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장환(吳章煥)님의 詩
1.<고향 앞에서>
흙이 풀리는 내음새
강바람은
산짐승의 우는 소릴 불러
다 녹지 않은 얼음장 울멍울멍 떠내려간다.
진종일
나룻가에 서성거리다
행인의 손을 쥐면 따뜻하리라.
고향 가까운 주막에 들러
누구와 함께 지난날의 꿈을 이야기하랴.
양귀비 끓여다 놓고
주인집 늙은이는 공연히 눈물지운다.
간간이 잣나비 우는 산기슭에는
아직도 무덤 속에 조상이 잠자고
설레는 바람이 가랑잎을 휩쓸어 간다.
예제로 떠도는 장꾼들이여!
상고(商賈)하며 오가는 길에
혹여나 보셨나이까.
전나무 우거진 마을
집집마다 누룩을 디디는 소리, 누룩이 뜨는 내음새 ……
----------------------------------------------
2.-모촌(暮村)-
초라한 지붕 썩어 가는 추녀 위엔 박 한 통이 쇠었다.
밤 서리 차게 내려앉는 밤,
싱싱하던 넝쿨이 사그라 붙던 밤,
지붕 밑 양주(兩主)는 밤새워 싸웠다.
박이 딴딴히 굳고 나뭇잎새 우수수 떨어지던 날,
양주는 새 바가지 뀌어 들고 초라한 지붕,
썩어 가는 추녀가 덮인 움막을 작별하였다.
---------------------------------------------
3.<병든 서울>
8월 15일 밤에 나는 병원에서 울었다.
너희들은 다 같은 기쁨에
내가 운 줄 알지만 그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일본 천황의 방송도,
기쁨에 넘치는 소문도,
내게는 곧이가 들리지 않았다.
나는 그저 병든 탕아(蕩兒)로
홀어머니 앞에서 죽는 것이 부끄럽고 원통하였다.
그러나 하루 아침 자고 깨니
이것은 너무나 가슴을 터치는 사실이었다.
기쁘다는 말,
에이 소용도 없는 말이다.
그저 울면서 두 주먹을 부르쥐고
나는 병원을 뛰쳐나갔다.
그리고, 어째서 날마다 뛰쳐나간 것이냐.
큰 거리에는,
네거리에는, 누가 있느냐.
싱싱한 사람 굳건한 청년, 씩씩한 웃음이 있는 줄 알았다.
아, 저마다 손에 손에 깃발을 날리며
노래조차 없는 군중이 만세로 노래를 부르며
이것도 하루 아침의 가벼운 흥분이라면……
병든 서울아, 나는 보았다.
언제나 눈물 없이 지날 수 없는 너의 거리마다
오늘은 더욱 짐승보다 더러운 심사에
눈깔에 불을 켜들고 날뛰는 장사치와
나다니는 사람에게
호기 있이 먼지를 씌워 주는 무슨 본부, 무슨 본부,
무슨 당, 무슨 당의 자동차.
그렇다. 병든 서울아,
지난날에 네가, 이 잡놈 저 잡놈
모두 다 술취한 놈들과 밤늦도록 어깨동무를 하다시피
아 다정한 서울아
나도 밑천을 털고 보면 그런 놈 중의 하나이다.
나라 없는 원통함에
에이, 나라 없는 우리들 청춘의 반항은 이러한 것이었다.
반항이여! 반항이여! 이 얼마나 눈물나게 신명나는 일이냐
아름다운 서울, 사랑하는 그리고 정들은 나의 서울아
나는 조급히 병원 문에서 뛰어나온다
포장친 음식점, 다 썩은 구루마에 차려 놓은 술장수
사뭇 돼지 구융같이 늘어선
끝끝내 더러운 거릴지라도
아, 나의 뼈와 살은 이곳에서 굵어졌다.
병든 서울, 아름다운, 그리고 미칠 것 같은 나의 서울아
네 품에 아무리 춤추는 바보와 술취한 망종이 다시 끓어도
나는 또 보았다.
우리들 인민의 이름으로 씩씩한 새 나라를 세우려 힘쓰는 이들을……
그리고 나는 외친다.
우리 모든 인민의 이름으로
우리네 인민의 공통된 행복을 위하여
우리들은 얼마나 이것을 바라는 것이냐.
아, 인민의 힘으로 되는 새 나라
8월 15일, 9월 15일,
아니, 삼백예순 날
나는 죽기가 싫다고 몸부림치면서 울겠다.
너희들은 모두 다 내가
시골 구석에서 자식 땜에 아주 상해 버린 홀어머니만을 위하여
우는 줄 아느냐.
아니다, 아니다. 나는 보고 싶으다.
큰물이 지나간 서울의 하늘아
그때는 맑게 개인 하늘에
젊은이의 그리는 씩씩한 꿈들이 흰구름처럼 떠도는 것을……
아름다운 서울, 사모치는, 그리고, 자랑스런 나의 서울아,
나라 없이 자라난 서른 해
나는 고향까지 없었다.
