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인도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 단지
[Mahabodhi Temple Complex at Bodh Gaya]요약 : 마하보디(महाबोधि , Mahabodhi) 사원 복합단지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4개의 성지 가운데 하나로, 특히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곳이다. 초기 불교 사원은 기원전 3세기경 아소카(Asoka) 왕이 축조하였고, 현존하는 불교 사원은 5세기〜6세기경 굽타 왕조 후기에 벽돌로 지었으며 지금도 그대로 남아 있다.

마하보디 대탑과 보리수 승려

마하보디 대탑

보드가야 고층탑

보드가야 플라크의 고층탑 형태
국가 : 인도(India)
위치 : 인도 동부 비하르 주(State of Bihar, Eastern India)
좌표 : N24 41 43.008,E84 59 38.004
등재연도 : 2002년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 단지 :
인도의 초기 벽돌 건축물인 마하보디 사원은 몇 세기에 걸친 인도의 건축 예술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사원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원으로 가장 눈길을 끈다. 전체가 벽돌로 되어 있으며, 후기 굽타 왕조 시대에 세워진 뛰어난 건축물이다. 석재 조각 난간은 초기 양식의 특징으로 돌 위의 돋을새김은 걸작이다.
마하보디 사원단지는 붓다의 생애(기원전 566~486)와 직접 연관이 있는데, 기원전 531년 붓다가 보리수 아래에 앉아 깨달음, 즉 정각(正覺)을 이룬 곳이다. 마하보디 사원 단지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기록과 이후의 예불 의식을 잘 보여준다. 특히 기원전 260년 즈음에 아소카 왕이 이곳을 성지로 조성하면서 보리수 아래에 처음으로 사원을 지은 곳이기도 하다.
마하보디 사원 단지는 부다가야의 중심부에 있다. 대사원과 6개의 불교 성지로 둘러싸였으며, 유적의 외곽 남쪽에 있는 연못이 일곱 번째 성지에 해당한다. 이 성지에서 가장 중요한 곳이 바로 거대한 보리수(Ficus religiosa)이다. 이 나무는 대사원의 서쪽에 있는데, 붓다가 대각을 이룬 뒤 첫 일주일 동안 앉아 있었던 원래의 보리수에서 파생된 나무로 추정한다. 가운데 길 북쪽으로 약간 솟은 지역은 기도를 위한 탑원(塔院, Animeshlochan Chaitya)이 있는 곳으로 붓다가 대각을 이룬 뒤 둘째 주를 보낸 곳으로 추정한다.
붓다는 셋째 주를 라트나차크라마(Ratnachakrama, 보석 장식 회랑)라는 곳에서 앞뒤로 18보를 걸으며 보냈다고 한다. 이곳은 대사원의 북쪽 성벽 근처에 있다. 넷째 주를 보낸 곳은 라트나가 차이티아(Ratnaghar Chaitya)로, 복합단지의 울타리 북동쪽에 있다. 가운데 길에서 동쪽 입구의 계단을 바로 지나면 아자팔라 니그로드(Ajapala Nigrodh) 나무가 있었던 곳임을 표시하는 기둥이 있다. 붓다는 바로 이곳에서 바라문들의 질문에 대답하거나 고요히 앉아서 명상에 잠겨 다섯째 주를 보냈다. 붓다는 복합단지 울타리의 남쪽에 있는 연못가에 앉아 여섯째 주를 보냈고, 현재 나무로 표시된 라지아타나(Rajyatana) 나무 아래에서 일곱째 주를 보냈다.
대사원은 인도 전통건축 양식으로 지었다. 인동나무와 거위 모양의 쇠시리 장식 기단이 그 특징이다. 기단 위 틈새마다 붓다의 형상을 장식하였다. 그 위에 쇠시리와 차이티아 벽감(壁龕), 곡선 처리된 꼭대기(shikara)가 있다. 이 위에는 연꽃 모양의 아말라카(amalaka), 칼라샤(kalasha)를 얹었다(인도 전통 불교 사원의 건축학적 특징). 불상 4좌를 모신 작은 불당은 사원의 난간 네 모퉁이마다 있다. 이 불당 위에는 작은 탑이 있다. 동쪽을 향해 서 있는 이 사원의 동쪽에 작은 앞뜰이 있고 뜰 양 옆으로 불상을 모신 벽감이 있다.
보리수 옆에는 잘 손질되어 광택이 나는 사암으로 조성된 금강좌(Vajrasana)가 있고, 위에 불상을 단아하게 모셨다. 이는 아소카 왕이 붓다가 앉아서 명상하던 곳을 기리기 위해 처음 만들었다. 기원전 5, 6세기에 이곳을 확장하면서 화강암 석주를 세웠다. 대사원을 향해서 남쪽으로 가운데 길을 따라 오르면 뒤에 붓다 입상이 있으며, 검은 돌에 붓다의 발자국(Padas)을 새긴 작은 불당이 나타난다. 이것은 기원전 3세기, 아소카 왕이 불교를 국교로 선포할 당시에 조성되었다. 대사원 방향으로 길을 따라 더 오르면 붓다상과 여러 보살의 상을 모신 불당이 있다. 그 반대편에는 15세기~16세기에 이 지역에 살았던 힌두교 제사장(Mahant)을 기념하는 곳이 있다. 길을 따라 남으로 가면 왕족과 귀족, 신도들이 쌓아올린 봉헌탑 무리가 나타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 단지 [Mahabodhi Temple Complex at Bodh Gaya]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