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아랍에미리트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Al Sadu, traditional weaving skill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요약 : 알 사두(Al Sadu)는 아랍에미리트연합의 농촌 사회에서 베두인족 여성이 행하는 전통적인 직조 형태로, 직조된 직물로 낙타나 말의 부드러운 안장과 장식물을 만든다. 베두인족 남성은 양·낙타·염소의 털을 깎고, 여성들은 깎은 털을 세척해서 실을 자을 준비를 한다. 가락바퀴로 실을 뽑아 염색한 후, 바닥에 있는 베틀에서 날실이 앞면에 보이는 평직 방법으로 직조한다. 전통적인 색상은 흑색·백색·갈색·베이지색·적색 등이며, 기하학적으로 도안된 좁은 띠 형태의 독특한 문양으로 되어 있다.
카펫을 짜는 이들은 종종 소규모 집단으로 모여 실을 잣고 카펫을 짜면서 가족 간의 소식을 나누고 노래를 부르며 시를 읊기도 한다. 이러한 모임은 그 자체가 전통적인 전승 방법이다. 소녀들은 이러한 광경을 보면서 카펫 짜는 법을 배우고, 점차 양털 분류 등의 작업을 맡아 하게 되며, 나중에는 더욱 정교한 기술을 익힌다. 그러나 아랍에미리트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급속하게 경제가 발달하고 사회가 변화하면서, 알 사두를 행하는 빈도는 급격히 감소했다. 목축을 했던 베두인족 공동체는 도시의 정착지로 흩어졌고, 젊은 여성들은 점차 가정 밖에서 일하게 되었다. 2011년 현재 알 사두의 전수자는 대부분 나이든 여성으로, 전수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국가 :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
등재연도 : 2011년
지역정보 :
알 사두는 아랍에미리트연합의 다양한 지역에서 행해지며, 주로 룹알할리(Rub’al-Khali) 사막의 경계 및 오아시스의 베두인족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다. 아부다비 에미리트(Abu Dhabi emirate)의 알 사두 기능보유자들은 서부 지역의 리와(Liwa)·비다자예드(Bid’a Zayed) 주변의 마을에 거주하고, 동부 지역에서는 소도시인 알라바(Al-Rahba)·알와트바(Al-Wathba)·알삼하(Al-Samha), 그리고 스웨이한(Sweihan)·알살람트(Al-Salamt)·알와간(Al-Wagan)·자키르(Zakhir)·알야하르(Al-Yahar) 등의 오아시스 마을에 거주한다.
북부 에미리트의 알 사두 보유자들은 알자이드(Al-Zaid), 팔라즈알무알라(Falaj Al Mualla) 계곡에 사는데, 이 계곡 지역에서는 아직 목축업이 행해지고 있다. 알 사두는 바레인·쿠웨이트·오만·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인접 걸프 국가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본문 :
알 사두는 주로 베두인족 여성이 행하는 전통 수공예 직조 방식이다. 베두인족 여성은 양·염소·낙타의 털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부드러운 가구 및 용품(텐트, 텐트 칸막이, 깔개, 쿠션)을 만들고, 낙타와 말의 장구(안장주머니, 밧줄, 굴레) 등도 만든다. 알 사두 직조 기술은 양털 세척과 준비, 실잣기, 염색, 직조 등이 모두 포함된다. 대개 현지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이용하며, 목축업의 전통적인 관습과 관련이 있다. ‘알 사두’는 베틀, 직조 과정, 직조된 제품 등을 일컫는다.
베두인족 여성들은 세대를 거쳐 전승된 양털과 천연 염료 사용법에 따라 알 사두 직조 기술을 발달시켜 왔다. 동물에게서 깎은 털은 길이와 종류, 색에 따라 무더기로 쌓인다. 털을 세척한 후 빗으로 빗어서 가닥을 나누어 실로 잣는다. 여성들은 털 무더기 옆 바닥에 앉아 나무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모아서 꼰다. 실의 일부는 염색하고, 나머지는 본래의 색 그대로 둔다. 여성들은 이동이 가능한 베틀을 바닥에 설치한다. 알 사두 직조 기술은 날실이 앞면에 있는 평직의 형태로, 나무로 된 북을 손으로 잡고 일련의 고정된 실 사이를 지나가며 직물을 짠다.
알 사두 직조 기술의 직물에 쓰이는 전통적 색상은 흑색·백색·갈색·베이지색·적색 등이다. 직물의 문양은 매우 독특한데, 주로 기하학적 도안의 좁은 수직 띠 또는 가로 띠이다. 또한 완성된 제품에 술을 꿰매어 장식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헤나·선인장·울금·쪽·사프란 등의 식물에서 천연 염료를 얻었으나 최근에는 전통적인 배색을 유지하면서 화학 염료를 사용한다. 모든 문양과 소재, 관련된 상징과 의미는 작업을 통해 보면서 직접 작업에 참여하여 학습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승된다.