그리고, 내가 길거리에서 자빠져 죽는 날,
'그곳은 넓은 하늘과 푸른 솔밭이나 잔디 한 뼘도 없는'
너의 가장 번화한 거리
종로의 뒷골목 썩은 냄새 나는 선술집 문턱으로 알았다.
그러나 나는 이처럼 살았다.
그리고 나의 반항은 잠시 끝났다.
아 그 동안 슬픔에 울기만 하여 이냥 질척거리는 내 눈
아 그 동안 독한 술과 끝없는 비굴과 절망에 문드러진 내 쓸개
내 눈깔을 뽑아 버리랴,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
4.-성씨보(姓氏譜) -
오래인 관습, 그것은 전통을 말함이다
내 성은 오씨(吳氏).
어째서 오가인지 나는 모른다.
가급적으로 알리워 주는 것은
해주로 이사온 일청인(一淸人)이 조상이라는 가계보의 검은 먹글씨.
옛날은 대국 숭배(大國崇拜)를 유심히는 하고 싶어서,
우리 할아버니는 진실 이가였는지 상놈이었는지 알 수도 없다.
똑똑한 사람들은 항상 가계보룰 창작하였고 매매하였다.
나는 역사를, 내 성을 믿지 않어도 좋다.
해변 가으로 밀려온 소라 속처럼 나도 껍데기가 무척은 무거웁고나.
수퉁하구나. 이기적인, 너무나 이기적인 애욕을 잊을랴면은
나는 성씨보가 필요치 않다.
성씨보와 같은 관습이 필요치 않다.
----------------------------------------------------------
5.-황혼(黃昏)-
직업소개에는 실업자들이 일터와 같이 출근하였다.
아모 일도 안하면 일할때보다는 야위워진다.
검푸른 황혼은 언덕알로 깔리어 오고
가로수와 절망과 같은 나의 기-ㄴ 그림자는 군집의 대하에 짓밟히었다.
바보와 같이 거물어지는 하늘을 보며
나는 나의 키보다 얕은 가로수에 기대어섰다.
병든 나에게도 고향은 있다.
근육이 풀릴 때 향수는 실마리처럼 풀려나온다.
나는 젊음의 자랑과 희망을, 나의 무거운 절망의 그림자와 함께,
뭇사람의 웃음과 발길에 채우고 밟히며 스미어오는 황혼에 맡겨버린다.
제집을 향하는 많은 군중들은 시끄러히 떠들며,
부산히 어둠 속으로 흐터저버리고.
나는 공복의 가는 눈을 떠, 희미한 노등(路燈)을 본다.
띠엄띠엄 서있는 포도( 道)우에 잎새 없는 가로수도 나와 같이
공허하고나.
고향이여!
황혼의 저자에서 나는 아리따운 너의 기억을 찾어
나의 마음을 전서구(傳書鳩)와 같이 날려 보낸다.
정든 고삿. 썩은 울타리.
늙은 아베의 하-얀 상투에는 몇 나절의 때묻은 회상이 맺어 있는가.
우거진 송림 속으로 곱-게 보이는 고향이여!
병든 학(鶴)이었다. 너는 날마다 야위어가는……
어디를 가도 사람보다 일 잘하는 기계는 나날이 늘어나가고,
나는 병든 사나이.
야윈 손을 들어 오랫동안 타태(墮怠)와, 무기력을 극진히 어루만졌다.
어두워지는 황혼 속에서, 아무도 보는 이 없는, 보이지 않는 황혼
속에서,
나는 힘없는 분노와 절망을 묻어버린다.
---------------------------------------------------------
6. -나의 노래-
나의 노래가 끝나는 날은
내 가슴에 아름다운 꽃이 피리라
새로운 묘에는
옛 흙이 향그러
단 한번
나는 울지도 않았다
새야 새 중에도 종다리야
화살같이 날라가거라
나의 슬픔은
오직 님을 향하야
나의 과녁은
오직 님을 향하야
단 한번
기꺼운 적도 없었더란다
슬피바래는 마음만이
그를 좇아
내 노래는 벗과 함께 느끼었노라
나의 노래가 끝나는 날은
내 무덤에 아름다운 꽃이 피리라
---------------------------------
오장환 : (吳章煥, 1918~ ). 충청북도 보은 출생. 휘문고보를 졸업
했으며 명치대학(明治大學) 전문부 수학. 1931년 <조선문
학>에 시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옴. 초기 시는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문명비판적인 시와 보들레르적인
경향의 시를 많이 썼음. 그러나 1940년을 전후하여 서정적
사색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생명력을 추구하는 시를 썼음.
해방 이후 선명한 정치 노선을 드러내며 현실 참여적인 시
를 활발히 발표하였고 이후 월북. 시집 <성벽>(1937), <헌
사>(1939), <병든 서울>(1946), <나 사는 곳>(1947)을 간
행하였으며, 역시집 <에세닌 시집>을 1946년에 간행함.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