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참부채버섯

eorks 2024. 6. 7. 04:37
참부채버섯


참부채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버섯이다.


늦은호엔부엘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오리나무·참나무 등 활엽수의 말라 죽은          
가지에 겹쳐서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약 10㎝로 반달 또는 부채 모양이다.                    
갓 표면은 편평하고 엷은 노란색 또는 누런 갈색으로 전체에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고 축축하면 끈적끈적하다.                       
노성하면 표면에 푸른 이끼들이 낀다.                                      
살은 흰색이고 질기며 촘촘하다.                                             
주름살은 노란색으로 촘촘하고 폭이 넓다.                                



버섯대는 부채꼴로 갓의 꼭지쪽 끝에 붙어 있으며 표면에 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버섯대 살은 흰색이다.                                                                            
홀씨는 긴 타원형이며 활 모양으로 휘어져 있고 홀씨 무늬는 누런 흰색이다.       
식용할 수 있다.                                                                                     
북반구 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전골이나 찌게에 넣어 먹거나 잡채를 해서 먹기도 한다.                             
향이 뛰어나고 느타리 보다 더 쫄깃하다.                                                
군생하기를 좋와해서 발견하면 충분히 먹을만큼 얻을 수 있다.                    
느타리 종류중에 큰편이라 다 피면 갓의 크기가 어른 손바닥 만한게도 자란다.
가장 늦게 나는 식용버섯.참부채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버섯이다.



형태적 특징 :
참부채버섯의 갓은 지름 5~10cm 정도이며, 처음에는 조개모양 
                   또
는 부채형이며 반반구형이고,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말려 있으나
성장
하면서 차차 펴지고, 반원형으로 된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고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가는 털이 있 
고,
표피는 잘 벗겨진다.                                                
  조직은 백색이며 질기고 단단하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형이고, 빽빽하며 황백색이다. 
                   대의 길이는 0.5~1cm 정도로 짧고 편심형이며, 표면에는 갈색의
은 털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며, 포자모양은 원통형이다.                             



발생시기 및 양상 :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그루터기에 무리
어 발생하며 부생생활을 한다.            

이용 가능성 여부 : 식용버섯이다.                                                            


참고 : 독버섯인 화경버섯과 형태가 유사하다.                                            

        그러나 화경버섯은 잘랐을 때 조직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발생시기가 주
    로 여
름이며, 본 종은 잘랐을 때 조직은 백색이며, 발생시기가 늦가을
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참부채버섯은 주로 참나무에 많이 나지만 다른 활엽수에도 간간히 달린다.         
습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버섯이라 채취한후 눌러 보면 대개 물리 흘러 내릴 정도
인데 놀랍게도 아주 가문 날씨에도 잘 자란다.                                              

주변 습기를 모으는 우리가 모르는 재주가 있는듯 하다.                                 
향이 좋고 느타리버섯 보다 쫄깃해서 먹기도 좋고 맛 또한 좋다.                       
주로 된장찌게나 김치찌게에 넣어 먹는데 식감이 아주 좋다.                            데쳐서 초장에 찍어 안주로 먹어도 좋고 튀김옷을 입혀서 튀겨내면 어린 아이의  
간식으로도 참 좋은 버섯이다.                                                                  
난 개인적으로 라면 끓일때 넣어 먹는걸 제일 좋와 한다.                                
위 버섯 소개에도 언급이 돼 있지만 독버섯인 화경버섯과 잘 구별해야 탈이 없다.

식용버섯
향기, 맛 모두 특징이 없어 먹기 쉬우나, 약간 물끼가 있다.              

참부채버섯에 아주 흡사한 독버섯에 화경버섯이 있다.                    
형이 아주 흡사한데다가 같은 장소에서 식함으로 주의를 요한다.      

단, 화경버섯은 세로로 갈라서 보면 줄기 내부에 검은 점이 있다.      
또 극히 약하지만 주름에는 발광성이 있어 이 버섯과 구별할 수 있다.

        먹는 방법과 효능         
10∼11월이 절기다. 표피 밑에 젤라틴 층이 있기 때문에 독특한 혀의 감촉이
있지만 맛버섯과는 질이 다르다.                                                                              

이것이 참부채버섯과의 매력으로 되어 있다.                                         
점성과 매끈매끈한 혀의 감촉에 더해서 씹히는 맛이 좋다.                       
더 이상 맛에는 특이함이 없다.                                                          
튀김이나 프라이, 소금구이는 별로 좋지 않으나 졸임에 적합하다.             
간장국, 식초요리, 무침, 잡채나 면류, 간장졸임, 피클이나 마리네, 그랑탕이
나 피자,
중국식 스프, 고명 등에 적합하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비늘 버섯(참비늘 버섯)  (0) 2024.06.09
버들송이버섯 효능과 요리  (4) 2024.06.08
땅지버섯(땅지만가닥버섯)  (0) 2024.06.06
맛버섯의 효능과 요리  (2) 2024.06.05
팽이버섯 효능과 요리  (0) 202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