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사 지(四知)

eorks 2010. 2. 21. 07:41
故 事 成 語


사 지(四知)

四:
넉 사. 知:알 지,

하늘과 땅과 너와 내가 안다. 즉 세상에 비밀은 없다는 뜻


     사지(四知)라는 말은 천지(天知)·지지(地知)·아지(我知)·자지(子知) 이다.

     이 넷을 간추려 '사지(四知)라고 하는데 이것은 천지간에 비 밀이 없음을
     뜻한다.

     후한(後漢)시대의 조정은 환관들의 천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그들은 황제 위에 군림하며 권도를 무자비하게 휘둘어 댔다. 정치와 관료
     가 문란하고 부패했던 시대였으니 백성들의 살림이 어 려웠을 것은 자명
     한 일이다.

     그러나 이런 때라고 하여 맑은 선비나 관료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제6대
     안제 때에 해박한 지식과 청렴결 백으로 출중한 인격의 소유자인 양진(楊
     震)이 그런 인물이다.

     그는 당시 사람으로부터 관서공자(關西公子)라는 칭송을 들을 만큼 청렴
     결백했다.

     어느 때인가 양진이 동래군(東萊郡) 태수로 부임할 때였다. 임지로 가는
     도중에 날이 저물어 창읍(昌邑)에서 하룻밤을 쉬어가게 되었다.

     객사에서 외로움을 달래고 있을 때에 그 지방 현 령으로 있는 왕밀(王密)
     이라는 사람이 밤늦게 찾아왔다.

     그가 형주 자사로 있을 때, 왕밀을 발탁한 일이 있었다. 그의 천거로 인해
     왕 밀은 벼슬길에 나갈 수 있었다.

     그런 인연으로 둘은 지난 날의 여러 얘기들을 나누며 밤이 깊어진 것까지
     잊을 정도였다.

     어느 정도 시 간이 흘렀을 때에 왕밀은 황금 열 냥을 꺼내 양진의 무릎 위
     에 얹어 놓았다.

     "갑자기 준비한 것이라 변변잖습니다. 약소하지만 시생의 성의로 아시고
     받아 주십시오."

     "나는 그대를 잘 알고 있는데, 그대는 나라는 인간을 잘 모르는 모 양이
     군. 이게 무슨 짓인가?"

     "깊은 밤의 일이니 아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제발 받아 주 십시
     오."

     "그 무슨 소리. 자네와 내가 알고 하늘과 땅이 알고 있잖은가. 그런데 어
     떻게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다 하는가."

     왕밀은 매우 부끄러워하며 물러갔다.


     [출 전]《後漢書》<楊震傳>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 취(私聚)  (0) 2010.02.23
사 족(蛇足)  (0) 2010.02.22
사 자 후(獅子吼)  (0) 2010.02.20
사 이 비(似而非)  (0) 2010.02.20
사석위호(射石爲虎)  (0) 201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