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나물, 접골초[接骨草]의 효능

≪ 광대나물 무엇인가? ≫ 사지마비 타박상 골절상 근육통에 효험
▶ 근육통, 사지마비, 나력, 림프절 결핵, 타박상, 골절상, 고혈압, 활혈통락, 해독소
종, 근골동통, 반신불수, 안면신경마비, 황달, 축녹증, 종독, 황수창, 어혈 동통에
효험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은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연약하고 사각 기둥 모양이며 늘 자색을 띠고 있다.
거꾸로 자란 털이 드문 드문 있으며 높이는 10~60센티미터이다.
잎이나 기부는 신장형이나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고 약간 갈라져 있다.
잎의 윗면과 밑면은 모두 털로 덮여 있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기부는 줄기를 싸고 있다.
화륜에 꽃이 2개 내지 몇 개가 있는데 화병이 없고 액생하며 꽃떡잎이 없다.
꽃받침은 대롱 모양이고 길이는 5~6mm이며 톱니가 5개 있으며 바깥면과 톱니 주위에
모두 길고 가는 털이 있다.
꽃부리는 자홍색이고 길이는 9~17mm이며 외면에 가늘고 보드라운 털이 있다.
관통(冠筒)은 가늘고 기부에는 고리가 없으며 후부(喉部)가 확장되었고 윗입술은 직립
하고 긴 원형의 투구 모양이며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졌고 가운데 갈라진 조각은 부채
모양으로 끝이 깊게 오무라들었으며 옆의 갈라진 조각은 넓은 삼각형이다.
수술은 4개인데 그 가운데 2개가 길다.
꽃밥은 주홍색이다.
암술대는 2개로 갈라졌고 바늘 모양이다.
작은 견과는 긴 원형이고 3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정단이 절단형이고 흑갈색이며 하얀
비늘 모양의 돌기가 있다. 꽃이 피는 시기는 3~4월이고 결실기는 6월이다.
길가나 묵밭, 논밭두렁, 황무지에서 자란다.
한뿌리에 여러줄기가 나와 둥근 모양의 잎이 우산을 여러개 쓴 것처럼 아름답게 매달려
있다.
꽃이 연분홍색으로 긴 원형의 투구 모양으로 매우 아름답다.
"광대나물" 의 여러 가지 이름은 보개초[寶蓋草: 진주연:珍珠連: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
圖考)], 접골초[接骨草, 연태하고:連台夏枯, 모엽하고:毛葉夏枯, 등롱초:燈籠草: 전남본
초(滇南本草)], 불좌[佛座: 식물학대사전(植物學大辭典)], 풍잔[風盞, 연전초:連錢草,
대동전칠:大銅錢七: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납촉천초[蠟燭扦草: 소의(蘇),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광대나물, 코딱지나물, 작은잎꽃수염풀, 코딱지풀 등으로 부
른다.

[성분]
잎에는 iridoid glycoside: lamioside, lamiol, lamiide, ipolamiide가 함유되어 있
다. 신선한 잎에는 lamiide의 함량이 약 0.02%이다. [중약대사전]
[맛과 성질]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1, <전남본초>: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2, <전남본초도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경락을 통하게 하며 부종을 내리고 지통(止痛)한다. 근골 동
통, 사지의 마비, 타박상, 나력을 치료한다.
1, <전남본초>: "담(痰)으로 인한 근골의 동통, 수족마비를 치료한다. 전신의 풍사
(風邪)를 몰아내고 나력수족담핵(瘰癧手足痰核)을 없앤다.
타박을 치료하고 부러진 뼈를 재결합하며 뇌루비연(腦漏鼻淵)을
멎게 하고 담화홍종동통(痰火紅腫疼痛)을 치료한다."
2, <식물명실도고>: "양근(養筋)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전신의 동통을 멎게
한다."
[사용법 및 용량]
내복: 12~20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 붙인다.

