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시조 두류산 양단수를~/조 식
현대어 풀이]
지리산의 양단수가 아름답다는 말을 옛날에 듣고 이제 와서
보니
복숭아꽃이 뜬 맑은 물에 산 그림자까지도 잠겨 있구나
아이야, 무릉도원이 어디에 있느냐? 나는 이곳이 무릉도원인가
하노라.
[창작 배경]
작자는 여러 차례 벼슬을 사양하며, 두류산(지리산)에 들어가
학문에만 전념하면서 청빈낙도의 은둔생활을 하였다.
그 때에 지어진 시조로, <삼동에 뵈옷 닙고>라는 작품이 있으
며, 이 시조 또한 그런 상황에서 쓰여진 작품이겠다.
[이해와 감상]
지리산의 양단수가 절경이라는 것을 전에는 말로만 들었는데,
이제 실제로 와서 보니 복숭아꽃잎이 떠 있는 맑은 물에 산의
그림자마저 비치고 있는 것이 마치 무릉도원(선경, 별천지)을
연상하게 한다는 것이다.
종장의 '무릉'을 미리 암시해주는 시어가 바로 중장의 맑은 물
위에 떠있는 '도화'이다. '무릉'은 이상적인 세계로, 작자의 아
름다운 자연에 대한 동경을 뜻한다. 중장의 '도화가 뜬 맑은 물
위에 비친 산 그림자'에서 맑고 투명한 시각적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선경의 묘미를 잘 살리고 있는 노래이다.
[정 리]
▷성격 : 평시조, 강호(江湖) 한정가(閑情歌)
▷표현 : 돈호법, 문답법
▷주제 : 두류산 양단수에 대한 감탄 및 예찬(이상향 추구)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