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eorks 2009. 12. 6. 08:35
故 事 成 語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能:능할 능. 書:글 서. 不:아니 불. 擇:가릴 택. 筆:붓 필.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 곧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데 종이나 붓 따위의 재료 또는 도구를 가리는 사람이라면
    서화의 달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말.


    당나라는 중국사상 가장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나라의 하나였다.
    당시 서예의 달인으로는 당초 사대가(唐初四大家)로 꼽혔던 우세남
    (虞世南) 저수량( 遂良) 유공권(柳公權) 구양순(歐陽詢) 등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의 서체를 배워 독특하고 힘찬
    솔경체(率更體)를 이룬 구양순이 유명한데 그는 글씨를 쓸 때 붓이나
    종이를 가리지 않았다.
    그러나 저수량은 붓이나 먹이 좋지 않으면 글씨를 쓰지 않았다고 한
    다. 어느 날, 그 저수량이 우세남에게 물었다.

    "내 글씨와 구양순의 글씨를 비교하면 어느 쪽이 더 낫소?"
    우세남은 이렇게 대답했다.
    "구양순은 '붓이나 종이를 가리지 않으면서도[不擇筆紙]' 마음대로 글
    씨를 쓸 수 있었다[能書]고 하오. 그러니 그대는 아무래도 구양순을 따
    르지 못할 것 같소."

    이 말에는 저수량도 두 손을 들었다고 한다.
    또 '능서불택필'은
    ①《왕긍당필진(王肯堂筆塵)》과
    ②주현종(周顯宗) 의 《논서(論書)》에 각각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①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고 하지만 이 속설은 구
         양순까지이고, 그 이후의 사람들은 붓이나 종이를 문젯거리로 삼
         게 되었다."
    ②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가리니 않는다는 말이 있지만 이는 통
        설이라고 할 수 없다. 행서(行書)와 초서(草書)를 제외한 해서 (楷
        書) 전서(篆書) 예서(隸書)를 쓰는 경우는 붓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           기 때문에 붓을 가리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그림이나 글씨에 능한 달인은 종이나 붓 등의 도구에는 불평을
    하지 않는다.


    [출 전]《唐書》의 <구양순전>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기망양(多岐亡羊)  (0) 2009.12.08
니 취(泥醉)  (0) 2009.12.07
누란지위(累卵之危)  (0) 2009.12.05
농 단(壟斷)  (0) 2009.12.04
농 락(籠絡)  (0) 200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