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새옹지마(塞翁之馬) 塞:변방 새, 翁:어르신네 옹, 之:어조사 지, 馬:말 마
세상 만사가 변전무상(變轉無常)하므로, 인생의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 길흉화복의 덧없음의 비유.
옛날 중국 북방의 요새근처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옹이 살고 있었 는데 어느 날, 이 노옹의 말[馬]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조금도 애석한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 다.
"누가 아오? 이 일이 복이 될는지."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를 데리 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치하하자 노옹은 조금도 기쁜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다.
"누가 아오? 이 일이 화가 될는지."
그런데 어느 날, 말타기를 좋아하는 노옹의 아들이 그 오랑 캐의 준마를 타다 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 이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조금도 슬픈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 다.
"누가 아오? 이 일이 복이 될는지."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어느 날, 오랑캐가 대거 침입해 오자 마을 장정들은 이를 맞아 싸우다가 모두 전사했다.
그러나 노옹의 아들만은 절름발이었기 때문에 무사했다고 한다. 《회남자》에서는 이 이야기 끝에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은 화가 되고 화는 복이 된다. 그 변화 의 심원(深遠)함은 헤아릴 도리가 없다." 그리고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라는 말은 원나라의 중 희화기가 이 이야기에 의거하여 지은 시의 한 구절이다.
"화복여규묵(화복여규묵:화복은 노처럼 꼬인 것이다)"이 라는 말이 있다. 전한 문제 때의 문장가 가의 의 시에 나오는 말이다.
이는 화와 복은 노끈처럼 번갈아 찾아 온다. 결코 한쪽만 찾아온다는 일은 없 다는 뜻이다.
[원 말]인간만사 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