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백왕흑귀(白往黑歸)

eorks 2010. 3. 22. 10:21
故 事 成 語


백왕흑귀(白往黑歸)


白:
흰 백. 往:갈 왕. 黑:검을 흑. 歸:돌아올 귀

              겉이 변한 것을 보고 속까지 변했을 거라고 오판하는 것.
              양포지구(楊布之狗)라고도 함.

     한비자(韓非子)가 <說林 下>에 등장시킨 양주(楊朱)라는 이는 전국시대 중
     엽의 사상가인 묵자(墨子)와 대조적인 사상을 주창 했다.

     묵자가 겸애(謙愛)를 주장한 반면 양주는 극단적인 이기 주의를 내세웠다.
     그래서 맹자(孟子)는 말했다.

     "양주란 자는 부모도 없고 오직 나 뿐이다. 그리고 묵자는 모든 이를 똑같
     이 사랑하니 군주가 없다. 아비가 없고 군주가 없으니 이는 들짐승이나 길
     짐승과 무에 다를 것이 있는가."


     맹자의 혹평대로 세상 사람들은 양주를 지독한 낙천주의자로 생각했다.

     그것은 도가(道家)의 사상이 무위 이화에 있기 때 문이었다. 바로 이점 때
     문에 한비자는 양포(楊布)의 개를 우 화적으로 등장시킨 것이다.

     어느 날 양주의 동생 양포가 흰 옷을 입고 외출했다. 그런데 집으로 돌아올
     때 비가 너무 와서 하얀 옷은 뗏국물이 자르르 흘러 검은 빛을 띄게 되었다

     그러자 집에서 기르던 개가 그인 줄도 모르고 막 짖어 댔다. 양포는 화를
     내며 개를 때릴려고 했다. 그러자 양주가 그를 말리며 말했다.

     "여보게, 때리면 안 되네. 자네도 마찬가질세. 만약에 이 개가 나갈 때 희었
     다가 돌아올 때 검어졌다면, 자넨들 수상히 여기 지 않겠는가?"


     [출 전]《韓非子》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부지리(漁父之利)  (0) 2010.03.23
양호유환(養虎遺患)  (0) 2010.03.22
양약고구(良藥苦口)  (0) 2010.03.22
양상군자(梁上君子)  (0) 2010.03.21
양두구육(羊頭狗肉)  (0) 201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