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기(李炯其)님의 詩
1.-낙화(落花)-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 ……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 때.
무성한 녹음과 그리고
머지 않아 열매 맺는
가을을 향하여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
헤어지자
섬세한 손길을 흔들며
하롱하롱 꽃잎이 지는 어느 날
나의 사랑, 나의 결별
샘터에 물 고이듯 성숙하는
내 영혼의 슬픈 눈.
---------------------------------------
2.<산>
산은 조용히 비에 젖고 있다.
밑도 끝도 없이 내리는 가을비
가을비 속에 진좌(鎭座)한 무게를
그 누구도 가늠하지 못한다.
표정은 뿌연 시야에 가리우고
다만 윤곽만을 드러낸 산
천 년 또는 그 이상의 세월이
오후 한때 가을비에 젖는다.
이 심연 같은 적막에 싸여
조는 둥 마는 둥
아마도 반쯤 눈을 감고
방심무한(放心無限) 비에 젖는 산
그 옛날의 격노(激怒)의 기억은 간 데 없다.
깎아지른 절벽도 앙상한 바위도
오직 한 가닥
완만한 곡선에 눌려 버린 채
어쩌면 눈물 어린 눈으로 보듯
가을비 속에 어룽진 윤곽
아 아 그러나 지울 수 없다.
-----------------------------------------
3.<폭포>
그대 아는가
나의 등판을
어깨에서 허리까지 길게 내리친
시퍼런 칼자욱을 아는가.
질주하는 전율과
전율 끝에 단말마(斷末魔)를 꿈꾸는
벼랑의 직립(直立)
그 위에 다시 벼랑은 솟는다.
그대 아는가
석탄기(石炭紀)의 종말을
그때 하늘 높이 날으던
한 마리 장수잠자리의 추락(墜落)을.
나의 자랑은 자멸(自滅)이다.
무수한 복안(複眼)들이
그 무수한 수정체(水晶體)가 한꺼번에
박살나는 맹목(盲目)의 눈보라
그대 아는가
나의 등판에 폭포처럼 쏟아지는
시퍼런 빛줄기
2억 년 묵은 이 칼자욱을 아는가.
-------------------------------------
4. -호수(湖水)-
어길 수 없는 약속처럼
나는 너를 기다리고 있다.
나무와 같이 무성하던 청춘이
어느덧 잎 지는 이 호수가에서
호수처럼 눈을 뜨고 밤을 새운다.
이제 사랑은 나를 울리지 않는다
조용히 우러르는
눈이 있을 뿐이다.
불고 가는 바람에도
불고 가는 바람처럼 떨던 것이
이렇게 잠잠해질 수 있는 신비는
어디서 오는가.
참으로 기다림이란
이 차고 슬픈 호수 같은 것을
또 하나 마음 속에 지니는 일이다.
---------------------------------------
5. -귀로(歸路)-
이제는 나도 옷깃을 여미자
마을에는 등불이 켜지고
사람들은 저마다
복된 저녁상을 받고 앉았을 게다
지금은
이 언덕길을 내려가는 시간,
한오큼 내 각혈의
선명한 빛깔 우에 바람이 불고
지는 가랑잎처럼
나는 이대로 외로워서 좋다
눈을 감으면
누군가 말없이 울고 간
내 마음 숲 속 길에
가을이 온다
내 팔에 안기기에는 너무나 벅찬
숭엄(崇嚴)한 가을이
아무데서나 나를 향하여 밀려든다.
----------------------------------------
6.<그 해 겨울의 눈>
그 해 겨울의 눈은
언제나 한밤중 바다에 내렸다.
희부옇게 한밤중 어둠을 밝히듯
죽은 여름의 반디벌레들이 일제히
싸늘한 불빛으로 어지럽게 흩날렸다.
눈송이는 바다에 녹지 않았다.
녹기 전에 또 다른 송이가 떨어졌다.
사라짐과 나타남
나타남과 사라짐이 함께 돌아가는
무성영화시대의 환상의 필름...
덧없는 목숨을
혼신의 힘으로 확인하는 드라마
클라이맥스밖에 없는 화면들이
관객 없는 스크린을 가득 채웠다.
언제나 한밤중 바다에 내린
그 해 겨울의 눈
그것은 꽃보다도 화려한 낭비였다.
---------------------------------------
이형기 : (李炯其,1933~ ). 경남 진주 출생. 동국대 불교학과 졸업.
<문예>(1949)지에 <비오는 날>외 2편이 추천되어 등단. 제
2회 한국문학가협회상을 수상. 초기에는 유미적, 전통적,
서정적 경향의 시를 쓰다가 후기에는 즉물적이며 격정적이
고 예리한 감각이 돋보이는 작품을 창작함. 시집으로는
<적막강산>, <풍선심장>, <그 해 겨울의 눈> 등이 있고 수
필집으로는 <바람으로 만든 조약돌>이 있음.
----------------------------------------------------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