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

eorks 2020. 1. 9. 00:04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
風水地理를 接하면서 많이 使用하는 用語를 골라 一般人들이 쉽게 風水地理를 理解하는데 보탬이 되도록 하였음을 밝혀둡니다,

간(艮) :
四維(乾 坤 艮 巽)의 하나로 東北方이며 家族中에 少男으로 艮山이 高大 肥滿하면 子孫이 부유하고 人丁이 大旺하며 貿易人은 橫財하게된다

간룡(看龍) :
風水地理에서 來龍을 찾아 形勢와 穴의 吉凶을 살피는 方法으로 生氣있고 힘차게 꿈틀거려야 좋은 龍임.

간룡법(看龍法) :
龍脈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으로 山줄기의 起伏을 龍이 꿈틀거리며 달려가는 모습으로 龍脈은 穴을 向해 뻗어내린 中心부분을 본 것임.

간산(看山) :
山을 風水地理의 理致에 맟춰서 吉凶을 살펴보는일.

감결(監訣) :
現場에서 龍, 穴, 砂, 水가 風水 理論에 吉한가 凶한지를 細心하게 觀察하는 것.

감여(堪輿) :
하늘과 땅을 統括的으로 본 모든 것으로 天地를 하나의 틀로보아 風水地理를 論하는것 (감여학)

개구(開口) :
穴場을 中心으로 四神沙가 에워싼 모습으로 主山이 있고 龍虎沙가 穴場을 감싸안은 모습으로 龍虎가 穴을 保護했다는 뜻임.

개당의점(蓋 撞 倚 粘) :
蓋란 峰巒의 높은 곳에서 穴星을 맺으면 모든산을 내려다 보게되며 이렇게 높은곳을 蓋라하고 여기에 葬法을 蓋法이라한다.
撞이란 穴星이 山脈의 가장 中心부분에 있어서 左右나 上下가 기울어지지않고 裁穴할 수 있는 상태 倚란 穴星이 直脈으로 완강하거나 암석이 돌출하면 정맥인 당혈에 천장치 못하게되어 直脈의 옆으로 작은 旁脈이 있게되는데 이러한 側脈에 쓸때 倚라하고 葬法을 倚法이라한다.
粘이란 穴星이 山脈의 가장 아래부분에 내려가서 맺으면 粘이라하고 여기에서 葬法은 粘法이라한다.

개장(開帳) :
帳幕을 연다는 뜻으로 산줄기가 마치 새가 날개를 편것처럼 또는 屛風을 펼친듯 左右로 겹겹이 뻗어내린 形勢이며 開場이 좋으면 來龍이 生氣있고 健康하다.

개혈(開穴) :
穴을 여는것으로 普通 屍身을 安葬하기 위해 땅을 파는 行爲로 開穴하고 오래방치하면 바람이 들어가 生氣가 흩어진다.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