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중국 /대운하
[The Grand Canal]
요약 : 대운하(大運河(번체), 大运河(간체), 다윈허)는 중국의 북동부 평야에서 중동부 평야로 이어지는 운하로 오늘날 8개 성(省)을 관통하는 방대한 규모의 내륙 수로 체계이다. 대운하는 북쪽의 베이징(北京)에서 출발하여 남쪽의 저장성(浙江省)까지 이어진다. 기원전 5세기 이후부터 계속해서 각 구간별로 건설되었다는 대운하는 서기 7세기 수(隋)나라 때에 이르러 처음으로 제국의 통일된 교통 통신수단으로서 여겨지기 시작했다. 수나라 이후 일련의 대공사가 광범하게 진행되었으며, 산업혁명 이전에 시행된 운하 공사로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면서도 광범한 토목공사 프로젝트로 기록되고 있다.
수나라의 뒤를 이은 역대 왕조들이 완성하고 관리했던 대운하는 중국 제국의 내륙 교통 체제의 근간이 되었다. 황제는 곡물과 전략적으로 가치 있는 원재료들을 운송하고 조세를 독점하기 위해 대운하를 통해 교통을 통제하는 조운제도(漕运系统)를 이용하여 장구한 세월 동안 관리하였다. 조운제도를 통해서 백성에게 먹일 쌀을 공급하고, 전체 영토를 아우르는 통치를 하면서 군대의 이동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대운하는 13세기 원(元)나라 당시 황허(黃河)와 양쯔(揚子)강을 포함하여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5개 수계를 연결하는 2,000km 이상의 인공 수로로 이루어진 통일된 내륙 해상 교통망으로 완성되는 신기록을 달성했다. 오늘날까지 중국의 주된 내륙 교통수단으로 남아 있는 대운하는 오랜 세월 중국의 경제적 번영과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경항운하
경항운하
대운하
대운하
대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경항운하
경항운하
경항운하
br>
경항운하
경항운하
경항운하
br>
경항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쑤저우 경항 대운하
베이징 경항 대운하 유람선
베이징 경항 대운하
베이징 경항 대운하
경항운하
국가 : 중국(China)
좌표 : N34 41 38,E112 28 6
등재연도 : 2014년
대운하 :
완전성
대운하를 구성하는 각 구역, 수리 시설 유적, 관련된 보조 시설 및 도시 시설은 대운하의 경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강과 호수를 이용한 수리 기능, 관리 체계의 운영 및 역사적 맥락 등을 충분히 포괄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지리적 분포는 수로의 규모와 분포 현황뿐 아니라 중국 역사상 대운하가 계속해온 중요한 역할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연속 유산을 구성하는 총 85개의 개별 요소 중에서 71개는 적합한 방식으로 보존되어 완벽한 완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한편, 14개 요소의 완전성 정도는 비교적 낮다.
그러나 최근의 고고학적 발굴 조사를 통해 새로이 포함된 요소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이 모든 요소들이 대운하 전체를 이해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인 운영 측면에서는 특히 더 그러하다. 더불어, 긴 대운하를 구성하는 여러 구역이 반복적으로 추가되는 것이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지 못하는 것 같은 측면이 있다. 반면 연속 유산에서 빠지는 부분이 있다면 중국을 관통하는 수로의 연속성 및 그 수리 체계의 계속성이 제대로 강조되지 않는 역설적인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유산의 증명력, 상보성, 규모는 연속 유산을 구성하는 각개 유적의 완전성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됨을 의미한다.
진정성
연속 유산에 포함된 대운하의 모든 구성 요소는 그 형태와 구상, 건축 자재와 입지라는 관점에서 만족할만한 수준의 진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 구성요소는 유산의 가치를 적절하게 뒷받침하며 표현하고 있다. 각각의 기능은 대부분의 경우 오늘날까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유기적으로 조직된 전체 구조로서의 대운하 역시 그 외관과 탐방객에게 느껴지는 그 자체의 분위기라는 관점에서 높은 수준의 진정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럼에도 유산의 공개라는 측면에서 2가지 어려움이 있다.
