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놋젓가락나물의 효능

eorks 2020. 9. 12. 19:17

놋젓가락나물의 효능

◈놋젓가락나물
 속   명 : 선덩굴바꽃

학   명 :  Aconitum ciliare

분   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분   포 : 한국(경북, 강원, 경기, 함북, 함남), 중국, 시베리아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서식] : 산의 숲속에서 자란다.
            덩굴로 다른 물체를 감아올라가면서 벋는다.

[길이] : 길이 약 2m이다.

[잎] : ①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다.

         ② 3∼5개로 완전히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마름모꼴 이고 다시 갈라진

            맨 나중 조각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다.
[꽃] : ① 꽃은 8∼9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로 줄기 끝에 작은 꽃이 달

             리고 꽃대는 약간 짧으며 잔 털이 있다.

         ② 5개의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뒤쪽 꽃받침조각은 고깔 모양이다.

         ③ 옆쪽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 둥글고 밑의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④ 수술은 많고 수술대 밑쪽이 날개처럼 넓다.

         ⑤ 씨방은 5개이고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뾰족하고 뒤로 젖혀진다.

[열매] : 열매는 골돌과이다.

[이용] : 생약의 초오는 뿌리를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한.보화제.중풍.열병.류

            머티즘.나병.습담.각기.골절통.발한.구풍에 약재로 쓴다.

 

놋젓가락나물-초오(미나리아제비과) 


속명 :  토부자. 생부자. 선덩굴바꽃. 놋젓가락풀

분포지 : 전국의 깊은 산 숲속 그늘

개화기 : 8 - 9 월 / 결실기 : 10 월

꽃색 : 자주색

용도 : 관상용. 약용.

높이 : 길이 2m 안팎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특징 : 마늘쪽 같은 뿌리 줄기를 초오라 한다.
         덩굴성 식물, 유독성 식물

능 : 뿌리를 냉풍. 강심. 이뇨. 진경. 수렴. 정종. 한반. 관절염. 풍습.

          신경통. 진통. 개선. 종기. 충독등의 약으로 쓴다. 진통. 감심작

          용 

<풍습으로 인한 마비증상을 다스리는 맹독성 독초>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새발처럼 생기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

각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에 달리며 작은꽃줄기에 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털이 나며 뒤쪽의 꽃잎이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는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어지며 씨방은 3∼4개로서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가 붙어 있고 타원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草烏)라고 하며 약재로 쓴다.


한국의 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초오>

초오를 오두(烏頭)라고 하는 것은 모양이 까마귀 머리와 같다는 말이다.


또한 두 갈래로 나뉘어진 모양이 새 부리와 같아서 서로 잘 맞기 때문에 까마귀 입이란 뜻으로 오훼(烏喙)라고 하였다.


요동(遼東)의 변방 밖에서는 가을이 되면 초오두(草烏頭)의 즙을 내어 햇볕에 말려 독약을 만들어 짐승을 사냥할 때 사용했으므로 사망(射罔)이라고도 했다고 전해진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혀를 마비시키며 맛은 몹시 맵고 쓰며 성질은 뜨겁고 독이 많다.[辛苦熱大毒]

 

초오는 두통, 복통, 종기, 반신불수, 인사불성, 구안와사에 쓰인다.


풍습증으로 인한 마비증상이나 인사불성,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파상풍 등을 치료하며 배가 차가워서 생기는 복통 등에 응용된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항염, 국부마비완화 작용이 있으며 다량 복용시 심장운동흥분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원추형으로 위쪽에는 줄기 자국이 남아 있고 바깥 면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쭈그러진 세로주름이 있다.


꺾은 면은 어두운 회색으로 다각형의 고리무늬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질은 단단하다.

 

다른 이름으로 토부자(土附子), 간급근(??菫), 경자(耿子), 금아(金鴉), 독공(毒公), 독백초(獨白草초), 사망(射罔), 오두(烏頭), 오훼(烏喙), 원앙국(鴛鴦菊), 죽절오두(竹節烏頭), 해독(奚毒), 초오두(草烏頭) 등이 있다.


그 싹을 간급근(??菫), 끓인 즙을 사망(射罔)이라고 한다.

 

<이용방안>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塊根(괴근)을 草烏頭(초오두)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줄기와 잎이 말랐을 때 뿌리를 캐어 남은 줄기, 잎, 흙을 제거하고 햇볕

      이나 불에 쬐어 말린다.

  ②성분 : 草烏(초오)에는 acpmotome. ju[acpmotome, mesaconitine, c

              eoxyaconitine, deoxyaconitine, beiwut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散寒(산한), 止痛(지통), 開痰豁 (개담활), 消腫(소종)

              의 효능이 있다.

              惡風(악풍-뇌졸중), 咳逆上氣(해역상기), 반신불수, 옹종 정독, 大風(대

              풍)으로 인한 頑痺(완비), 風寒濕痺(풍한습비), 중풍에 의한 사지마비,

              파상풍, 돌발적 두통, 胃,腹冷痛(위,복냉통), 痰癖(담벽), 氣塊(기괴-假

              性 腫塊(가성 종괴)), 冷痢(냉리), 喉痺(후비), 癰疽(옹저), 정창, 나력

              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6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

                       한다.

<외용> 粉末(분말)로 조합하여 붙이거나 醋(초), 酒(주)와  함께 갈아서 바른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풀의 효능  (0) 2020.09.14
는쟁이냉이(산갓나물)의 효능  (0) 2020.09.13
녹두의 효능  (0) 2020.09.11
금전초(긴병풀초)의 효능  (0) 2020.09.10
금불초의 효능(선복화)  (0) 202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