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 一:한 일, 日:날 일, 如:같을 여,三:석 삼,秋:가을 추
하루가 3년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리는 마음이 애절함을 비유하는 말.
三秋는 세가지로 풀이될 수 있다. 하나는 孟秋仲秋 季秋의 3개월로 보아야 한다는 것. 둘은 이 3개월이 세 번이 므로 9개월로 풀이해야 한다는 것.
셋은 모든 곡식은 가을이 되어야 익는데 가을은 1년에 한번 뿐이므로 一秋 의 세 번은 三秋, 곧 3년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詩經 王風篇에는 '采葛(채갈)'이라는 시가 실려 있다.
저기서 칡을 캐고 있는 그대여. 하루라도 그대를 보지 못하면 석 달 동안이나 못 본 듯 그리워지네
저기서 쑥을 캐고 있는 그대여. 하루라도 그대를 보지 못하면 아홉 달 동안 못 본 듯 그리워지네
저기서 약쑥을 캐고 있는 그대여. 하루라도 그대를 보지 못하면 삼년을 못 본 듯 그리워지네
이 시는 임을 그리워하여 단 하루를 보지 못해도 무척 긴 세월로 느껴진다 는 애틋한 마음을 그리고 있다.
이처럼 一日三秋는 원래 남녀간의 그리움을 뜻했으나 지금은 기 다림의 대상에 관계없이 두루 쓰이고 있다.
一日三秋 一刻如三秋라고도 한다.
《呂氏春秋順說》에 연경거종이라는 말이 있다.
목을 길게 빼고 발꿈치를 들고 기다린다는 뜻이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백난 지중대인난이란 했다.
수많은 일 중에서 사람을 기다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는 뜻 이다.
《左傳》에도 부질없는 기다림을 '하청봉명(河淸鳳鳴)' 이라 하였다.
황하의 누런 황톳물이 맑아지고, 봉황새가 울기 를 기다린다는 뜻이다.
[출 전]《詩經》
......^^백두대간^^........白頭大幹 |
|
|