첫 번째는 대운하를 구성하는 일부 구역의 역사, 그리고 연속적인 준설, 심화, 확장 작업, 그리고 관련 시설에 가해지는 기술적 변경 등과 관련이 있다. 공개된 일부 구역은 동일한 하상에 또는 본래의 수로와 나란히 최근에 개축되었다. 두 번째 문제점 역시 그 각각의 요소가 장구한 중국의 역사를 보여준다고 여겨지는 유서 깊은 운하라는 관점에서 일부 구역의 도시 또는 교외 경관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도 유지되고 오늘날까지 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탐방객이 느낄 수 있는 역사적인 진정성과 일부 구역에 보이는 경관의 진정성이라는 측면에서 몇 가지 의구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전체로서의 연속 유산과 그리고 개개의 구역 역시 진정성은 충족되고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2008년에 공표된 ‘중국문화유산의 6개 핵심 사례 목록(List of the six key examples of the cultural heritage of China)’에는 대운하의 18개 구역과 49개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국무원(國務院)은 이들 요소를 인정하여 관련 유산을 우선 보호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현재의 법적 보호 조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운하를 따라 완충지대를 확장하여 바로 옆에 인접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둑의 보호를 체계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훌륭하고, 지금까지 단호하고 다각적인 보존 정책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발굴된 고고 유물을 보다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각 구역별 운하가 어떤 역사적 시기와 관련된 것인지 규명해야 하며, 환경 및 경관 보호를 위한 노력을 배가하는 데 더욱 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관리 체계의 책임은 여러 수준에서 부담한다. 국가 수준에서는 국무원의 후원 하에 ‘대운하 보호를 위한 지방 정부 간 협의단(Inter-Ministerial Consultation Group of Provinces)’이 유산 관리에 관한 문제를 조율한다. 이 협의단은 6개 성(省) 정부, 2개 성(省) 급 도시의 시정부, 국가문물국(国家文物局), 수리부(水利部)와 기타 관련 부처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계획은 총 35개의 부문별 보호 계획으로 나뉘고, 그 각각이 공포되어 2030년까지 적용될 예정이다. 2013년부터 2015년 기본 계획은 보호 수준, 보존 조치의 개선 및 보강, 관리 조치의 다양화 및 표준화, 명확한 정의 및 완충 지역 보호와의 조화, 유산에 관한 지식 함양을 위한 단기 행동 강령의 입안 등과 같은 세부 사항을 조정한 바 있다.
등재 기준
기준 (i) : 고대에 공사가 시작되었다는 점, 방대한 규모라는 점, 계속해서 발전하며 역사적으로 새로운 상황에 맞추어 변용을 거듭해왔다는 점에서 대운하는 역사상 인류가 이룬 수리공학적 성취를 대표하는 가장 위대한 걸작이다. 대운하는 인류의 지혜, 결단력, 용기를 증명하는 유형의 증거이다. 또한 인류가 지닌 창조력을 보여주는 탁월한 사례로서 고대 중국으로부터 비롯된 거대 농업 제국의 놀라운 기술력과 능통한 수리 관련 지식을 증명한다.
기준 (iii) : 대운하는 기원과 번성, 역대 왕조들이 이룩한 수도 천도에 따른 변용, 20세기에 이르러 폐지되는 등 조운제도를 통한 운하 관리라는 고유한 문화 전통의 증거를 간직하고 있다. 조운제도는 황제가 운송을 독점하고, 곡물 · 소금 · 철 등을 보관하며 이에 따라 과세 제도를 운용하는 것을 기초로 한 제도이다.
대운하는 농업 경제와 황실, 백성과 군대에게 식량을 보급하는 기간 시설이었다. 대대로 조운제도는 ‘중국 제국(1912년 이전의 역대 왕조 하의 중국)’의 안정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었다. 대운하를 따라 이루어진 경제와 도시의 발전은 농업 기반의 거대 문명이 작동하도록 해주는 핵심 요소였고 이러한 역할을 한 수로망의 발전은 중국의 경제와 도시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기준 (iv) : 대운하는 세계에서 그 길이가 가장 길고 역사도 가장 오래되었으며, 초기 수리공학(水理工學)이 이룬 놀라운 발달의 결과물이다. 산업혁명 이전에 이룬 중요한 기술적 성취이기도 하다. 다양하고 복잡한 상황에 맞춰 완벽하게 수행된 다양한 기술 공법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대운하는 자연이 우리에게 제기한 어려운 난관을 극복한 하나의 모델이기도 하다.
기준 (vi) : 7세기부터 역대 중국 왕조를 거쳐 현대 중국에 이르기까지, 대운하는 경제 · 정치적 통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중요한 문화 교류의 현장이기도 했다. 대운하 물길을 따라 그 주변에 살아온 사람들은 그들만의 생활 및 문화 양식을 새롭게 창조해왔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오랜 세월 동안 광활한 중국 대륙의 상당한 지역 사람들에게 뚜렷하게 인지되어왔다. 대운하는 ‘대동(大同)’이라는 고대 중국의 철학 개념을 구현하였으며, 대를 이어 농업국가로서 중국 제국에서의 통일, 상보성, 통합의 본질을 이루는 요소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운하 [The Grand Canal]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