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중국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Kaiping Diaolou and Villages]
요약 : 카이핑(开平, Kaiping) 마을에서는 다층 구조의 방어형 망루 모양 주택인 ‘댜오러우(碉樓)’를 볼 수 있다. 댜오러우는 중국과 서양의 건축과 장식을 멋지게 혼합한 복합 건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카이핑 화교들이 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지역 일부 국가의 발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알 수 있는 유적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595435C85C6B732)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5CC435C85C6B82B)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FFB435C85C6B831)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C68435C85C6B931)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F27435C85C6B932)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ED7435C85C6BA32)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FC1435C85C6BA30)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E5A435C85C6BB32)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E174D5C85C6BB2F)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B074D5C85C6BB2A)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8D24D5C85C6BC31)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A344D5C85C6BC28)
카이핑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5FC4D5C85C6BD2A)
카이핑 마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4A84D5C85C6BD2A)
카이핑 마을
국가 : 중국(China)
위치 : 광둥성(廣東省, Guangdong Province)
좌표 : N22 17 7.87,E112 33 57.1
등재연도 : 2007년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
한(漢)나라 시대(BC 255~AD 220)에 한족들은 중국의 중원에서 이 지역으로 옮겨와 월족(越族)들과 섞이기 시작했다. 월족은 농업과 어업으로 생활했으며, 풍수 원리에 따라 씨족 집단끼리 거주했고, 진흙 벽돌이나 구운 벽돌과 나무로 집을 지었다. 16세기에 북쪽의 강을 통해서 오는 도적들의 약탈이 늘어나고 홍수가 잦아지면서 이에 대비하기 위해 요새화된 망루를 짓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댜오러우’로 알려졌다. 싼먼리촌에 있는 잉룽 망루(迎龙楼)도 한 가지 예이다. 1649년에 카이핑현에 망루가 계속 생기면서 점점 더 훌륭한 안전지대가 되어 갔고, 청나라 때도 적은 수의 댜오러우가 세워졌다.
‘카이핑’은 ‘평화의 시작’이라는 뜻으로, 이 마을 사람들은 16세기 중반부터 나무로 만든 배를 타고 다니면서 동남아시아 근처에서 해상 무역을 하기 시작했다. 1839년에 가난한 농부들은 마을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은 탄광이나 철도 선로 건설 노동자로 일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북쪽에서 내려온 하카족(客家族)과 전쟁을 하면서 어려운 상황이 시작되었고, 인구가 늘어나면서 먹을 것이 부족해지자 대단위 이민이 시작되었다.
수천 명의 카이핑 마을 사람들은 마카오, 홍콩, 미국, 캐나다, 호주로 떠나게 되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고된 육체노동을 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에 중국의 화교 사회는 엄청난 부를 쌓았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여러 나라에서 급속한 경제 성장이 일어나면서 중국 화교들의 재산도 엄청나게 늘어났다. 화교들은 부를 이뤘지만, 살고 있는 나라의 발전에 대해 자신들의 피와 땀이 사회적으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여겼다.
따라서 화교들의 꿈은 고향으로 돌아가 살면서 고향의 부에 기여하는 것이었다. 화교들은 카이핑에 처음으로 두드러지게 높은 주택을 짓기 시작했다. 부자들이 마을에 들어오면서 북쪽의 도적들은 카이핑 마을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마을에 들어와 약탈과 납치를 자행하였다. 1921년~1930년에 71건의 약탈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해 마을에서는 방호 목적의 망루와 같은 새로운 건축물을 세울 필요가 생겨났다.
해외 화교들 역시 대부분 마을에서 공공 망루 건설에 기여했다. 카이핑에 있는 전체 1,833개의 댜오러우 중에서 90%가량인 1,648개가 1900년~1931년에 세워졌고, 같은 시기에 대부분의 마을들이 건설되거나 재건되었다. 3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카이핑의 시골 마을은 화교들이 제공하는 자금으로 완전히 변모하게 되었다.
1930년대의 공황기와 일본의 침략, 그리고 1940년대의 태평양 전쟁으로 개발은 멈췄으며, 1943년~1947년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민 통제가 폐지되면서 많은 중국인들이 북아메리카로 돌아가게 되었다.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지면서 도적들은 없어지고, 홍수 방지 측정 기술이 도입되면서 댜오러우의 역할은 미미해졌다.
중국이 개방된 1980년대에 많은 카이핑 사람들은 마을을 떠났으며, 대부분의 댜오러우는 지금 비어 있는 상태로 관리자에 의해 관리만 되고 있다. 그러나 화교들은 가족 행사로 마을에 돌아오기도 하고, 조상의 제사를 위해 돈을 기부하기도 하며 이곳을 정신적 고향으로 여기고 있다. 몇몇 주택에는 원래의 가구와 가재도구들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주변 마을과 농장은 아직도 지역 경제의 일부로 활동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마을 주택과 논, 대나무 숲, 주변의 멋진 언덕배기들은 여전히 시골 풍경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Kaiping Diaolou and Villages]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