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 이야기

63. 燕(연)=제비. 甛瓜(첨과)=참외

eorks 2024. 11. 13. 15:14

63. 燕(연)=제비. 甛瓜(첨과)=참외


    김삿갓은 어느 날 마당가를 서성이며 바람을 쏘이다가 때마침 빨랫줄에
    제비가 앉아있는 것을 보고 시 한 수를 지었다.

    무덥던 여름이 가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일기 시작하자 그의 가
    슴 속에는 깊이 도사리고 있던 放浪癖(발랑벽)이 다시 머리를 들고 일어
    나기 시작했던 것이다.


              불어오는 동녘바람에 제비가 날아들어
              복숭아나무 아래로 옛집을 찾아오네.
              봄이 가면 너도 또한 멀리 날아가서
              봉숭아 꽃 피는 내년 봄을 기다리리.

              一任東風燕子斜(일임동풍연자사)
              桃李樹下訪君家(도리수하방군가)
              君家春盡飛將去(군가춘진비장거)
              留待桃李後歲花(류대도리후세화)


    익균이는 아버지의 심정은 헤아리지도 못하고 그저 해설만 들으면서 뛸
    듯이 좋아하는데,

    마누라가 소쿠리에 참외를 따 가지고 들어오다가 이 광경을 보고는

    「네 아버지가 얼마나 잘난 양반인지는 모르겠다마는 너 만은 제발 아버지
    를 닮지 마라.」하고 말한다.

    아무리 훌륭한 아버지라도 남편으로서는 원망스럽기만 한 모양이었다.

    마누라가 번번이 원성을 늘어놓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다.

    하루아침에 훌쩍 집을 나가서 10년이 넘도록 소식도 없이 돌아오지 않았
    으니 어떤 마누라가 그 남편을 원망하지 않을 것인가.

    김삿갓은 죄인이라도 된 듯 말없이 고개를 숙인 채, 담담히 참외 하나를
    집어 아내에게 권한다.

    오래 만에 원망스럽던 남편에게서 따뜻한 정을 느낀 아내는 눈시울을 붉
    히며 참외를 받아 깎는데,

    익균이는 깎지도 않은 참외를 정신없이 먹고 있다가 문득 생각이 난 듯
    참외에 대한 시를 지어 달라고 보챈다.


              겉모양은 위장군과 흡사하고
              속마음은 연나라 태자를 닮았구나.
              너는 본시 땅 기운을 받아 태어났는데
              어째서 하늘처럼 둥글게 생겼느냐.

              外貌將軍衛(외모장군위)
              中心太子燕(중심태자연)
              汝本地氣物(여본지기물)
              何事體天團(하사체천단)


    고사를 인용하여 지은 어렵고도 익살스러운 시였기 때문에 익균은 고개
    를 갸웃거리며 꼬치꼬치 캐묻고, 김삿갓은 알아듣기 쉽도록 자세히 설명
    을 한다.

    「그 옛날 漢(한)나라에 衛靑(위청)이라는 유명한 장수가 있었느니라.

    그러기에 나는 참외빛깔이 푸른 것을 푸르다고 직선적으로 말하지 않고,
    衛將軍(위장군)과 같다고 푸른 빛깔을 간접적으로 표현한 것이란다.

    그리고 중국춘추시대에 燕(연)나라 太子(태자) 중에 丹(단)이라는 이름을
    쓰는 이가 있 었단다.

    그래서 참외 속이 붉은 것을 연나라 태자 같다고 간접 표현한 것인데, 이런
    것들은 시를 짓는데 있어서 하나의 멋이란다.」

    익균은 고개를 끄덕이며 그 다음은 다 알겠다는 듯이

    「참외는 땅의 기운을 받아 자랐기 때문에 모양새가 땅처럼 평평하게 생
    겼어야 옳을 것인데, 어째서 하늘처럼 둥글둥글하게 생겼느냐는 표현은
    퍽 재미있네요.」하고 웃는다.

    김삿갓은 어린 아들의 시 감상력에 거듭 놀라고 감격스러워 연신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가슴 속은 미여지는 것만 같았다.

    마누라는 아들이라도 장차 대과에 나가 장원급제하기를 바라는 모양이지
    만, 할아버지의 대죄를 생각하면 그럴 수는 없기 때문이었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김삿갓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 자네가 지네  (0) 2024.11.15
64. 다시 방랑길에  (2) 2024.11.14
62. 牛·丑(우·축)=소  (0) 2024.11.12
61. 鷄·酉(계·유)=닭  (0) 2024.11.11
60. 猫(묘)=고 양 이  (2)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