알 사두 직조 기술은 여러 세대 동안 대체로 변함없이 유지되었는데, 이 직조법은 베두인족의 유목 생활에서 중요한 활동이었다. 알 사두 직조 기술로 만든 제품은 베두인족 일상에서 꼭 필요한 부분으로써, 각 가정 마다 이 직조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한 물품을 직접 만들었다. 또한 사막의 오아시스 공동체도 대추야자 나무와 낙타 떼를 기르는 일 외에 직물을 짠다. 알 사두 전통 직조 기술은 나이 든 베두인족 여성의 일로, 아랍에미리트 내륙의 외딴 마을과 대도시 근처 새로운 정착지에 이주한 나이 든 여성들은 모두 여전히 알 사두 직조를 행하고 있다. 남성들은 양털 깎기, 낙타 털 모으기, 낙타의 밧줄과 부대용품을 제작하지만 베틀에서 직조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여성들은 대개 소규모로 모여 실을 잣고 직물을 짜면서 가족의 소식과 이야기를 서로 나누고 사귀며, 때로는 시를 읊기도 한다. 이러한 공동 모임은 직조 지식을 전승하는 전통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직조 기술은 매우 복잡한 수공예이며, 보통 장기간의 수련을 통해 습득된다. 소녀들은 나이 든 여성들의 작업을 보며 기술을 습득하고, 점차 양털을 분류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일을 맡게 된다. 소녀들은 능숙해지면서 실잣기와 베틀 준비 등의 지역 공동체 내의 더욱 복잡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크게 변화된 경제 여건으로 알 사두 직조 전통을 인정하고 존중하지 않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직조 전통의 전승은 이와 같은 전통적·비공식적 전승 방식에 더하여, 문화유산 집단이나 비정부기구 내의 강좌와 같은 새로운 훈련 형태가 발달되고 있다.
알 사두 직조 기술로 만든 제품은 사막 사람들의 생활필수품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전통 가옥의 가구, 낙타 경주, 국가 문화유산 행사에서 쓰이는 장식 등으로 이용된다. 여러 기관은 기능보유자들의 소득 창출을 위해 직조 활동을 계속하도록 장려하고 있으며, 특히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인 여성들에게 더욱 장려되고 있다. 직조 전통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제품 영역을 넓혀서 알 사두의 전통적인 색채와 문양을 사용한 깃발, 지갑, 기념품 등과 같은 제품을 생산한다.
알 사두 직조공과 직조가 행해지고 있는 농촌 및 도시 공동체에서 알 사두는 국가 문화유산으로서 중요한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알 사두 직조 수공예로 만들어진 제품은 특유의 색채와 문양이 표현되어 있으며, 베두인족의 전통적 사막 문화의 상징을 시각 예술로서 표현한 것이다. 또한 시민의 정체성과 과거에 지배적이었던 경제 유형인 목축업과 관련되어 있다. 알 사두 제품은 국민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고 여겨지며, 따라서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문화유산 행사에서 전시된다.
알 사두 가공품의 다수는 특히 베두인족 출신인 도시 거주자를 위해 제작된다. 도시의 베두인족 가정은 대개 마즐리스(majlis)라 불리는 남성 손님용 침실에 베두인족의 도안과 색채로 만들어진 바닥 쿠션을 깐다. 많은 베두인족 가족들은 아직도 겨울 휴가 기간에 사막에서 캠핑을 하는데, 이때 알 사두 쿠션이 놓인 전통적인 검은색 텐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휴양 관습은 나이를 불문한 모든 가족 구성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전통을 유지하고 보전하고 있다. 알 사두 제품은 낙타 목축업과 낙타 경주 분야에서도 수요가 있다. 이 분야의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로, 낙타 경주장 주변에는 알 사두 제품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있다.
알 사두 제품을 만드는 노동 형태는 인권에 위배되지 않으며, 이 전통적 수공예는 공동체를 더 강하게 결속시키고 전통의 정체성을 더 깊이 인식하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 알 사두 직조 기술 문화유산의 보유자 수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나, 공동체와 국가 문화유산 기관으로부터 관심과 존중을 받고 있다. 알 사두 직조 기술자들이 얻는 소득은 이들이 속한 공동체가 경제적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 존속 가능성 평가
양·염소·낙타 등의 목축은 베두인 공동체의 주요한 경제 활동이었다. 그러나 석유를 통해 부(富)가 창출되고, 이로 인해 급속하게 경제가 발달하고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목축을 중심으로 하던 생활양식은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었다. 베두인 공동체가 흩어져 도시에 정착하면서, 점차 알 사두 전통 보유자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 수 십 년간, 알 사두 전통에 종사하는 여성의 수는 빠르게 감소해왔다.
