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9)

eorks 2020. 2. 6. 00:05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9)
지사(地師) :
地理의 理致로 吉凶을 알 수 있는 훌륭한 識見이 있는 사람

지술(地術) :
風水地理의 理致에 따라서 땅의 吉凶을 알 수 있는 術法

지지(地支) :
60甲子의 單位를 이루며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이다. 땅의 氣運으로 陰이고, 달이고, 女子미며 陽氣運을 받아 萬物을 낳고 기르는 役割을 擔當한다.

직경(直硬) :
龍脈은 많은 變化를 要하는데 龍이 아무런 變化없이 쭉 곧게 뻗어나간 모양이면 直硬 이라하고 變化와 生氣가 없으면 死龍이다.

:
참다운 龍이 眞穴을 가질수 있으며 龍勢가 雄壯하기만 한 것이 眞龍이 아니며 오히려 賤龍으로보며. 靑龍과 白虎가 잘 護衛하여 감싸고 案山과 朝對가 잘 이루어진 龍이 眞龍이다.

진응수(眞應水) :
穴場 앞에 넘치듯 고여 있는 샘또는 연못을 말하며 山勢가 극히 旺盛한 證據로 맑고 秀麗하면 財福 이 크다

진혈(眞穴) :
證明된 穴로 形氣論에선 穴의 證明을 따지는데 缺格 사유가 한가지라도 있으면 眞穴이 아니다.

차고(借庫) :
自生向과 自旺向의 경우에 龍은 本局 龍을 쓰고 물은 他局의 水을 빌리는 것.

참형(參形) :
五星 의 한가지 星體가 아니고 여러 가지 星으로 섞여진 형상

척상(脊上) :
過峽處에서 빗물이 左右로 갈라지는 곳으로 칼등처럼 좁게 이루어지며 등마루가 좁게 이루어진 위부분. (分水脊上)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