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고성낙일(孤城落日)

eorks 2009. 9. 29. 08:18
故 事 成 語

고성낙일(孤城落日)

孤:
외로울 고. 城:성 성. 落:떨어질 락. 日:해 일

    원군이 오지 않는 고립된 성과 해가 기울어지는 낙조. 세력이 쇠퇴하여 도와주
    는 사람이 없는 고립무원의 상태.


    왕유(王維:699~759)의 자(字)는 마힐(摩詰)이다.
    지금의 산서성 출신 으로 개원(開元) 초기 진사에 급제하여 벼슬이 상서우승(尙
    書右丞)에 이르렀다.
    그는 음악에 정통하고 시를 잘 지었고 그림 또한 상당한 수 준이었다.
    '孤城落日'은 왕유의 시가운데 칠언절구(七言絶句)인 송위평사(送韋 評事:위평
    사를 보냄)에서 나왔다.

    欲逐將軍取右賢(욕수장군취우현)

    장군을 따라서 우현(右賢)을 취하고자 하니,

    沙場走馬向居延(사장주마향거연)

    모래밭으로 말을 달려 거연(居延)으로 향하네.

    遙知漢使蕭關外(요지한사소관외)

    멀리 한나라 사자가 소관(蕭關) 밖에 오는 것을 아니,

    愁見孤城落日邊(수현고성낙일변)
    근심스러워 보이는구나, 고성낙일(孤城落日)이여.

    이 시에서 직접 세력이 쇠퇴하여 도움도 기대도 할 수 없는 마음이 안 놓이는 상
    태에 비유하여 고성낙일(孤城落日)이 불려진 것은 아 니다.
    어디까지나 요새 밖의 쓸쓸한 풍경을 노래한 것이며, 그 곳에 간 친구의 그 곳에
    서의 안타까움을 상상하여 위로하는 기분으로, 도움을 줄 수 없는 자신의 마음을
    거기에 대입한 것이다.


    [출 전] <왕유의 시 '送韋評事'>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침안면(高枕安眠)  (0) 2009.10.01
고육지계(苦肉之計)  (0) 2009.09.30
계포일락(季布一諾)  (0) 2009.09.28
계찰괘검(季札掛劍)  (0) 2009.09.27
계명구도(鷄鳴拘盜)  (0) 2009.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