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7)

eorks 2020. 2. 4. 00:06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7)
조정동(趙廷棟) :
地理五訣을 著述한 風水家로 龍, 穴, 沙, 水에 向法까지 추가하여 五訣이라하였다.
조종(祖宗) :
山의 으뜸으로 根本이 되는 山

족장(族葬) :
來龍에 여러 祖上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나란히 모시는葬法으로 朝鮮時代에 생긴 風習

종산(宗山) :
靑龍白虎 또는 穴星으로 나오는 가지들이 수없이 봉우리를 이루는데 이럴 때 이들의 宗家를 이루어 穴場을 만들어낸 根本된 山

좌(坐) :
앉은자리의 뒷편 陽宅에서는 집뒤쪽이며 陰宅에서는 머리쪽부분

좌득좌파(左得左破) :
물이 左側에서 得水하여 穴을 감싸안고 흐르지 못한채 無情하게 左側으로 빠져버리는 모습으로 自然이 올바로 循環하지 못하는 凶地이다.

좌선수(左旋水) :
물의 흐름이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흘러 빠지는 경우를 말한다.

좌향(坐向) :
坐는 穴의 뒤쪽으로 집에서는 뒤는 坐가되고 앞은 向이되며 陰宅에서는 坐는 屍身의 머리 쪽이고 向은 발의 方向을 가리킨다.

좌향론(坐向論) :
向法을 强調하는 理氣論을 다르게 부르는 말.

주산(主山) :
穴場으로 들어오는 脈이 連結된 山으로 穴을 맺게 해주는 뒤쪽에 높게 솟은 山을 일컬으며 마을이나 都邑地를 보는 陽宅風水 에서는 鎭山이라한다.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