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밀나물(우미채)의 효능

eorks 2024. 2. 24. 10:10
           밀나물(우미채)의 효능


밀나물(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은 백합과 밀나물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밀나물속은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청미래덩굴(팥청미래덩굴, 말개나무, 매발톱가시, 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청열매덤불), 좀청미래덩굴, 선밀나물, 밀나물, 좁은잎밀나물, 청가시덩굴(청가시나무), 민청가시덩굴 등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 우수리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밀나물은 산비탈의 숲속에서 덩굴지며 자라는데 길이는 2~3m 길이로 벋는 줄기는 가지가 많아 갈라진다. 잎 겨드랑이에 턱잎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달걀형 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에는 5~7개의 세로맥이 뚜렷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띤다. 암수딴그루로 5~7개의 세로맥이 뚜렷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띤다. 암수딴그루로 5~7월에 잎겨드랑이의 산형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의 꽃이 둥글게 모여 핀다. 둥근 열매는 검은색 또는 자흑색으로 익으며 흰 가루로 덮여 있다. 수꽃의 꽃덮이는 6개이고 열편은 피침형을 이루고 있다. 암꽃은 수꽃보다 작다. 씨방은 공모양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졌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밀나물의 올라오는 생김새를 보고 각종의서에는 여러 가지로 이름을 부르는데 참으로 흥미롭기도 하다. 우미채는 길다란 줄기를 보고 '소꼬리나물'로 부르고, 마미신근은 '말꼬리가 쭉 펴져 있는 모습'으로, 노용수는 '늙은 용의 수염'으로, 초발계는 '풀청미래덩굴'로, 이어수는 '잉어의 수염'으로, 천층탑은 '밀나물의 꽃이 동그랗게 뭉쳐서 올라가면서 피는 모습'을 보고, 대신근초는 '큰 근육을 쭉 펴는 풀'로, 주미채는 봄에 올라올 때 붉은 색을 띠는 것을 보고 '붉은 꼬리나물'로 이름을 지어 주었다는 것이다.

밀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우미채[牛尾菜, 마미신근:馬尾伸根, 과강궐:過江蕨, 노용수:老龍鬚: 강서초약(江西草藥)], 금강두등[金剛豆藤: 귀주초약(貴州草藥)], 초발계[草菝葜, 대신근초:大伸筋草: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천층탑[千層塔, 이어수:魚鬚, 산강두:山
豆: 금화(金華), 상용중초약단방험방선편(常用中草藥單方驗方選編)], 주미채[朱尾菜], 밀나물 등으로 부른다.

[채취] :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맛과 성질] :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1, <강서초약>: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달고 약간 쓰다."
2, <귀주초약>: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3, <섬서중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기(氣)를 보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근육과 힘줄을 풀고 경락을 통하게 한다. 기허(氣虛) 부종, 관절통과 근육통, 반신 불수, 두훈(頭暈), 두통, 해수, 토혈, 골결핵, 백대하를 치료한다.

1, <강서초약>: "풍을 제거하고 어혈을 없앤다. 풍습에 의한 비통(痺痛), 타박상을 치
               료한다."
2, <귀주초약>: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허손(虛損)을 보익한다."
3, <섬서중초약>: "풍사습사(風邪濕邪)를 없애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경락을 통하
                게 하고 소
염하며 진통한다. 풍습성 관절염, 관절통과 근육통, 고혈압
                에 의한 반신 마비,
 골수염, 골결핵을 치료한다."
4, <금화, 상용중초약단방>: "백대하 과다, 림프절염을 치료한다."
5, <호남약물지>: "근육과 힘줄을 풀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기(氣)를 보하고 경락을
                 통하게
한다."

밀나물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러한 기록하고 있다.

[
우미채(牛尾菜)
[기원] 백합과의 덩굴성식물인 밀나물(Si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Hara et T. Koyama)의
          뿌리이다.

[성미] 맛은 달고 쓰며,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보기활혈(補氣活血), 서근통락(舒筋通絡)한다.

