 추세이다. 따라서 임시적으로 진행하는 행사 또는 수개월에 한번 진행하는 행사로 메시레푸의 개념이 바뀌어 가고 있다.

    둘째, 카슈가르(喀什) 시의 욜바스 이민(Yolwas Yimin, 1924~2003), 투르판(吐魯番) 시의 카심 아지즈(Kasim Aziz, 1936~2006), 쿠차(庫車) 현의 아부두 라자크(Abudu Razak, 1938~2008)와 같은 뛰어난 메시레푸 ‘진행자’와 민속 예술가들이 세상을 떠났고, 다른 전승자들도 역시 세월이 흐름에 따라 고령화되고 있다. 다시 말해, 전통 그대로의 방식으로 메시레푸를 주관할 수 있는 뛰어난 민속 예술가들이 거의 없다는 뜻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문화적 형태에 변형이 나타나고, 유산의 형태도 불완전해졌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메시레푸를 연행할 때 더 이상 무캄 부르기, 저글링, 게임, 이와 유사한 다른 풍성한 요소들은 사라지고, 주로 스스로 여흥을 즐기기 위한 춤만 남아서 연행되고 있다.

    셋째, 사회 내에서 본 유산이 가지고 있던 중요한 문화적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약화되었다. 특별한 사회적 기능을 목적으로 생겨났던 많은 메시레푸를 오늘날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넷째, 젊은이들이 새로운 유행에 점점 더 매료되며 전통 문화의 연행에 참여하는 일에 점점 더 흥미를 잃고 있다.

    메시레푸는 점점 전통 본연의 모습과 사회적 기능을 상실해가고 있다. 메시레푸는 생존 가능성이 약화되고 있고, 그만큼 유산의 생존과 지속가능성 역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젊은이들이 최신 유행에 더 관심이 많고, 전통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뛰어난 메시레푸 ‘진행자’와 민속 예술가들은 더 이상 그들을 대신할 후계자를 찾지 못했다. 그 결과 전승의 고리가 끊어져버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메시레푸 [Meshrep, 麦西热甫]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