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8)

eorks 2020. 1. 16. 05:34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8)
행주형(行舟形) :
이것은 주로 양기(陽基)에 사용되는 형이고, 키, 돛대, 닻을 구비하면 대길이지만, 그중 하나를 구비해도 좋다. 만약 이들 모두를 갖추지 못하면 이 배는 안정을 얻지 못해 점복하던가 또는 유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행주형의 땅은 우물물을 파면 배 밑바닥이 깨져서 침수되므로 흉하다. 행주형은 인물은 만재해서 바야흐로 출발하려는 배를 멈추어 두는 의미로서, 이 형의 토지에는 사람 및 재화가 풍성히 모이는 모양을 초래하는 소응이 있다. 즉, 이 땅을 읍기(邑基)로 하면 이 읍의 발달과 번창은 의심할 바 없다는 것이다.

나경(羅經) :
佩鐵을 일컷는말로 抱羅萬象 經綸天地라 하여 만상의 펼처짐을 포괄할 수 있고 천지를 경륜 할수있다는 데서 포라만상의 羅와 경륜천지의 經을 합쳐 羅經이라 하였다.

나반(那般) :
羅經 또는 佩鐵 이라고도 하며 風水地理에서 꼭필요한 道具이다

낙산(樂山) :
來龍이 方向을 바꾸어 回龍入首 할 때에 뒤쪽에서 來龍의 生氣를 받쳐주는 山으로 回龍入首 때는 樂山이 꼭 있어야 한다.

내당(內堂) :
穴場을 감싼 局內로 自然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使用.

내룡(來龍) :
主山에서 穴로 내려와 入首되기 前까지의 山줄기로 生氣를 품고 있어야함.

내반정침(內盤正針) :
地盤正針으로 24山과 龍脈의 來龍을 格定하고 陽宅에선 주택의 坐와向을 格定한다.

노도(櫓悼) :
짧은 地角을 櫓棹라 하고 배가 앞으로 갈려면 櫓가 필요하듯 龍勢가 뻗어가자면 櫓棹가 必要한데 櫓棹가 없으면 死龍에 不過함.

녹(祿) :
穴 뒤에 여러 峰을 祿이라 하고 主山 ,樂山 이 모두 包含된다.

농용(壟龍) :
밭두둑처럼 낮게 내려간 稜線줄기

농룡(巃龍) :
높은 山勢로 險惡한 龍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