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5)
기(氣) :
物體또는 生命體를 變化시킬 수 있는 에너지,( 地氣. 水氣.)
기룡(騎龍) :
山줄기가 가다가 그친듯한 곳에서 穴을 맺고 本身이 다시 일어나 봉우리가 약간높아 말머리같은 혈로 말을타고 달리는듯한 龍을 말하며 朝堂 .조수가 형성되여 局勢가 이루어저야한다.
길지(吉地) :
風水 에서는 이를 明堂 이라고 부르며 龍. 穴. 沙. 水. 成局의 形象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불려진다.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갈록음수형(渴鹿飮水形) :
두 가지 모두 혈 앞에 연못이 있기를 요한다. 마약 이것이 없을 때는 못을 파서 충당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목마를 것이 물을 마시고 싶어할 때, 그 생각에만 몰두해서 딴 것을 되돌아 보지 않는다. 특히 말, 사슴의 성격은 그런고로, 이 지형의 혈 앞에 물이 있으면 이들 동물은 급하게 물로 뛰어든다고 한다. 이 기운이 있기 때문에 산기운이 발해서 복을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는 모두 길지이다.
구미형(龜尾形) :
거북은 하후(夏后)때 구관점수(九官占數)를 싣(載)고 나왔고 천지의 오행 상생상극은 잘 알고 있는 명물이다. 또한 거북은 음양의 원기를 조화해서 많이 가지기 때문에 그 꼬리는 생기 즉 오행의 정기가 발로하는 곳이다. 때문에 이곳은 길지로서 부귀영화를 가져옴에 틀림없다.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 :
금계는 천계(天鷄)인데, 이 천계가 한밤중에 우선 새벽을 알린 후에 지상의 닭이 따라서 운다. 고로 이 금계형은 상길(上吉), 따라서 닭은 한번 알을 품으면 이십여 마리의 병아리를 부화시키기 때문에 이 형도 역시 대길(大吉). 따라서 이 지형의 소응은 무리를 이끄는 위대한 호걸 및 대대로 많은 자손을 번식시킨다.
금구몰니형(金龜沒泥形) :
금구는 천귀(天龜)이다. 천귀는 기(氣)를 잘 합해서 사물을 만든다. 이 천귀가 진흙탕 속에 빠지면, 토생금(土生金), 즉 오행의 상생관계가 되기 때문에, 이 토는 오행의 기를 받아 땅속으로부터 오행의 기를 합해서 사물을 잘 만든다. 때문에 이 형은 묘지보다도 오히려 택지로서 더 좋다.
금차낙지형(金Ꟃ落地形)금차로방형(金Ꟃ路傍形)금차절각낙지형(金Ꟃ絶脚落地) :
세 가지 모두 금차가 땅에 떨어지면 쇠소리를 내어 사람의 주위를 끈다. 때문에 명성이 나면 숨운 선비가 있다고 해서 고위직에 발탁될 만한 인물을 내고, 또한 쇠가 땅에 떨어졌으므로, 오행의 상생, 토생금의 이치에 적합해서 많은 자손을 번식한다고 한다. 절각낙지(絶脚落地)는 비녀의 머리부분이 땅에 떨어진 것을 의미한다.
노서하전형(老鼠下田形) :
이 형은 혈 앞에 조 또는 고품(庫稟)형의 사가 있기를 요구한다. 만일 이 사가 없으면 쥐가 숩을 장소가 없어서 솔개에게 채이던가 또는 굶어 죽게 될 것이다. 이것이 있으면 그 본성을 발휘해서 번성하게 자손을 낳게 된다. 때문에 이 지형은 자손 번성의 목적에 적합한 길지이다.
도화낙지형(桃花落地形) :
이 꽃이 땅에 떨어지면 모든 사람이 애석해 한다. 이 땅에 묻으면 모든 사람으로부터 애석함을 갖게 하는 군자를 낼 것이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