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양금택목(良禽擇木) 良:어질 양. 禽:날짐승 금. 擇:가릴 택. 木:나무 목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친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자기 재능을 키워 줄 훌륭한 사람을 가려서 섬김의 비유.
춘추 시대, 유가의 비조인 공자가 치국의 도를 유세 하기 위해 위나라에 갔을 때의 일이다.
어느 날, 공문자가 대숙질을 공격하기 위해 공자에게 상의하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제사 지내는 일에 대해선 배운 일이 있습니다만, 전쟁에 대 해선 전혀 아는 것이 없습니다."
그 자리를 물러 나온 공자는 제자에게 서둘러 수레에 말을 매라고 일렀 다. 제자가 그 까닭을 묻자
공자는 '한시라도 빨리 위나라를 떠나야겠다'며 이렇게 대답했다.
"현명한 새는 좋은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친다고 했고, 마찬 가지로 신 하가 되려면 마땅히 훌륭한 군주를 가려서 섬겨야 하느니라[良禽擇木 而棲 良臣擇主而事]."
이 말을 전해들은 공문자는 황급히 객사로 달려와 공자의 귀국을 만류 했다.
"나는 결코 딴 뜻이 있어서 물었던 것이 아니오. 다만 위나라 의 대사에 대해 물어 보고 싶었을 뿐이니 언짢게 생각 말고 좀더 머물도록 하시 오."
공자는 기분이 풀리어 위나라에 머물려고 했으나 때마침 노나라에 서 사람이 찾아와 귀국을 간청했다.
그래서 고국 을 떠난 지 오래인 공자는 노구에 스미는 고향 생각 에 사로잡혀 서둘러 노나라로 돌아갔다.
[출 전]《春秋左氏專》《三國志》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