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시조 말 업슨 청상(靑山)이뇨~/성 혼
말 업슨 청산(靑山)이요 태(態) 업슨 유수(流水)ㅣ로다. 갑 업슨 청풍(淸風)이요 님자 업슨 명월(明月)이라 이 중(中)에 병(病) 업슨 이 몸이 분별(分別)업시 늙으리라. |
[현대어 풀이]
말이 없는 푸른 산이요 일정한 모양이 없이 흐르는 물이로다.
값으로 따질 수 없는 맑은 바람이요 임자가 따로 없는 밝은
달이로다.
이러한 자연 속에서 병없는 나의 이 몸은 근심걱정없이 늙어
가리라.
[이해와 감상]
송나라 시인인 소동파의 <적벽부>에 나오는 "천지간의 만물은
모두 주인이 있으나 강가의 청풍과 산 위의 명월은 누구나 자
유롭게 취할 수 있다."는 내용의 시상과 매우 유사하다. 중장의
'청풍'과 '명월'은 누구나 쉽게 가까이 하여 즐길 수 있는 자연
적 소재이다. 자연과 내가 하나를 이루었고, 더 이상의 아무런
근심과 슬픔이 없이 자연 속에서 살아가고자 하는 작자에겐 늙
어가는 인생조차 아늑하고 편안하다.
자연과 인생의 조화를 노래하는 넉넉한 마음이 나타나 있으며,
<논어>의 "지자요수(智者樂水) 인자요산(仁者樂山)"의 경지라
할 수 있다.
'업슨'을 장마다 두 번씩 6번을 되풀이하여, 이 시조의 뼈대를
삼았는데 그것이 운율에 묘미를 더해 준다. 아무 데도 얽매인
데 없는 대자연 속에서 풍운유수와 함께 세속을 멀리하고 유
유자적하는 심경을 소탈하게 읊었다. 60평생을 거의 벼슬하지
않고 학자로서, 자유인으로서 살아간 지은이의 풍모가 이 한
수에 승화되어 있는 느낌이다.
[정리]
□ 성격 : 평시조, 한정가(閑情歌)
□ 표현 : '업슨'의 반복으로 운율을 형성
자연을 임자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시적 발상이 특
징적임. 대구적 병렬의 표현법
□ 시적 화자의 태도 : 몰아일체(沒我一體)의 경지
□ 주제 : 자연 동화로 인한 삶에의 초월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