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전초(긴병풀초)의 효능
![](https://t1.daumcdn.net/cfile/cafe/192126314C86CDA03C)
(식용, 약용 산야초): 몸속의 결석 녹인다.
금전초(金錢草)(긴병풀꽃)
속 명 : 장관 연전초
분포지 : 중부, 북부지방의 산과 들, 대개 낮은 곳의 약간 습한 곳
개화기 : 4~5월
꽃 색 : 연한 자주색
결 실 : 6월
높 이 : 5~20cm
특 징 : 줄기가 곧게 자라다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용 도 : 식용. 약용. 관상용. 밀원용
봄에 어린 줄기와 잎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금전초를 우리말로는 긴병풀꽃이라고도 부른다.
원래 전초를 연전초라고 한다
꽃에 꿀이 많아 벌들이 많이 모인다.
활혈단,연전초,긴병꽃풀,병꽃풀,마제초 등의 다른 이름이 있다.
다른 이름 : 蜈蚣草(오공초),銅錢草(동전초),過路黃(과로황)
약 맛 : 감(甘) 함(鹹)
귀 경 : 간(肝) 신(腎) 담(膽) 방광(膀胱)
주 치 : 黃疸(황달),瘡癬(창선),瘡毒(독염),癰腫(옹종),熱淋(열
림),濕疹(습진), 石淋(석림),沙淋(사림),蛇咬傷, 膽結石
(담결석), 尿澁作痛
약 용 부 위 : 풀전체
금 기 : 陰疽諸症(음저제증)과 脾虛泄瀉者(비허예사자)는 服用(복
용)을 피한다.
효 능 : 消腫解毒(소종해독),淸熱利濕通淋(청열이습통),退黃(퇴황)
금전초는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하고 근육과 어혈을 없애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또한 방광과 요도, 담낭의 결석을 녹이는 효과가 있으며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과도 크다.
황달, 수종, 강장제, 만성 폐렴, 해열작용, 기침, 갈증해소, 지혈작용, 이뇨작용, 급성 결막염, 적취제거, 여성의 하복부 통증, 자궁출혈, 폐결핵, 풍습마비, 학질, 폐농양, 해수, 토혈, 임탁(淋濁), 대하증, 고혈압, 복통, 산후경풍, 치통, 매독에서 오는 가래톳, 타박상, 신경성 두통, 음경이 붓고 아픈데, 축농증, 부스럼, 옴, 뼈아픈데, 화상, 류머티스성 관절염, 이하선염, 소아감적, 학질, 유주성 관절풍습통, 어린이의 소화 불량, 경간, 습진, 조그마한 종기, 버짐을 치료한다.
꿀 풀과의 긴병꽃풀은 산이나 들의 습한 양지에 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키는 5~20cm이고 줄기는 모가 지며 곧게 자라다가 옆으로 50cm 가량 뻗는다.
잎은 마주나고 신장상 원형이며 끝이 둥근 모양이다.
밑은 심장형이고 길이는 1.5~2.5cm이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3송이씩 달리고, 꽃받침 갈래는 뾰족하다.
화관은 길이 15~25mm이고 입술 모양이며 상순꽃잎은 끝이 오목하고 하순꽃잎은 3갈래이며 상순 꽃잎의 2배 길이이다.
안쪽에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고 2강 웅예이며 열매는 소견과이고 타원형이다.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개화기는 4~5월이다.
긴병꽃풀 채취는 4~5월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49E1324C86D0C545)
▶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금전초는 가을에 베어 그늘에서 말렸다가 하루 15~30g쯤을 달여 3~4번에
나누어 마신다.
독이 없으므로 오래 복용해도 나쁘지 않다.
▶ 신장결석이나 방광결석, 요로결석에는 말린 것으로 하루 30~50g쯤 많은 양
을 달여서 수시로 물 대신 마신다.
금전초 달인 물을 먹으면 오줌이 산성으로 되어 알칼리성인 결석을 녹인다.
▶ 당뇨병에는 금전초 달인 물과 함께 율무를 한 그릇씩 먹으면 매우 효과가
좋다.
▶ 간염에 좋은 효과가 있고 간암에도 뚜렷한 치료효과가 있는 방법으로 생즙
을 내어 먹거나 달인 물을 먹으면 좋다.
▶ 결막염을 비롯한 온갖 눈병에는 달인 물로 눈을 씻고 중이염, 축농증, 임
질, 백대하에는 달여서 먹으며, 타박상, 화상, 옴, 피부병에는 날 것을 짓
찧어 즙을 바른다.
▶ 통풍, 뼈가 부러진 데, 근육통, 치통, 위장질병에 달여서 마시거나 달인 물
로 목욕을 한다.
감기, 기침, 기관지 천식, 각혈, 폐렴, 기관지염, 폐결핵, 늑막염에도 달여
서 마시고 두통에는 생 것을 짓찧어 즙을 콧속에 한 방울씩 넣는다.
▶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밥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될 때, 간암, 황달, 변비,
비염, 생리가 없을 때, 기생충을 없애는 데, 납중독 등에도 달인 물을 마시
거나 말린 것을 가루 내어 먹는다.
소변을 잘 보게 하고 황달을 고치며 몸이 붓는 것을 낫게 하는 작용이 있다
열을 내리게 하고 독을 풀며 염증을 삭히고 어혈을 없애며 방광과 요도 담
낭의 결석을 녹이는 효과가 있으며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과
또한 탁월하다.
습진, 종기 등 피부병에도 날것을 짓이겨 붙이면 잘 낫는다.
금전초의 맛은 쓰고 떫거나 향기롭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하루 12~19그램 신선한 것은 37.5~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갔다가 짓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시 찧어 바르거나 찧은 즙을 바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4223A314C86D0DE45)
주의사항으로
<복건민간초약>에서는 "무릇 음저(陰疽: 처음엔 통증이 없다가 나중에 심하게 부어오르는 악성 종기)와 갖가지 독이 있고 비허(脾虛)로 설사하는 경우에는 즙을 생것으로 복용하면 안 된다."
치료 기간에는 콩꼬투리, 수세미외, 달걀, 물고기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