알 사두가 가장 많이 행해지는 아부다비 에미리트에서 2009~2010년까지 행해진 조사에 따르면, 서부 지역인 알가르비야(Al-Gahrbyia)의 리와, 비다자예드 주변 마을, 아부다비 시 지역의 알라바·알와트바·알삼하 등의 소도시와 마을, 동부 지역인 알샤르기아(Al-Shargyia)의 알아인 시 주변의 스웨이한·알살람트·알와간·자키르·알야하르 등의 소도시와 마을에서 소수의 사람만이 알 사두에 종사하고 있다. 국가 내 보유자 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략 50~70세의 연령 집단에 속한 150~200명 정도의 여성이 알 사두 전통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 사두 직조자 수의 급속한 감소와 노령화를 우려하면서 전통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공동체 및 국가 수준의 계획이 수립되었다. 알 사두 수공예를 장려하여 제품을 광고하여 알 사두 직조가 마을 여성들의 수입원이 되도록 지역 공동체의 여성 단체를 조직하였다. 또한 여성의 의무 교육이 실시됨에 따라 이웃과 가정 안에서 세대 전수하던 전통적 전승이 감소되고 있음이 인지되었다. 그래서 공동체 집단 안에서 알 사두 수공예에 통달한 나이 든 여성에게는 재정적 지원을 해주며, 나이 든 여성이 젊은 세대에게 직조 기술을 공식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낙타와 관련된 알 사두 직조 가공품의 수요는 여전하며, 가정 내 알 사두 직조 기술로 만들어진 가구는 전통적 아름다움의 감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도시 사람들의 취미 용품과 여행자의 기념품 등은 알 사두 직조 기술의 잠재적 수요이다. 또한 알 사두 기능보유자는 문화유산 행사와 전시회에서 제품을 전시하였고, 몇몇 대중매체는 알 사두 전통 기능보유자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알 사두 직조 기술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위험에 처해 있으며 신속한 보호조치가 필요하다. 오랜 역사를 지닌 알 사두 수공예의 숙련된 기능보유자는 현재 대부분 나이 든 여성이고, 기능보유자의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인구학적 사실은 기능보유자가 더 이상 다른 이들에게 이 문화유산을 전수하기 어려운 때가 올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현존하는 종사자에 대한 공동체의 관심과 비정부기구의 다양한 프로젝트, 국가의 재정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젊은 여성들은 이 수공예에 종사하는 데 관심이 없다.
알 사두 직조 기술을 익히려는 젊은 세대의 관심 부족은 알 사두 전통의 주요한 위협이다. 알 사두 기술로 제품을 만드는 일은 시간이 걸리는 일로서, 전통적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이 기술에 종사하는 데에 따른 재정적 보상은 현대 경제에서 젊은 여성이 벌 수 있는 수입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더 어린 소녀들은 할머니의 전통 공예를 배우는 데에 관심이 없다. 젊은 사람들은 사막 공동체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생활 방식과 더 많은 취업 기회를 원하며 그래서 더 큰 도시로 떠나는 인구통계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교육과 취업의 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여성들은 점점 더 다른 직종에 취업하려 하고 있다.
두 번째 위협은, 현대 가정에서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가구와 가정용 직물 제품이 손으로 짠 알 사두 제품보다 더 인기가 많다는 점이다. 베두인족 특유의 알 사두 도안과 색채를 공장에서 모방하여 대형 생산한다는 점도 커다란 위협이다. 알 사두 도안이 유산으로서의 의미 때문에 가치가 있지만,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공장에서 생산된 알 사두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더 편리하고 저렴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유산 보유자가 현대의 산업화된 직물 생산과 경쟁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젊은 여성들을 이 직종으로 이끌 수 있는 과정이 등장하지 않는다면 알 사두 공예에 종사하는 여성의 수는 감소할 것이며, 이 문화유산 전통은 결국 소멸할 것이다. 이는 경제적·예술적 가치와 문화유산의 가치에 있어서 회복할 수 없는 손실이 될 것이다. 한편 여러 세대의 여성이 참가하는 공동 모임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이와 관련된 민간설화, 시, 낭송과 같은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의 전승 기회도 감소할 것이다. 알 사두에 대한 현존하는 구전 역사와 지식을 보존하는 것과, 쇠퇴하는 이 전통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젊은 여성들이 직조 기술을 익히도록 유도하려는 노력들이 있었으나, 현재까지의 결과는 충분하지 않다. 유네스코와 같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직이 후원하는 보호 조치를 통해 알 사두에 관심을 이끌고, 세계적인 호평과 명성을 얻게 함으로써 이 공예를 더욱 주목받게 하기 위한 국제적 차원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유산의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공식 교육과 비공식 교육을 통해 이를 보전하고 홍보하면서 개선하고 전승하는 것이 조속히 요구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알 사두, 아랍 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 [Al Sadu, traditional weaving skill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