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6)

eorks 2020. 1. 14. 07:05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6)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 :
이 꽃은 고결한 꽃이며, 그 꽃이 떨어지면 향기가 사방에 퍼진다. 때문에 자손의 발복이 큰 땅이다

보도출갑형(寶刀出匣形) :
희대의 보검이라 해도 갑속에 넣어두고 사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그런데 한번 갑속에서 나오면 간사함을 진압하는 큰 이익을 이루게 될 것이다. 때문에 이 지형의 소응은 천하를 재단하듯이 마치 날카로운 칼로써 허공을 자르는 듯 위대한 인물을 낸다고 한다.

복호형(伏虎形) :
이 형은 혈 앞에 장형(長型)사가 있고, 건술방(乾戌方) 즉 백호의 허리에 결처(缺處)가 있어서 이곳으로부터 혈을 향해서 바람이 불어 와야함을 요한다. 장형사는 엎드린 호랑이의 잠든 눈을 깨우는 데 좋은 것이고, 그리하여 술(戌)방향의 바람은 견성(犬聲)이라 하므로, 만일 이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 얼 때는 복호는 이 바람 소리를 듣고 개 짖는 소리로 들어, 좋은 먹이가 온다고 생각해서 벌떡 일어난다. 이렇게 움직일 때 산기운이 발동해서 이 당을 점유한 자에게 복을 준다. 때문에 길지이다.

비봉귀소형(飛鳳歸巢形) :
봉황은 희대의 영조(靈鳥)이다. 만일 이 새가 나오면 인간에게는 군자가 나오고 성인이 나온다고 한다. 보금자리로 돌아옴은 새끼를 만들기 위함이다. 때문에 이 지형의 소응은 성인 군자를 출생시키는 곳으로 대단히 좋은 땅이다.

비아부벽형(飛蛾附壁形) :
산의 푸른 벽 위에 나는 누에나방이 붙어 있는 것은 최고의 아름다운 형이다. 혈 앞에 꽃가지형이 있고, 왼쪽에 동풍성(東風扇)이 있어. 이 형과 조화되면 길지이다.

사두형(巳頭形) :
이 형은 전안에 개구리형의 사가 있으면 길하다. 이 뱀이 바야흐로 개구리를 먹는 모양이므로 산기운의 발복이 의심할 바 없다

산구형(産狗形) :
개는 다산하며, 대단히 쉽게 낳는다. 때문에 이 지형의 소응은 쉽게 자손을 번식시킬 수 있는 길지이다.

삼녀동좌형(三女同坐形) :
삼녀란 어머니 처 며느리이다. 이 형은 혈 앞에 3개월의 동자안(童子案)사가 있으면, 한 집안이 화합하고 자손이 번성할 길지이지만, 만약 이 3동자 사(砂)가 없으면 삼음도회(三陰都會)의 땅이라 해서 그 소응이 대대로 자식이 없는 여자, 과부를 낳는 망지(亡地)이다.

쌍룡농주형(雙龍弄珠形) :
용은 입으로 호주(狐珠)를 물고 승천한다. 만약 이 호주를 얻지 못하면 만년이 지나도 승천할 수 없다. 때문에 이 구슬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만약 구슬을 얻으면 즐거워서 가지고 놀게 됨은 자연의 정이다. 그래서 농주(弄珠)는 이윽고 승천의 조짐이므로 이 지형의 소응은 묘당에 설 대관(大官)을 낸다.

야자형(也字形) :
이 형은 혈 뒤에 호(乎)자 형의 사가 있고, 혈 앞에 천(天)자형의 사가 있음을 요하며, 만약 이것들이 구비되면 대단한 길지이다. 그 이유는, 문자의 시작은 천지현황우주……(천자문)로서 천(天)자를 선두로 하고, 문장의 끝은 반드시 야(也)또는 호(乎)자로서 끝맺음을 보통으로 한다. 때문에 이 야자형은 문장으로 해서 세상에 이름 있는 학자를 내고, 천자는 문자의 머리이기 때문에 일세를 풍미할 문호를 내며, 시종일관해서 문(文)에 뛰어난 사람을 내는 땅으로 되어 있다.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