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2)

eorks 2020. 1. 20. 00:03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2)
묘(墓) :
葬또는 庫라고도 하며 胞胎法 에서 모든 활동이 中止되고 다시 自然으로 돌아간 상태.

미사(眉砂) :
穴뒤에 약간 솟아오른 地形으로 穴에 물이 흘러들지 않게 하고 生氣를 모으기 위한 것.

박환(剝換) :
岩石의 山에서 山脈이 흐르다 부드러운 흙으로 변해가는 것을 가리키며 박환이 잘 된 來龍이어야 生氣가 旺盛하다.

반궁수(反弓水) :
물이 둥글게 흐르는 바깥쪽으로 물이 직접 흘러 들어와 땅 속은 물이 가득 하며 이런 곳에 마을이 들어서면 敗絶한다.

발적(發跡) :
산이 흘러온 出身處

방룡(蒡龍) :
곁가지 龍으로 한 穴場을 만드는 것으로 任務가 끝난다.

배면(背面) :
등은 경사지고 면은 완만하다.

배합(配合) :
來龍이 뻗어 온 方向을 格定하여 中心이 干支의 中心線에 놓인 것을 말하며 來龍의 中心線이 壬子에 놓이면 배합된것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山脈과 江을 根幹으로 삼아 해석한 한국 고유의 地理思想으로 太白山脈 등줄기.

백보전란(百步轉欄) :
向앞 百步前에서 물이 곧게 빠지지 말고 물길이 보이지 않도록 굽어서 빠저나가야 좋다.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