[임상응용] 기(氣)가 부족하여 몸이 붓는 증상을 치료하고, 근육과 골격의 동통을 제거하고 관절
                 의 동통, 사지마비에도 활용된다. 폐결핵으로 각혈이 있을 때와 골결핵에도 쓰인다.]

밀나물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우미채(牛尾菜)
기원: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식물인 우미채(牛尾菜: Smilax riparia A. DC.)의 뿌
      리 및 근경
이다.
형태: 덩굴성의 초본이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피침형(卵狀 披針形) 내지 피침상(披針
      狀) 장타원
형(長楕圓形)으로 길이가 2.5-8.5cm이고 너비가 2-4cm이며 잎끝은 첨
      두(尖頭)이거나 점첨
두(漸尖頭)이고 엽저는 절저(截底) 내지 원저(圓底)이며, 잎
      자루의 기부(基部)에는 덩굴손
1쌍이 있다. 꽃은 단성화(單性花)이고 자웅동주
      (雌雄同株)이며, 산형화서(傘形花序)가 액
생(腋生)하고, 포편(苞片)은 피침형(披
      針形)이고, 꽃은 담황녹색(淡黃綠色)이며, 수꽃의
꽃잎은 6장이고 피침형(披針形)
      이며, 암꽃은 수꽃에 비해 크기가 작고, 자방은 구형(球形)
이며 암술대는 3갈래
      이다. 장과(漿果)는 성숙하면 흑갈색(黑紫色)이 된다.

분포: 산비탈, 숲 속에서 자란다. 중국의 광동(廣東), 광서(廣西), 섬서(陝西), 절강
      (浙江) 등지
에 분포.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캐어서는 깨끗이 씻고 햇볕에 쬐어 말린다.
성분:
백발공(白鬚公) saponin, anthraquinone glycoside.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거풍활락(祛風活絡), 화담지해(化痰止咳).
주치:
풍습성 관절염(風濕性 關節炎), 근골동통(筋骨疼痛), 기관지염(氣管支炎).

용량: 하루 15-3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참고문헌: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1369면.]



◆ 밀나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기허(氣虛) 부종의 치료

우미채(牛尾菜: 밀나물), 모납촉(毛蠟燭), 지양삼(地洋參) 각각 3돈, 수고양근(水高梁根) 2돈, 규화간심(葵花稈心) 1돈을 녹두를 인경약(引經藥)으로 하여 고기와 같이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2, 관절통의 치료

우미채 5돈, 노변형(路邊荊) 1냥, 노서자(老鼠刺) 1냥, 희렴초(
豨薟草) 5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3, 신허(腎虛) 해수

우미채, 아마황근(餓
螞蟥根), 대화초근(大火草根), 토구기근(土枸杞根) 각각 3돈, 박지종근(撲地棕根) 1돈을 닭과 같이 쪄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4, 두통, 두훈(頭暈)

밀나물 2냥, 왜아등근(娃兒藤根) 5돈을 계란 2개와 함께 달여 계란과 탕액을 다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필자도 어릴 때 시골의 산에서 나물을 모친과 함께 채취할 때 연하고 곧게 올라오는 밀대를 생으로 꺽어먹었으며 집으로 가지고 와서 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기도 한 옛 추억이 서린 나물중에 하나이다. 향기도 은은하고 맛이 부드러워 지금도 그 맛을 잊을 수 없다.


밀나물의 효능을 정리한다.
기허(氣虛) 부종, 관절통과 근육통, 반신 불수, 고혈압에 의한 반신마비, 골수염, 기관지염, 근골동통, 기침, 풍습에의한 비통, 타박상, 두훈(頭暈), 두통, 해수, 토혈, 골결핵, 백대하, 기를 보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근육과 힘줄을 풀고 경락을 통하게 하는 밀나물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쥐나무의 효능  (0) 2024.02.26
바디나물(연삼)의효능  (2) 2024.02.25
무화과의 효능  (0) 2024.02.23
무궁화흰꽃의 효능  (0) 2024.02.22
모시대의 효능  (0)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