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독말풀의효능

eorks 2020. 9. 23. 16:34

말풀의효능

 

 독말풀 (jimsonweed, 양금화, 만타라)

 

 가지과(―科 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며 약으로 쓰기 위해 심고 있다. 


키는 1m 정도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자줏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지만 얼핏 보면 마주나는 것처럼 보인다. 


잎 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큰 톱니들이 있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피는데, 나팔꽃처럼 생겼다. 


열매는 겉에 가시처럼 생긴 돌기들이 빽빽하게 나 있고 속에는 깨처럼 생긴 작은 씨들이 들어 있다. 


이 식물에서 나오는 즙은 독이 있으며 매우 불쾌한 냄새가 난다. 


아시아 열대산 흰독말풀(D. metel)은 독말풀과 비슷하지만 꽃 색이 흰색이고 잎가장자리가 밋밋한 점이 다르다. 


한방에서는 흰독말풀의 꽃이 필 때 잎과 씨를 따 햇볕에 말린 것을 각각 만다라화(曼陀羅花)·만다라자(曼陀羅子)라고 하는데, 마취제로 쓰이며 복통, 류머트 관절염 치료에 쓰이기도 한다. 


씨에 들어 있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은 멀미약의 원료로 쓰인다. 


불교의 만다라화는 부처가 설법할 때 또는 온갖 부처가 나타날 적에 법열의 표시로서 하늘에서 내리는 하얀 꽃을 뜻하는데, 이 만다라화가 바로 흰독말풀이라고 한다.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감에서는 가지과 천사의 나팔꽃 품종인 다투라 아르보레아(Datura arborea L.)에 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목만타라(木曼陀羅)  

 

소교목(小喬木) 즉 작은 키 나무이다.  


잎은 난상 피침형, 장원형 혹은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전연(全緣) 즉 밋밋하며 약간 파상(波狀) 혹은 불규칙한 결각상(缺刻狀) 거치가 있고 양면에는 고르게 부드러운 털이 조금 있다. 


꽃은 흰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단생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긴 누두형(漏斗形)이며 5열이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장과상(漿果狀)으로 난형이며, 표면은 편평하고 매끄러우며 부수(俯垂)에 달린다. 화남, 서남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꽃, 잎을 채취하고 겨울에 과실과 종자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양금화인 흰 독말풀과 동일(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큰 독이 있다)하다. 


효능은 양금화인 흰 독말풀과 동일(마취, 진통, 평천, 지해)하며 기관지천식, 수술마취, 


열매-


신경성 피부염, 잎-정창에 외용. 하루 0.3~0.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외용 시에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흰 독말풀에 대해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양금화(洋金花)  

 

가지과(Solanaceae)식물인 양금화 즉 흰독말풀(Datura metel L.)의 꽃, 열매, 잎이다. 


일년생 초본으로 전초에 거의 털이 없다. 


잎은 계란형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거나 혹은 물결모양이다. 


꽃은 흰색으로 가지가 교차하는 사이나 잎겨드랑이 에서 단생하며, 꽃잎은 5장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편구형(扁球形)이고 과지상(果枝上)에 가로로 나고 짧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불규칙하게 열개(裂開)된다. 


산지의 양지쪽이나 마을근처에 자라거나 재배한다. 


중국의 화남, 서남 및 대만, 복건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3월에서 12월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큰 독이 있다. 


마취, 진통, 평천, 지해작용이 있다. 



기관지천식, 수술마취, 열매 - 


신경성 피부염, 잎 - 


정창에 외용하는데 하루 0.3~0.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외용 시에는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독말풀에 대해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만타라(曼陀羅)   독말풀의 꽃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폐에 작용한다. 


천식을 멈추게 하고 풍을 제거하며 마취,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천식, 경간, 풍습에 의한 비통, 각기, 창양에 의한 동통을 치료한다. 


그리고 외과 수술시 마취제로 쓰인다. 


하루 3.75~5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물에 담가 복용한다. 


또는 술로 달여 복용하거나 담배로 만들어 피운다.

 


주의사항으로 


내복에는 주의해야 하며, 몸이 약한 사람은 금기이다.

 


독말풀의 뿌리를 


만타라근이라고 하여 미친개에 물린 상처, 악창, 마른버짐, 근골통을 치료한다. 


잎을 만타라엽이라 하여 7~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말린다. 


천식, 기침, 만성 기관지염, 각기, 탈항을 치료한다. 


하루 0.3~0.74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시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은 즙을 바른다.

 


독말풀 잎은 


고름을 흡수하고 육아 생장을 자극하는 작용을 한다. 


기관지천식에 독말풀의 잎으로 담배를 만들어 피우면 낫는다. 

 


독말풀 종자는 


여름과 가을에 열매가 익을 때 채취한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평천, 거풍, 지통하는 효능이 있어, 천식, 해수, 배멀미와 비행기 진정 및 진경작용, 멀미의 예방 및 치료, 경간, 풍한습비, 설사, 탈항, 타박상을 치료한다. 


때로는 안면성형수술과 상기도 수술을 할 때 침과 정맥분비를 적게 하기 위하여서도 사용한다. 


하루 0.185~0.37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시 달인 물로 씻거나 술에 담가 문지른다.

 

독말풀효능 질병ID 민간요법처방


각기(脚氣)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단,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복용횟수를 반드시 지키도록 한다.


간염(肝炎)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일정도 복용한다.


간질(癎疾)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씩 3~4일 복용한다.


간허(肝虛)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2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감기(感氣) 


온푸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 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거담(祛痰)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씩 2~3일 복용한다.


경기(驚氣) 


온포기 또는 씨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더위증(증서:增署) 


온포기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복통(腹痛) 


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생리통(生理痛)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1~회씩 2~3일 복용한다.


월경이상(月經異常)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해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장염(腸炎) 


온포기 또는 씨 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진경(鎭經) 


온포기 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진통(陣痛) 


온포기 또는 씨 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진해(鎭咳) 


온포기 또는 씨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단,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복용횟수를 반드시 지키도록 한다.


천식(喘息) 


온포기 또는 씨 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씩 5~6일 복용한다.


탈항(脫肛) 


온포기 또는 열매 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하혈(下血) 


온포기 또는 씨 1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주의사항으로 


몸이 허약한 사람은 복용하지 못한다.  



해독방법은 


위세척, 최토, 설사 등 방법을 취한다.  


달걀 흰자위와 활성탄을 복용시킨다. 


다량의 설탕물을 마시게 하거나 머리 부분을 차게 하거나 찬물로 목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부추의 효능  (0) 2020.10.02
돌나물의 효능  (0) 2020.09.24
대황의 효능  (0) 2020.09.22
청대(쪽, 대청)의 효능  (0) 2020.09.21
삼(대마)의 효능  (0) 202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