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Australian Convict Sites]
요약 :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Australian Convict Sites)은 18, 19세기에 대영 제국이 오스트레일리아 영토에 건설한 수천 개의 교도소 가운데 11개 지역을 일컫는다. 이 유적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프리맨틀(Fremantle)에서부터 동부의 노퍽 섬(Norfolk Island)에 있는 킹스턴(Kingston)과 아서스 베일(Arthur's Vale), 그리고 북부의 뉴사우스웨일스 주 시드니 주변 지역부터 남부의 태즈메이니아 주에 이르기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에 퍼져 있다.
1787년~1868년의 8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대략 166,000명의 성인 남녀와 어린이들이 영국 사법부로부터 유형수 식민지로 이송할 것을 선고 받고 오스트레일리아로 유배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은 대규모 죄수 이송과 유럽 열강의 식민지 확장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 준다.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하이드 공원 막사 박물관
하이드 공원 막사 박물관
프리맨틀 옥사 내부
프리맨틀 감옥 마당
옛 정부청사
옛 정부청사
태즈메이니아 석탄 광산
태즈메이니아 석탄 광산
코카투 섬 산업 항구
코카투 섬 산업 항구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좌표 : S33 22 42,E150 59 40
등재연도 : 2010년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
강제 노역 유형은 인류 역사상 여러 문명에 걸쳐 이루어졌던 형벌 중 하나였다. 전쟁 후 포로들에 대한 노예제나 추방 및 강제 노역 유형은 가장 흔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유형수 식민지는 죄수들이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강제 노역을 하며 형기를 채우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유형수 식민지는 처음에는 범죄자들이 수감되어 강제 노역을 하는 장소였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범죄자들이 군사 항구에 수용되어 갤리선(주로 노예들에게 노를 젓게 한 배)이나 군수품 창고에서 힘든 노역을 하거나 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일을 하였다. 전쟁 시기의 강제 노동 포로 수용소는 조직과 목표 면에서 모두 이와 유사하다.
17세기 초에 유럽 국가에서는 식민지 계획과 더불어 죄수를 새로운 영토에 영구적으로 유형 보내는 새로운 형태의 교도소 유형법이 나타났다. 1718년의 유형법에 따라, 영국은 범죄자들을 북아메리카 식민지로 보내는 법을 실행하였다. 프랑스는 1748년에 자국의 갤리선을 폐쇄한 후 동일한 조치를 취했다. 이론상으로 유형수 식민지로 이송을 선고하는 것은, 심각한 범죄에 대해 수감 형기를 엄중하게 선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식민지에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때때로 경미한 모든 종류의 범죄조차도 다소 긴 기간 동안 유형을 선고하기도 하였다. 특정한 의견을 표명하거나 금지된 정치적 집단의 일원에게도 이런 식의 처벌을 내리기도 했다.
1775년에 영국은 범죄자를 미국으로 유형 보내는 것을 중단하였다. 이 지역에서 봉기가 발생했기 때문인데 결국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되었다. 따라서 영국은 1778년부터 점차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 많은 유형수를 보내게 되었고 이 지역은 미국을 대체하는 식민 유형지가 되었다. 시드니 항구는 유형수들이 처음 상륙한 곳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로의 유형은 1787년~1868년 동안 최대에 달했으며, 총 166,000명의 유형수가 여러 교도소로 이송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당시 원주민만 거주하던 광대한 지역이었는데, 이곳으로 유형수들이 들어오면서 원주민들은 안전하고 비옥한 해안 지역을 빼앗기고 멀리 쫓겨나게 되었다. 식민지 이주민들은 항구부터 가옥, 도로, 식민 농장 등 온갖 시설을 건설해야 했다. 죄수들은 대개 낮은 계급의 사람들이었으며, 여성이 전체의 16%를 차지했다. 또한 9세 이상의 어린이들도 유형 처벌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수도 상당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교도소 체계는 몇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 다른 형태를 취했다. 