광대나물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보개초(寶蓋草)
[기원] 꿀풀과의 한해살이 초본식물인 광대나물 um amplexicaule L.의 지상부이다.
꽃은 3∼4월에 피고 여름에 채취한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약성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주치] 활혈통락(活血通絡), 해독소종(解毒消腫)하므로 타박상(打撲傷), 근골동통
(筋骨疼痛), 사지마목(四肢麻木), 반신불수, 안면신경마비, 황달, 축농증, 나
력(瘰癧), 종독(腫毒), 황수창(黃水瘡) 등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팔다리와 근육이 은근히 아프고, 때론 마비감이 있으면서 혹 전신으로 돌아다니면서
아픈 증상, 타박상, 반신불수 등에 방풍(防風) 8g, 조구등(釣鉤藤) 12g을 배합해서
응용한다.
2. 축농증과 콧물이 뇌 속에서 나올 것 같은 증상에는 창이자(蒼耳子) 15g, 천궁(川芎),
백지(白芷) 각 8g을 배합해서 쓴다.
3. 황달형간염에는 하고초(夏枯草) 10g, 목적(木賊), 용담(龍膽) 각 8g과 같이 사용한
다.
4. 고혈압에도 유효하며, 안면신경마비에도 달여서 복용한다.
[용량] 10∼15g
[화학성분] iridoid, lamiide, lamiol, ipolamiide 등을 함유하고 있다.]

◆ 광대나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추락상(墜落傷), 골절근상(骨折筋傷) 광대나물 2냥, 썬 자갈근(紫葛根) 1냥, 뿌리를 제거하고 썬 석곡(石斛) 1냥, 파극(巴
戟)1(2)냥, 정향(丁香) 1냥, 속단(續斷) 1냥, 아위(阿魏) 1냥(밀가루를 싸서 굽는데 밀
가루를 익히면 된다)을 약간 세게 가루를 내서 수시로 2돈씩 더운술로 복용한다. [태
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접골초산(接骨草散)]
2, 타박상, 족상(足傷)으로 벌겋게 부어 땅을 다니지 못하는 증상 광대나물, 영마근(苧麻根), 대계(大薊)를 달걀 흰자와 꿀과 함께 잘 찧어서 상처에 붙
인다. 하루에 한 번씩 바꾸어 준다. 시일이 지났는데 동통이 생기면 파, 생강을 더 넣
는다. [전남본초(滇南本草)]
3, 담화(痰火), 수족홍종동통(手足紅腫疼痛) 광대나물 5돈, 계각자근(鷄脚刺根) 2돈, 토황련(土黃連) 2돈을 함께 짓찧어서 술을 조
금 넣은 다음 상처에 세 번 붙인다. 부은 것이 내리고 동통이 멎은 다음 창이(蒼耳),
백지(白芷), 천궁(川芎)을 넣고 황련, 계각자근을 제거하여 도수가 낮은 술로 달여 세
번 복용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4, 여자의 두 다리에 핵(核)이 생겨 복숭아 같고 벌겋게 부으며 단단한 증상 광대나물 3돈을 달여서 도수가 낮은 술을 조금 넣어 복용한다. 다시 발작하면 위령선
(威靈仙), 방풍(防風), 호장초(虎掌草)를 넣어 세 번 복용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5, 림프절 결핵 ① 어린 광대나물싹 1냥, 계란 두 개를 볶아 복용한다.
② 광대나물 2~3냥, 계란 2~3개를 같이 삶아서 계란이 익으면 껍질을 벗겨 버리고 계
속 반 시간 달여서 계란과 그 물을 복용한다.
③ 신선한 광대나물 두 냥을 잘 짓찧어서 그 즙을 달여 복용한다.
위의 약은 모두 하루 건너 한 번씩 연속 3~4회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
藥手冊)]
이름이 광대나물이라서 독초가 아닌가 오해할 수 있으나 독이 전혀 없어 식용할 수 있는
안전한 약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광대나물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하다는
것을 조상들은 알고 응용하여 왔다는 것을 고대 의서를 통해 엿볼 수 있다. 봄부터 초여
름까지 연한 잎과 줄기를 나물로 삶아 먹을 수 있다. 봄철에 흔한 광대나물로 입맛도 살
리고 가족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백두대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