이는 19세기에 들어서 유럽에서 범죄 처벌 방식과 죄수를 유형 보내는 것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대규모 논쟁이 일어나면서 비롯되었다. 이 논의에는 형벌 개념으로서 유형과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과 규율을 통해 갱생을 이루고 범죄를 억제하는 개념으로서 유형에 대한 것이었다. 특히 더욱 멀리 떨어진 곳으로 식민지 개발을 위한 노동력을 이송하는 것은 영국은 물론 프랑스, 러시아와 같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당시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하고도 효과적인 해답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교도소 체계는 실제로 유형수들이 형기를 마친 후에는 어엿한 식민지 이주민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 사이의 거리 때문에 유형수들은 출소 후에도 대부분 계속 오스트레일리아에 남게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교도소는 실외 작업, 실내 작업, 집행유예 개념의 유형에서부터 단순한 수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체계로 이루어졌다. 이곳에는 캐스케이드 여성 공장(Cascades Female Factory)과 포인트 푸어(Point Puer)와 같은 여성 또는 어린이를 수감하는 교도소도 있었다. 브리컨던 ․ 울머스 단지 등의 교도소에서는 유형수들이 자유 이주민들 옆에서 함께 거주하기도 했다. 이곳은 생활 조건은 매우 엄격했지만, 가혹성의 측면에서는 장소와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럽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죄수를 이송하고 감독하는 데에는 상당한 규모의 교도 행정, 특화된 선박, 다수의 경비 등이 필요하였다. 가장 위험하다고 간주되는 죄수는 가장 가혹한 교도소인 감옥에 수감되고 고되고 위험한 노동이나 채찍 또는 굶기기 등의 체벌이 가해지고 독방에 수감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교도소에는 감옥과 독방 구역이 있었으며 노퍽 섬, 포트 아서, 태즈메이니아 반도의 석탄 광산과 같은 곳은 처벌 장소였다. 이곳 교도소에서의 가혹함이 대영 제국 전체에 알려졌다. 영국은 국민이 유형에 대한 공포심을 갖게 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영국 및 그 식민지 내에서의 범죄를 줄이고자 하였다.
집단 죄수 체계는 특히 도로 및 항만 시설을 위한 공공 노역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노역은 일반적으로 매우 엄격하고 작업 또한 고된 것이었다. 공공 노역의 장소는 올드 그레이트 노스 로드(Old Great North Road), 하이드 파크 막사(Hyde Park Barracks), 포트 아서, 석탄 광산, 킹스턴과 아서스 베일 역사 지구, 프리맨틀 교도소 등이었다. 그리 위험하지 않은 죄수들을 수감하는 노동 교도소도 있었는데, 이곳에서 죄수들은 종종 농업과 같은 개별적 작업을 할 수 있었다. 기업가들은 위험 부담은 있지만 죄수들을 사용할 수 있었는데 브리컨던 ․ 울머스 단지와 구 총독 관저 등에서 이 죄수들의 노동력을 이용하였다.
여성 죄수는 방직 공장인 캐스케이드 여성 공장에서 노역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제조업에 종사하였다. 이 교도소는 처벌 및 보상 체계가 있는 감옥이었다. 농장과 구 총독 관저 같은 교도소에서는 여성 죄수들을 하인으로 사용하였다. 모범수들은 형기를 줄일 수도 있었으며 조기 석방되기도 하였다. 죄수들의 사회적 교정을 주장하는 이들의 목표는 죄수들이 노동을 통해 점차적으로 사회적 갱생을 이루고, 궁극적으로는 어엿한 식민지 정착민의 지위를 얻게 하려는 시험적 경로를 확립하는 것이었다.
식민지 수립 계획의 중심에 있었던 오스트레일리아의 교도소건설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에게 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사회는 불안해졌고, 강제로 이주 당했으며 비옥한 토지를 빼앗겼다. 게다가 새로운 질병이 오스트레일리아로 들어오면서 면역력 부족으로 인해 전염병에 감염되기도 했다.오스트레일리아에 해외에서 정착민과 유형수들이 도착하자 원주민은 그들과 갈등하거나 저항하는 사건이 잦았으며 이 때문에 원주민이 죽기도 하였다.
유형수 정착지는 유형 체계가 폐지된 이후에도 추방과 같은 다소 작은 범위에서 적용되었다. 또한 죄수 관리 및 이와 유사한 관습이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마지막까지 활발히 사용되었던 프리맨틀 교도소는1990년대 초반에 폐쇄되었다. 오늘날 이들 유적의 대부분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기념지, 박물관, 공원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스트레일리아 교도소 유적 [Australian Convict Sites]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